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를 디자인하라 - 패션CEO 원대연의 조언
원대연 지음 / 노블마인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앞에 붙는 수식어에 눈길이 갔다. <빈폴 성공신화의 주역 원대연> 빈폴이란 브랜드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나 역시 빈폴 상품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내가 빈폴이 우리나라의 브랜드인지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 빈폴의 브랜드 이미지는 책에 나온 대로 폴로와 대등하거나 앞선다는 생각을 가지기도 했던 내게 빈폴은 당연코 해외브랜드라고 생각했다. 그전에도 빈폴의 브랜드 를 높게 본 것도 이유가 되지만 얼마전에 나온 기네스 펠트로나 다니엘 헤니가 광고로 나오는 걸 보면서 외국 브랜드였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진 상품을 외국 것이라는 당연한 생각을 하는 어리석음을 범하고 말았던 것이다. 그런 빈폴이 한국 것라는 것에,  빈폴을 지금의 자리까지 올린 사람의 이야기라니 궁금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빈폴은 내게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함께 고객에 대한 꼼꼼함이 넘치는 기업이란 생각으로 자리잡았는 계절이 바뀔 때면 가끔씩 날라오는 상품권에는 소비자에 대한 배려심과 따뜻한 마음이 넘쳤던 걸로 기억되었다. 그렇기에 빈폴이 세일을 하지 않았도 탓하기 보다는 세일은 빈폴의 이미지와는 맞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며 그것도 괜찮은 전략이라고 생각을 했다. 내가 빈폴을 보며 가졌던 생각들은 이 책의 저자 원대연씨의 머리 속에서 나와 현실로 반영된 것이라고 한다.

 

#빈폴을 성공신화로 이끈 원대연씨에 대해 알아보자.

 

원대연씨는 삼성계열인 전 제일모직 CEO였으며 지금은 현재 한국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있는 그는 SADI 학장과 패션협회 회장으로 인재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그를 보면 딱 두 단어가 떠오른다. 패션(Fashion)과 패션(Passion)이다.

 

원대연씨의 이력 중 내가 놀랐던 건 그는 패션을 전공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는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일보에 취직해서 일을 하던 중 회의를 느껴 '도전하라. 평생 후회 없는 열정을 바칠 일을 찾아 떠나라."라는 마음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는 단번에 사표를 쓰고는 삼성물산에 취직을 했다. 그에게 갈 길은 두 군데였다. 엄청난 호황으로 잘 나가는 회사였던 제일모직과 새로 생긴지 2년도 안되며 적자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는 제일복장, 그는 모험을 택해 이 회사에 입사한 만큼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제일복장의 수출부로 발령받았다.

 

패션을 전공하지 않은 그가 패션 회사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란 내 걱정은 기우였다. 그가 말했듯 패션업계에서 디자이너만큼 중요한 것이 MD의 전문성이나 기회력, 시장분석력이었으며 또한 소재 전문가, 컬러전문가, 패턴 전문가 그 이외의 홍보등 많은 부문에서 전문인력이 필요했다. 패션은 하나의 숲이다. 그 숲에는 여러 나무가 심어져 있어 숲을 아름답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 숲을 내려다보고 숲에 있는 나무 하나하나를 볼 수 있는 사람이 원대연씨다. 숲을 보는 시각과 숲에 심어진 나무를 하나씩 챙기는 능력, 숲을 보러오는 고객을 만족시키는 관리까지 성공적으로 이룬 그의 노력은 대단했으며 패션산업의 지침표를 만들어 놓기도 했다.

 

그가 이 책을 읽고 독자에게 바라는 점은 소박함에도 그 속에는 따스함이 담겨있다. 자신이 발로, 땀으로 뛰어서, 눈물과 열정으로 이룩한 경영의 비밀을 그는 아무런 댓가없이 말해주고 있다. 그가 바라는 건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신이 몸담은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더불어 자기 자신의 가치도 함께 높일 수 있는 해법을 조금이나마 독자들이 얻길 바란 다는 것이다.  그것을 이루기까지 얼마나 힘이 들었는지 스스로 알기에 그는 독자들에게 조금 쉬운 길을 만들어 주었다.

