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해항로 민음의 시 161
장석주 지음 / 민음사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알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를 동경하고 시 읽기를 감히 하는 이유는 시가 아프기 때문. 그리고 시가 주는, 시인이 주는 위로와 희망 때문일 것이다.  시를 읽으면 아프다. 가슴에 바람이 불고, 순간 손  끝이 얼어붙기도 하며,  출처를 알 수 없는 고독이 온몸을 휘감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가 좋은 것은 나만이 아프지 않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 짧은 글을 쓰기 위해 시인이 토해냈을 아픔과 슬픔을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그 역시 사람이기에 아파하고 있다는 것, 나만이 아프지 않다는 것, 나만이 외롭지 않다는 것에서 오는 안도감은 어찌나 따뜻하고 한줄기 빛과 같은지. 참으로 못된 이유로 시를 읽는다. 아파하면서 시를 읽지만 시가 주는 따뜻한 위로 또한 시를 읽게 만든다. 팍팍한 세상 속에서 시인이 쓴 희망을 노래하는 시는 얼마나 따뜻한지, 작은 것 하나에도 삶을 노래하는 시가 좋다.
 

 <몽해항로> 오랜만에 읽은 시는 생각 할 시간을 주고 위로를 주고 따뜻한 바람이 불게 한다. 시가 소설보다 짧은 이유는 읽는 시간을 줄어들게 함이 아닐 것이다. 시집은 소설책 한 권을 읽는 것의 배보다 더 한 시간이 소요된다. 생각하고 읽고, 또 생각하게 한다. 시집만큼 독자를 초대하는 장르가 또 있을까? 이해가 되지 않는 난해한 시를 흡수하기 위해 몇 십번이고 다시 읽다보면 시는 시인에게 미안하지만 내게 맞춰진다. 후에 또 다른 옷으로 내게 맞춰진다, 시는.

 

 몽해항로를 읽으며 여행을 떠났다. 푸른 획을 그은 바다를 안개를 헤치며 마치 꿈결처럼 아스라한 공기를 뚫고 시를 읽는다. 어찌하여 물방울은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는 것인지, 그 가벼움이 얼마이길래 안개로 남아있을 수 있는 것인지, 몽해항로 그 속에서 웃기도 하고 사색을 하고 숨을 가다듬기도 한다. 아직 더, 조금 더, 여행을 해야한다, 시를 이해하려면. 그래서 시가 좋다. 언제나 끝나지 않은 여행을 하게 해주기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