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반짝 빛나는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성애자인 무츠키, 정신이 불안정한 쇼코, 무츠키의 연인인 곤, 쇼코의 절친한 친구인 미즈호. 역시 동성애자인 무츠키의 동료 카키이, 카키이의 연인인 카지베.
무츠키와 쇼코는 얼마전에 결혼한 부부이다. 요즘 드라마에 흔히 나오는 계약 결혼은 아니고, 서로를 마음에 들어하고 좋아하고 있다. 하지만 서로 열렬히 사랑하고 있지는 않는 듯 하다. 쇼코와 무츠키는 관계를 맺지 않을 뿐더러, 쇼코는 무츠키와 곤의 관계를 인정하고 존중하고 있다.

사랑과 연애와 결혼은 지극히 개인적인 일이지만, 동시에 그렇지 않기도 하다. 우리의 삶이 그렇듯이 말이다. 무츠키와 쇼코 본인들은 서로를 인정하고 아끼고 좋아하고 있지만, 그들의 부모님은 그들을 그 모습 그대로 가만히 내버려두지 않는다. 아니, 부모님 이전에 그들 스스로가 무언가에 억눌리고 쫓기어, 신경질을 부리고, 지나치게 신경쓰고 배려하려하고, 그러다가 상대방에게 상처를 줘 버리고 만다.

결국 그들은 현실과 적당히 타협한다. 무츠키는 쇼코의 부모님에게 곤과의 관계를 정리했으며, 앞으로는 정상적인 부부의 삶을 살아가도록 노력하겠다 약속한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와 곤, 쇼코와 파티를 벌인다. 과거에는 적당히 현실과 타협하는 주인공의 모습에 화를 냈을지도 모르겠지만, 오늘은 살아가기 위해선 적당히 타협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

덧. 부부관계에서 성관계를 맺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덧2. 서로 사랑하는 남녀만으로 이루어진 가족이 아닌, 서로 사랑하는 세남녀-혹은 세남자, 세여자- 또는 그 이상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는 가족이 내 눈앞에 보여진다면, 소설을 통해 받아들였던 것처럼 덤덤하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덧3. 무츠키와 곤의 관계를 무덤덤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나는, 그들의 사랑을 이해하고 인정해서가 아니라 이건 단지 소설일 뿐이니까 라고 안심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덧4. 자주 느끼는 건 아니지만 남성 작가의 글과 여성 작가의 글은 큰 차이점이 있다. 무어라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그 차이점 때문에 태백산맥과 아리랑을 실컷 읽은 후 바로 토지를 집었을 때 무언가 어색하고 거북해서 한장도 못 넘겼더랬다. -그래서 아직 토지는 한 권도 못 읽고 있다.- 나에겐 하루키의 소설과 가오리의 소설은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소설들이고, 그래서 여자 무라카미 하루키라고 불린다는 작가 소개의 글은 매우 거북했다.-이렇게 뚜렷하게 다른 두 작가를 같다고 말하다니...- 물론 여기서 하루키는 그의 개성과 독특함을 의미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베스트셀러 작가라는 일반 명사로 사용한 것이지만. 그럼 더 거북하다. -하루키와 가오리를 베스트셀러 작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존재로 만들어버리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