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 스트레스가 쌓일 때나 에너지 충전이 필요할 때 뭐 하세요?

- 도서관이나 서점 그림책 코너 앞에 철푸덕 앉아 몇 시간이고 그림책을 봐요.

 

그저 읽는게 좋다. 글자를 읽고 책장을 넘길 때 나는 소리가 좋고 단순히 책과 함께 하는 순간이 편안함을 주고 날 웃게 하고 운전을 하다가 운동을 하다가 걷다가 문득 책 구절이 힘을 줄 때가 있다는 것을 위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이 늘 신기하다는 것이 내가 책을 읽는 이유라고 말을 하면 주변 반응은 이해하기 어렵다거나 혹은 우와- 로 그치고 만다.

 

 그저 단순히 읽는 행위를 휙휙 넘어가는 즐거운 책을 좋아하는 것 뿐인데도 책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려 하면 이야기는 지루한 이야기로 바뀐다고 단정지어지고 만다. 이런 환경 속에서 도서관과 서점에 사람들이 북적일 때면 마냥 행복해진다.그들이 서점 귀퉁이에서 책을 읽는 모습을 보면 괜시리 마음이 따뜻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 함께 읽어가는 시간, 설령 그들이 나를 모르고 내가 그들을 모른다고 해도 책으로 이어져 있음이 느껴질 때는 앞에 있는 책을 안아줄 수밖에 없는 일이다. 책 카페를 통해 책읽기 초보인 내게 참으로 좋은 책을 알려주는 고맙고도 고마운 분들을 만나게 되고 친구를 사귀게 됨은 책이 내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는 일이 직업으로 인해 밀려나게 되면서 책을 읽지 못하는 행위가 주는 답답함과 슬픔이 생각보다 커서 시간을 훔치기 위해 애를 쓰는 내게 매력적인 책 제목이 눈에 띈다. <한국의 책쟁이들> 제목만으로 책을 읽는 이라면 한 번쯤 눈길이 멈추고 들쳐보고 싶게 만든다.

 

  책쟁이가 되고 싶다고, 글쟁이가 되고 싶다고 책을 읽는 사람으로서 한 번 생각해보지 않은 이가 어디있을까? 책으로 잘 통하는 친구와 도서관에 몇 달만 감금되면 좋겠다고 우스운 소리를 할 만큼 책이 좋으면서도(책이 좋다는 것과 많이 읽는 것은 다르다, 난 책이 좋은쪽;;;;) 직업을 핑계되고 삶의 무게를 핑계 되고 마는데 책쟁이들은 대체 어떻게 책쟁이로 불릴만큼 책을 모으고 읽는 것인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책장을 넘길수록 아, 책을 읽고 싶다는 욕구가 앞선다. 더 많이 더 깊이 책을 읽고 싶다. 죽기 전에 난 얼마나 많은 책을 만날 수 있을지 보다 내가 만나지 못할 책들이 날 슬프게 만드는 것이 사실. 명작이라고 불리는, 고전이라고 불리는 책들의 아름다움을 20대 후반이 훌쩍 넘어서야 알게됨에서 오는 애석함은 얼마나 큰지 책 속에 나오는 한 분, 한 분을 만날 때마다 책에 둘러싸인 그 삶을 부러워라 가슴 떨리게 상상하고 되새기고 마는 것이다.

 

 이 책은 한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가까이 하지 못하는 내게 굉장히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책, 책만큼 다양한 세상을 만난 적이 없다. 책 속에 사람이 있고 삶이 있고 감정이 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세상이 내게는 한 권의 책이 된다. 그 세상 속에서 내가 내딛는 발걸음이 한 글자가 되고 내 행동이 한 문장이 된다. 바라게 된다. 나 역시 책에 둘러싸여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 둘러싸여 살아가기를. 나역시 그랬던 것처럼 누군가에게 책을 향한 마음을 선물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