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선생님이 좋아요
하이타니 겐지로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양철북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선생님을 좋아한다고 말하는 아이들은 얼마나 될까? 좋아한다는 말 속에 자신의 마음을 꾹꾹 담아 말하는 아이들은 얼마나 될까? 아이들에게 좋아한다는 말을 들었을 때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선생님은 얼마나 될까? 아이들의 마음을 알기위해 그들의 세계로 뛰어드는 선생님은 얼마나 될까?

 

아마도 없을거라고, 차가운 이야기로만 가득해 얼어붙은 교육 현실에서 그런 것은 기대도 하지 말라고 누군가는 말할 것이다. 그 사람에게 얼어붙은 교육 현실을 녹이는 데 당신은 무엇을 했느냐고 묻고 싶다. 그 당신은 바로 나의 모습이기도 하다.  손을 놓고 현실을 탓하기만 하면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다. 왜 우리는, 아니 나는  바라보기만 하고 변화시키려고 노력하지는 않는 것일까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그건 그 속에서 나아지리라는 희망을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필요한 것은 변할 수 있다는 희망이었다. 존경과 신뢰가 사라져가는 교육 현실에서 우등생 보다는 서로를 보듬을 수 있는, 자신의 꿈을 소중히 여기는 학생이 되길 가르치는 것이 더 귀하다는 것을 가르칠 수 있는 학교를 우리 스스로 만들 수 있다는 희망이 필요했다.

 

이 책을 말하면서, 차가움, 교육, 현실등과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은 맞지 않을지도 모른다. 책은 읽는 내내 따뜻했고, 얼어붙었던 내 마음을 적셔주었으며 희망을 보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가움을 녹이는 건 따스함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선생님도 아니고 학생도 아니다. 이 책을 읽었다고 고다니선생님처럼 학생을 가르쳐 볼 수도 없고 선생님을 존경하는 학생으로 돌아갈 수도 없다. 그러나 적어도 이 책을 읽어본 어른은 될 수 있다. 또한 부모가 될 내 친구에게, 선생님이 된 내 친구에게 이 책을 추천할 수도 있다. 상상 속에 산다고 질책할지는 모르지만 이 책을 읽는 사람이 많을수록 아이들의 가슴에 있는 따스하게 빛나는 보석을 알아봐 줄 사람이 많이 생길거라고 생각한다.

 

추워지기 시작한 요즘, 내 몸과 마음을 따스하게 해 준 책에 대해 몇가지만 말해보자.

 

#고다니 선생님은 너무 완벽했다?!

-책을 펴면 프롤로그에 교사가 되고 싶은 사람이 읽었을 때 이 책을 읽은 것은 후회한다는 독자의 이야기가 적혀있다. 책을 읽기 전에 그 소리에 책에 나오는 선생님이 너무 완벽하다는 그 말을 고스란히 믿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서 고다니 선생님은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고다니 선생님을 보면서 저렇게 완벽한 선생님이 될 수는 없다는 독자의 말은 완벽한 선생님이 아닌 아이와 함께 해주는 선생님이, 자신의 꿈을 잃지 않고 밀고 나가는 선생님이 될 수 없다는 말로 고쳐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신참내기 고다니 선생님은 쓰레기 매립장이 있는 곳에 자리잡은 초등학교 1학년을 맡았다. 얼굴에 뽀송한 솜털이 아직도 남아있는 22세의 고다니 선생님의 반에는 돌맹이 학생이 있다. 그 아이의 이름은 데쓰조. 말을 하지도 웃지도 않으며 그래서 돌맹이라고 착각을 해 만지기 위해 손을 뻗으면 물어버리는 아이가 있다. 그 아이에게 다가서기 위해 고다니선생님은 데쓰조의 눈높이에 맞춰 세상을 보기위해 노력한다. 징그럽고 더럽게만 느껴지던 파리를 함께 연구하기도 하고 아이들과 함께 고물을 팔기도 한다. 그러다가 힘이들어 울때도 많고 여기서 포기해버릴까하는 마음으로 주저앉기도 한다. 아이들의 말에 상처를 받기도 하고 실수도 하며 울기도 자주 울어서 아이들이 위로해주어야 하는 선생님이 바로 고다니선생님이다. 이런 그녀를 어떻게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가.