 

원대연씨, 그가 독자에게 바란 것을 짚어 나가며 책을 이야기 해보자.

 

#얻을 점 하나, 우리도 할 수 있다-브랜드 가치 경영 

-명품이라 불리는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물어봤다면 대다수가 외국 기업의 브랜드를 말했을 것이다. 원대연씨는 우리나라에도 명품으로 인정받을 브랜드를 만들고 싶어했다. 하나의 브랜드가 명품으로 인정받으면 기업의 이미지를 넘어 국가의 이미지도 올라가기 때문이다. 원대연씨는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경영을 모토로 잡고 일을 하기 시작했고, 고난이 닥쳐도 그것만은 포기하지 않고 지켜냈으며 그 결과 빈폴을 만들어 내고 성공시킨 것이다. 빈폴은 폴로를 뛰어넘는 쾌거를 이루어 내기도 했다. 그 안에는 원대연씨의 노력과 열정이 담겨 있다.

 

명품이란 무엇일까? 그건 한마디로 '고유의 가치를 가진 물건'을 가르키는 것이다. 빈폴을 탄생시키기 위해 원대연씨는 시대의 흐름을 읽을려고 노력했으며 미래를 내다보았다. 빈폴은 한국의 캐주얼 브랜드로 미국의 비지니스 스타 빌 게이츠 패션의 자유로움에 착안했고, 빈폴의 이름은 아이비리그 대학생들의 패션 스타일을 일컫는 말에서 명칭을 따왔다.현재도 자유로움은 패션의 트랜드가 되고 있는 것을 보면 그의 안목의 정확성에 놀랄 따름이다.

 

그는 브랜드 가치를 지키기 위해 노 세일, 좋은 품질, 디자인, 매장내의 디스플레이와 서비스 교육등 많은 부문에서 그는 새로운 전략을 세우고 실천해 나갔다. 내게 가장 와닿았단 건 노 세일이었다. 노 세일을 통해 고품격 이미지 구현을 지켜낼 거라는 그의 전략은 대다수 임원진들의 우려에도 성공하게 되었고 빈폴은 세일의 악순환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얻을 점 둘, 기업과 자신의 가치를 높여라.- 열정을 다해 일하라.

-기업과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원대연씨는 강조하고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 일을 하면서도 스트레스가 풀릴 수가 있고 열정을 다해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 역시도 좋아하는 일을 하였기에 잦은 야근과 출장, 해외전근까지 두말않고 견디어 내며 일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는 좋아하는 일을 하면 열정이 샘솟아 일의 능률이 높아지는 것을 보며 자신의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뽑을 때 그 점을 가장 높이 봤다고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찾고 그것에 열정을 다하는 거라고 생각한다.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속에는 원대연씨의 30년 인생에 걸쳐 기업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찬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것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 것은 그것을 하나씩 발견해낼 때마다 독자들은 나처럼 고개를 끄덕일 것이고 메모를 하며 자신의 가치를 높이자고 마음 속으로 외칠 그 행복을 뺏고 싶지 않아서이다.

 

#마치면서

-한 사람이 이룬 신화라고 보기에는 어마어마하기만 한 일들을 원대연씨는 해냈다. 원대연씨를 보면 내가 가장 감동했던 건 세가지였다. 그는 꿈을 꿀 줄 아는 사람이었다는 것과 그 꿈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라는 것 그리고 사람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이었다. 경영자는 사람을 소중히 여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그것을 실천하는 경영자는 드물다. 물론 그도 뼈아픈 구조조정을 하며 마음의 쓰림을 속으로 참아내기도 해야했지만 그는 직원들과의 술자리에 끝까지 남아 이야기를 들을려고 애썼으며 전국 지점의 관리자를 만나 그들이 부도가 나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도와주었다. 그가 이룬 가치경영의 신화도 놀랄 일이지만 그의 인간적인 경영방식에 더 마음이 기울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