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리야, 바리야. 내 귀여운 우리 바리야......
 

 책을 덮었음에도 바리의 할머니의 음성이 들려온다. 바리데기 공연이나 소리를 들은 것도 아님에도 바리데기 설화를 알게 된 것도 그림책으로 본 <바리공주>가 전부인데도 살아난다. 바리공주가 그토록 찾고자 했던 생명수를 봤냐며 두 눈에 슬픔을 가득담고 쳐다보는 바리의 얼굴이 살아나고 바리의 꿈 혹은 현실에서 나와 바리를 인도해주려 하는 할머니의 목소리가 살아난다. 이것은 작가의 힘인가? 들어보지 못한 소리의 정체는 정말 바리의 할머니일까!

 

 #바리데기, 현대로 돌아온 설화-그 절묘함.

 

 설화 속의 바리공주는 바리데기로 불렸다. 왕의 일곱째 딸로 태어나 살아있는 것이 죄여서 버려진 공주, 그래서 바리데기로 불렸다고 한다. 버렸음에도 세상이 살리려 했고 숲 속 깊은 곳 꽁꽁 감춘 듯 살아야 했던 바리데기. 바리데기 버린 슬픔이었을까 왕이 몸져 눕자 저승에 있는 생명수가 낫게 할 수 있다는 의원의 말에 왕비는 여섯 딸을 모두 부르지만 아니간다 하니 믿을 곳은 바리데기 뿐이라 바리데기를 찾아 물으니 바리데기 세상에 낳아준 부모를 찾아 간다 한다. 그 길 멀음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그 길 아픔이야 말해 무엇하겠는가.

 

 책 속 바리는 북한에서 부유한 고위 관리 집 일곱째 딸로 태어나 버려지지만 역시 바리공주처럼 살아난다. 영특함과 따뜻함을 가슴에 가진 아이, 바리. 가슴 속에 별을 품고 있는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가 바리가 아닐까? 설화 속 바리에 고된 길을 걷게 하는 것은 아버지의 병이었으나 책 속에서는 북한의 극심한 식량난과 외삼촌으로 인한 집안의 몰락이다. 그 몰락 속에서 걸어가야 하는 바리는 설화 속 바리공주처럼 불쌍하되 빛이 나고 안쓰럽지만 강인하다. 부드러운 강인함, 바리는 생명수를 얻을 수 있을까.

 

 북한이란 장소, 바리가 태어나고 자랐을 때의 시대가 나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그 시대가 내게는 충격이다. 나는 음식을 남겨 버렸고 그 시대의 북한은 먹을 것이 없어 강을 넘다 죽고 걸어가다 죽었다. 바리데기의 설화를 현대에 이끌어 오는 길에 북한이란 공간적 배경은 작가가 말하는 바와도 잘 맞아 들어간다.

 

#바리, 함께 걸어가요, 할머니가 인도해주는 길로......

 

  책 속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바리의 이야기는 이상하리만치 축약된 것처럼 읽힌다. 그저 살아감을 문장으로 정의 내린 글들은 감흥을 주기에는 부족한 듯 보였다. 그런 부족함을 채워주는 것이 바리가 꿈 속에서 (어쩌면 꿈이 아닌) 칠성이의 안내로 찾아가는 하얀 길 위에서 만난 할머니와의 이야기이다. 그 문장들로 인해 바리가 겪는 아픔과 삶의 추악한 진실 그럼에도 우리가 버리지 말아야 하고 지켜내야 할 것들이 보인다.

 

 할머니의 말은 꼭 타령을 듣는 것처럼 내 귀를 울리고, 바리의 절규는 마음을 애인다.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바리는 자신의 슬픔을 꿈에서 풀고, 자신이 안아야 할 것들을 꿈에서 깨닫는다. 그 시간은 어쩌면 꿈이 아닐거란 생각이 든다. 제대로 읽기 힘든 부분이었음에도 술술 읽힌 것은 아마도 눈길보다는 귀로 그 부분을 읽었기에 가능했는지도 모른다.

 

#바리데기, 당신이 알려준 생명수...나는 어찌 해야 할까요?

 

 바리가 구하려는 건 무엇일까? 인류, 세상? 아니면 자신? 바리데기 설화와 북한을 가져온 것은 작가가 생각하는 평화의 길을 보여주기 위함이란 생각을 했다. 그 뜻을 전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책의 뒷부분에서 가졌던 실망감을 감출 수 있기에.

 

 생명수는 우리 곁에 있다. 먹으면서도 먹는지 모르고, 곁에 있으면서도 있는지 모르고. 주위를 둘러보지 않는 우리들 곁에 언제나 존재했던 그것은 우리의 손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먹어주기를, 사람의 손마다 전해주기를. 또 하나, 그것을 우리의 탐욕으로 덮어 보이지 않게 만들지 않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누구나 다 아는, 배려와 타협은 평화의 지름길이라는 것을 작가는 바리를 통해 보여주려는 것 아닐까? 소재와 구성 또한 좋았음에도 무엇이 부족한 걸까? 스스로 평화를 지키는 생명수를 가지고 있음에도 마음의 파도가 일지 않는다. 알고 있음에도 행동하지 않으려함은 내 못된 성격 때문인걸까?

 

 바리의 힘든 여정만으로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힘이 들어 더욱 미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