 

아이들이 고다니선생님을 통해 본 것은 완벽함이 아니라 선생님도 자신들과 같은 사람이라는 것이었을 것이다. 완벽한 선생님이어서 쓰레기 매립장에 사는 자신들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으로서 자신들을 좋아해주는 것을 아이들은 알고 있다. '착한척'을 하는 완벽한 선생님보다 어리숙하고 눈물이 많지만 자신들을 안아주고, 함께 놀아주는 새내기 고다니선생님에게서 아이들은 사랑을 느끼고 자신들도 사랑받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고다니선생님께서 완벽한 선생님으로 데쓰조를 대했다면 데쓰조는 끝내 마음을 열지 못했을 것이다. 고다니선생님이 힘들어하는 마음과 노력하는 모습에 데쓰조도 함께 노력을 하고 말을 하기 시작하고 선생님을 좋아한다는 마음을 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고다니선생님께서 완벽하지 않았기에 우리도 고다니선생님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울고 싶을만큼 힘들더라도, 주저앉고 싶을만큼 두렵더라도 이 길을 이겨낸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용기를 내보고 싶어진다.

 

#학교는 선생님과 학생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학교에서 생활하는 것은 학생과 선생님뿐이다. 학교에서 무슨 문제가 생기면 선생님이나 혹은 학생에게만 잘못을 돌리는 뉴스를 볼때면 이건 아니다라는 생각을 했다. 학교는 아이들만이 다니는 곳이 아니였다. 그 학생의 부모님도 학교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이었으며 사회역시 학교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좋지 않은 일이 생길때면 비난의 화살은 선생님과 학생에게로 돌아가버린다. 학교를 둘러싸고 함께 구성하고 있는 부모님과 사회가 그 화살을 들고 있는 것이다. 책을 보며 학교는 모든 사람의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든 사람의 것이기에 함께 협력해서 일을 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는 비난의 화살을 겨누기 전에 먼저 일을 해결하기 위해 함께 고민하고 무엇이 문제인지 이야기해봐야 한다.

 

고다니선생님께서 정신지체아동 미나코를 맡아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게 한 이유는 아이들에게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려는 의미였음에도 부모님들은 그 아이가 아이들 공부에 지장을 준다며 고다니선생님을 추궁했다. 그렇지만 꿋꿋하게 미나코를 아이들과 함께 돌보며 아이들 스스로 미나코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발견하는 것을 웃는 얼굴로 지켜보며 아이들의 힘을 믿어주는 고다니 선생님이었다. 뒤늦게 자신의 아이들이 남을 배려하는 마음과 책임감을 가지는 것을 보며 부모님들은 고다니 선생님의 뜻을 이해하게 되고 감사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학교는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곳이다. 그것을 알려주기 위해서는 학생과 선생님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부모님과 사회의 도움도 필요하다. 믿고 맡겨주며 힘을 불어넣어 주는 모습이 필요하다.

 

#마치면서

보석같은 책이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이 책을 읽은 사람이 많아질수록 세상이 따뜻해질 거라고도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불완전하기에 서로 돕고, 넘어지기도 하고, 울기도 하지만 함께라면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을 감동과 함께 배웠다. 데쓰조와의 이야기만이 아닌 여러가지 이야기마다 소중하게 반짝반짝 빛이난다. '나는 선생님이 좋아요'라고 말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도록, '나는 아이들을 사랑한다'는 선생님들이 많아지도록 학교를 열린마음으로 바라보고 관심을 가지는 어른이 되고 싶게 만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