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쪽으로 튀어! 1 오늘의 일본문학 3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쿠다 히데오, 공중그네에서는 뚱뚱한 이라부를 표지모델로 쓰더니 이번에는 보기에도 무시무시한 사람을 모델로 썼다. (책의 표지로 책 내용을 상상해보는 것은 내가 책을 고를 때의 버릇 중 하나이다. 예쁜 표지만을 좋아한다는 말이 아니라 독특한 표지로 책의 내용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는 표지를 좋아한다.) 책을 읽기 전에 내가 짐작 할 수 있는 것은 저 남자는 이라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두리뭉실한 이라부가 저런 각진턱을 갖을려면 혹독한 다이어트를 해야하는데 이라부는 절대 다이어트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아는 내게 저 남자의 존재가 궁금해진다. 고집스럽게 다문 입과 찢어진 눈은 '나 성격 까칠하오!'를 굳이 말로 설명하지 않아도 될만큼 확연히 보여준다. 그럼 저 사람 무엇때문에 저렇게 고집센 표정을 짓고 있는 것일까? 책 속으로 들어가보자.

 

책을 읽어 내려가자 저 남자의 존재가 확연히 들어난다. 초등학교 4학년인 딸과 6학년인 아들, 그리고 다 자란 큰딸과 찻집을 경영하는 부인을 둔  가장이 저 남자이다. 그런데 이 사람 가장임에도 프리라이터라는 직업을 가졌다고는 하지만 빈둥빈둥 집에서 놀기만 한다. 놀기만 하면 다행이다. 국민연금을 내지 않겠다고 버텨서 받으러 온 공무원이 올 때마다 매번 싸우기 일쑤이며 국민이면 돈을 내야한다는 말에 국민임을 포기하겠다고 당당히 외치기도 한다. 그의 꽉 다문 입술과 다부진 인상은 그 말이 허풍이 아님을 말해준다. 국민임을 포기한다는 남자 그는 무슨 생각일까?

 

#당신 정체가 뭐야? -우에하라 이치로씨!!

 

<“비겁한 어른은 되지 마. 이건 아니다 싶을 때는 철저히 싸워. 져도 좋으니까 싸워. 남하고 달라도 괜찮아. 고독을 두려워하지 마라.”>

 

-우에하라 이치로가 표지 속의 남자 이름이다. 젊은 시절에는 세상을 바꿔보겠다고 혁명당인 혁공동(아시아 혁명 공산주의자 동맹)에서 활동대장으로 이름을 날리기도 했지만 그 속에서도 권련다툼이 생기는 것을 보고 환멸을 느끼고는 무정부주의자 아나키스트가 되었다.

그가 꿈꾸는 세상은 지도에도 나오지 않은 그의 고향인 이리오모테 섬 옆에 있는 파이파티로마에 가서 사는 것이다. 소유물이 없기에 사람들은 욕심이 없고 싸움이 일어나지 않아 국가가 필요없는 낙원에 가는 것이 그의 꿈이다.

 

이렇게 우에하라 이치로씨를 정의하고 나니 책의 내용이 너무 무거운 것이 아니냐라는 말이 나올 수 있지만 절대 아니다. 오쿠다 히데오가 누구인가! 어려운 문제들도 가볍게 웃음을 내뿜게 만들지만 문제를 꼭 해결해주는 작가가 아니던가. 그는 우리에게 무거운 문제를 가볍게 해주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지로를 투입했다.

 

#지로, 아빠를 이해하기 시작하며 성장한다.

 

<어른들은 자신들이 어렸을 때의 일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 이런 식으로 일이 해결될 것이라고 진심으로 믿는다면 그때는 어지간히 태평한 시대였거나 아니면 착하고 순수한 청소년들의 낙원이였던 게 분명하다. >


-초등학교 6학년인 지로에게 가장 큰 골치거리는 단연코 아빠이다. 집에서 빈둥빈둥 놀기만 하는 아빠는 지로에게 하나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지로는 아빠가 오늘은 어떤 사고를 치지는 않을까, 학교에 와서 난리를 부릴까 이만 저만 걱정이 아니다. 다른 아이들처럼 평범한 아빠를 갖는 것이 소원인 지로는 남들과 다른 행동을 하고 생각을 하는 아빠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걸핏하면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된다고 하고 수학여행비가 너무 비싸다고 학교에 항의를 하는 아빠를 이해하기는 초등학교 6학년인 지로에게는 너무 힘이 들다. 여기서 지로는 책을 읽는 독자와 같다. 독자는 우헤하라 이치로씨의 생각과 행동을 보고는 어안이 벙벙해진다. '대체 저 사람, 제 정신이야?'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다.

