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골에 이사 왔어요 신나는 책읽기 12
양혜원 지음, 최정인 그림 / 창비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속의 아이들의 모습이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오랜만에 보는 잠자리채와 송충이, 거미의 모습도 귀엽기만 하다. 잠자리채로 여름방학 숙제인 곤충채집을 하러 산과 들로 뛰어다니던 일 남자아이들이 송충이를 집어던지면 놀라서 울었던 일들이 웃음이 나면서 아련히 떠오른다.

 

아이들에게 시골은 언제가부터 명절에나 가볼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송충이를 만진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고 재래식 화장실이란 단어가 나오면 설명을 해주어야 하고 그 설명에 고개를 갸우뚱하며 상상할 수 없다고 호기심 가득한 표정을 짓는다. 시골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신나게 뛰어노는 발자국 소리를 들어보기는 이제 신기한 일이 되어가고 있다.

 

사람들은 잘살기 위해 도시로 나아가고 있고 아이들은 잘살기 위해 학원으로 내몰리고 있다. 잘살기 위해 도시로 간 어른들은 빡빡하고 치열한 도시에서 여유롭고 따스했던 시골을 생각하며 시름을 달래고 학원으로 내몰린 아이들은 하루라도 맘편히 뛰어놀고 싶다는 생각으로 가득차서 무거운가방이 더욱 무겁게 느껴진다. 그런 아이들을 볼때면 드넓은 들판과 산속을 내 집인양 뛰어다니던 내 어린시절이 고맙게 느껴진다.

 

이야기는 물이 맑은 여우내가 있는 여우골이란 시골마을에 채운이네 가족이 이사를 오면서 시작된다. 채운이네는 시골에서 농사짓고 사는게 꿈인 아빠와 시골로 오는 것을 반대했지만 이사와서는 누구보다 시골을 좋아하게 된 덜렁이 엄마, 재래식 화장실에 쌓인 똥탑이 무너질까 겁이 나 화장실에 가지 못하는 어리광쟁이 찬이, 학교 화장실에 빠뜨린 구두를 신고서도 룰루랄라 콧노래를 부르는 꽉채운이란 별명의 채운이까지 네 식구이다. 시골에 전부터 살던 사람이 아니라 도시에서 이사왔다는 것에서 요즘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자신과 같은 나이의 또래인 채운이와 찬이의 이야기에 읽는 아이들은 공감대를 형성할 것이고 웃음이 나는 재밌는 일러스트에 책 읽는 재미가 쏠쏠할 것 같다.

 

책은 네 식구가 여우골에서 살면서 벌어지는 웃음이 나는 좌충우돌 시골 적응기이다. 

 

시골이라 재래식 화장실을 써야하는 것은 아이들에게는 힘든 일텐데 그 이야기를 막내 찬이를 통해 똥탑이라는 표현을 빌려 웃음이 나게했다. 어린 시절 우리집 화장실도 재래식이었는데 찬이처럼 똥탑이 나에게 똥침을 놓치는 않을까 걱정했던 기억이 나면서 다리도 아프고 냄새도 나지만 그 똥탑이 밭의 거름이 되어 우리집 밥상을 풍요롭게 해주는 것을 보며 왜 재래식 화장실을 사용해야하는지 어렴풋이 이해가 되기도 했다. 아직 우리집 밖에는 아빠만 쓰는 재래식 화장실이 있어 밭에 거름이 되고 여전히 우리집 식탁은 초록빛으로 풍성해진다. 아이들에게 이런 것을 자연스레 알려주는 것은 시골이 주는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닐까한다.

 

똥탑이야기 외에도 얘들아, 조금만 먹어! 산지기 아빠, 눈무덤을 통해 자연은 사람만 살아가는 것이 아닌 동물들과 함께 살아가는 것임을 알려주는 이야기들이 많아 아이들에게 재미와 함께 스스로 깨달을 수 있게 하는 점도 마음에 들었다.

 

더불어 살아가는 것은 시골에서 배울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것과 동시에 가장 중요한 것임에 틀림이 없다. 도시에서 아무리 목소리를 높여 양보와 배려심을 가르쳐도 아이들은 대답만 할 뿐 실천하지 못하는데 비해 시골에서는 그것이 몸에 와닿기 때문에 자연스레 아이들도 몸에 익히게 된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무거운 가방에 끌려 학원을 돌고 도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에 이 책을 아이들에게 추천해주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10-11 1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티티새 2006-10-11 1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감사해요^^
방금 지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