-
-
이것이 인간인가 -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의 기록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프리모 레비는 한겨레에 종종 글을 기고하는 서경식 선생으로 인해 알게 된 작가다.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남았고, 그때의 일로 자살한 많은 이들을 질타하며 반드시 살아서 다른 이들도 알게 해야 한다고 주창했던 이라고 했다. 그러나 그도 엘리베이트 계단으로 떨어져 자살을 했다. 왜 그랬을까? 라고 서경식 선생이 물었을 때, 나 역시 왜 그랬을까? 라고 되물었다.
놀라운 것은, 이 증언록을 읽으면서도 한 개인의 끔찍한 경험으로 읽히지 역사적으로 독일의 그 잔혹함이 몸에 와 닿지 않았다. 이미 영화나 다른 매체로 아우슈비츠에 대한 상식이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
나중에야 알게 된 것은 프리모 레비 자체가 매우 이성적인 인간이었기 때문이며, 증오란 한 얼굴을 가진 개인에게 향한 것이지 불특정한 어떤 것,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것에 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매우 이성적으로 글을 썼다고 했다.
p.268
성격상 나는 쉽게 누구를 증오하지 못한다. 나는 증오란 동물적이고 거친 감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가능한 한 이성적으로 행동하고 생각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마음속에 복수심 같은 원초적인 욕망이나 사적인 앙갚음을 해본 적이 없다. 덧붙여 말하고 싶은 것은, 내가 보기에 증오는 개인적인 것이고 한 사람에게, 어떤 이름에게, 어떤 얼굴에게 향해지는 것이라는 점이다. 그런데 당시 우리를 박해했던 사람들은 이름도 얼굴도 갖고 있지 않았다.
놀라운 일이다. 나였다면? 구구절절하게 나의 아픔을 내세워 독일을 질타했을 텐데... 아니, 그 보다 더한 일도 했을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배가 고팠다. 프리모 레비나 이 책에 등장하는 모든 이들의 배고프고 헐벗음이 전이 된 것인지... 나는 꾸준히 배가 고프다고 느꼈고, 이렇게 배불리 잘 먹고 사는 내가 부끄러웠다. 지금 이순간에도 세계 곳곳에서는 테러든 전쟁이든 인간성을 말살하고 있을 텐데...
249
움직이는 거라면 뭐든 좋으니 다시 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263
인간을 죽이는 건 바로 인간이다. 부당한 행동을 하는 것도, 부당함을 당하는 것도 인간이다. 거리낌 없이 시체와 한 침대를 쓰는 사람은 인간이 아니다. 옆 사람이 가진 배급 빵 4분의 1쪽을 뺏기 위해 그 사람이 죽기를 기다려던 사람은, 물론 그의 잘못은 아닐지라도, 미개한 피그미, 가장 잔인한 사디스트보다도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전형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이다.
우리 존재의 일부분은 우리 곁에 있는 사람의 마음속에 자리잡고 있다. 인간이 다른 인간의 눈에 하나의 사물일 뿐인 시절을 보낸 사람의 경험이 비인간적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265
살아 있는 사람은 요구가 많다. 죽은 사람들은 기다릴 수 있다. 우리는 다른 날들처럼 일을 시작한다.
아우슈비츠의 가해자, 더 광범위하게 전쟁을 발발시킨 자들, 우리나라로 눈을 돌리면 광주학살을 자행한 전두환 및 그 밖의 모든 이들. 우리는 왜 잠자코 있는가? 대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을 때 한 정치인이 전두환을 찾아갔다는 뉴스를 보며 어이없었던 기억이 난다. 왜 우리는 그를 후세인처럼 처형하지 못하는가? 여전히 그에게서 콩고물을 먹은 권력들이 많다는 것이겠지.
파시즘에 대한 생각을 하며,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인간이 인간을 지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는 것을 생각했다. 그것을 너무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우리 존재라니. 점점 주체성을 상실하고 타인에게 의지 아닌 의지를 하고 있는 우리를 돌아봐야 할 것이다. 텔레비젼이든 연예인이든, 나 스스로 생각하기 보다는 교묘하게 우리는 농락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눈에 보이지 않는 폭력과 지배에 대해서 눈을 돌리고, 잠잠히 나 자신을 돌아볼 일이다.
다시 푸코의 글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권력은 위로부터 쏟아지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매일같이 생산된다.'
혹시, 프리모 레비는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남은 후, 이제 안심했다고 생각한 순간, 현실에서 또다른 파시즘 유형을 목도하고 절망했던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