 

하지만 지로에게 중학교 불량학생이 와서 돈을 갈취하고 폭력을 쓰는 것을 보며 지로는 사회의 한 단면을 보게 된다. 학교는 작은 국가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런 학교가 학생을 지켜주지 못하고 도움을 청한 학교에서는 폭력을 너무나 이상적인 방향으로만 취급하는 통에 지로는 더 큰 낭패를 보게된다. 비합리함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스스로 싸우는 길 밖에 없음을 알게된 지로는 국가는 필요없다는 아버지의 말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된다. 폭력을 사용해서 폭력으로 부터 벗어났지만 그건 더 큰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경험한 지로는 아버지가 말한 남쪽 섬에 사는 것도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번씩 해보기도 한다. 그리고 부모님은 정말 그 섬으로 가기로 정한다. 더이상 국가의 간섭을 받으며 살고 싶지 않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남쪽, 그곳은 어떤 곳인가?

 

<인류는 돈을 지닌 시대보다 지니지 못했던 시대가 훨씬 더 길었다. 그러한 인류 끄트머리의 기억이 아버지에게만 진하게 남은 것이다.>

 

-아버지가 가고 싶어했던 남쪽 섬인 이리오모테 섬으로 온 지로는 그곳에서 색다른 사회를 경험한다. 네것과 내것의 구별 없이 나눠주고 함께하는 마을 사람들을 보며 지로는 아버지가 꿈꾸는 세상이 상상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된다. 도시에서 아버지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구시대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으로 낙인 찍혔지만 남쪽 섬에서 아버지는 땀을 흘리고 누구보다 활짝 웃는 멋진 모습을 가진 남자였다는 것을 발견한 지로는 열심히 사는 아버지의 모습을 보며 전기도 없고 도마뱀이 천장에 붙어 있는 것을 보며 아침을 시작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하며 아버지의 생각을 하나씩 곰곰하게 짚어가며 천천히 이해해 나간다.

 

지로네 가족이 이사온 이리오모테 섬은 자신의 손으로 농사를 짓고 고기를 잡는다. 자신이 먹을만큼만 남겨두고는 남에게 나눠주기도 하며 자신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물건들을 쓰라며 가져다 주는 소유에서 오는 행복보다는 무소유에서 오는 행복이 더 크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아버린 곳이다. 나의 것이 없기에 남의 것도 없다는 사실은 사회적인 잣대를 누군가를 평가할 때 부나 지위가 중요함이 아님을 가르친다. 무소유가 주는 것은 나태하게 일을 하는 것이 아닌 욕심 없이 열심히 일하는 행복을 가르쳤고, 자연에서 주는 선물을 소중히 여기는 방법을 알려주었다.

 

 도쿄에 있는 친구를 그리워하는 지로도 불평쟁이 모모코도 도쿄에 남았다가 섬으로 온 누나도 남쪽 섬이 주는 선물에 감사해하고 이곳도 참 좋은 곳이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할 때 쯤  그 섬에 문제가 생긴다. 그 섬에 휴양지를 만들기로 한 사람이 나타나 지로네에게 집을 비우라고 하지만 그렇게 순순히 물러날거면 지로네 아버지가 아닐 것이다. 그들만의 전투가 시작되면서 지로네 가족은 똘똘 뭉쳐 섬을 지켜나갈려고 노력한다. 소중한 것을 얻기 위해서는 지킬 수 있는 용기를 가져야 함을 알려주는 이치로씨와 그의 가족을 보며 가슴이 뭉클해진다.

 

남쪽 섬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지로네 가족, 그들은 이리오모테 섬 근처에 있는 지도에도 없는 작은 섬, 지도에도 없기에 국가가 없는 자급자족 하며 소박하게 사는 파이파티로마에 갈 수 있을까? 당연하지라는 대답을 남쪽을 보며 하게 된다.

 

#마치면서

 

이리오모테 섬을 책을 읽고 찾아보았다. 정말 있을리가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 섬은 존재하고 있었다. 따뜻한 남쪽 바람을 불러 일으키며 존재하고 있었다. 그 섬이 존재한다는 것에

내 가슴 속에, 내 얼굴 위에 바람이 불어온다. 따스한 남쪽 바람이 내게 오라고 손짓하듯 불어오기 시작했다. 현실 속에 있는 섬을 오쿠다 히데오는 배경으로 삼았다. 그렇다면 정말 그 섬 옆에는 파이파티로마라는 섬도 있는 것일까? 그곳에 가보고 싶다는, 할 수 있다면 그곳에서 살고 싶다는 마음이 일렁인다. 그 섬에 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