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
헤르만 헤세 지음, 김지선 옮김 / 뜨인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집은 넉넉한 형편이 아니어서, 남들처럼 서재나 책들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아버지가 사 온 위인전이 책장 가득 놓여 있을 뿐이었다.

그래서, 내게 책이란 늘 내게 결핍된 것이다. 지금 당장 읽지 못해도 구입하여 내 책장에 하나씩 쌓아 놓는 것. 그것이 현재 나의 희망이다. 희망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내 결핍, 끝내 충족되지 못할 내 인식의 욕구에 조금씩이라도 다가서고 싶은 욕망이다.

헤세를 접한 건, 중학교때였다. 소설 데미안, 누구나 알듯이 성장소설로서 그 작품은 대단할 뿐이다. 이후 나는 그의 작품들에 매료되었다. 사춘기때였으니 그의 글들은 내게 양서와 다름 없었다. 내겐 부모 이상이었으니 말이다. 내게 말을 걸어주고, 나를 다독여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끊임없이 질문하게 만들었으니...

이 책 역시 내게 지금 무엇을 생각하며 살고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지 재촉한다.

게다가 독서에 대한 나름의 생각을 풍부하게 해 주었다. 그가 한창 잘 나가던 작가시절에 작가지망생들이 보내온 작품들에 품평을 했던 부분은 강한 인상을 심어 주었다. 어느 순간, 모든 작품들에 좋다 나쁘다의 평을 할 수 없어졌다는 것. 나름대로 모든 작품에 작가의 뜻이 있지 않느냐. 무게 잡지 말라는 것, 독서란, 또는 창작 행위란 결국 나를 찾아가는 길이 아니겠는지.  당신이 지금 유쾌하다면 유쾌한대로, 재미있는대로, 무게 있는 대로, 그 순간이 진정인데, 어떻게 잣대를 대고 말 할 수 있으랴.

서재에 대한 이야기도 내게 감동을 주었다.

내 꿈도 내 서재를 갖는 것이다. 책들을 내 방식대로 분류하여 취하는 것. 이것도 욕심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