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상당한 스포일러가 있음  

 

이 소설은 잘 씌여진 소설이다. SF 입장에서 바라본 이야기로도 훌륭하고, 순수 문학 입장에서 바라본 이야기로도 훌륭하다.
SF 입장에서 잘 써졌다 라고 이야기하려면 일단 이야기 자체 만으로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하나의 설정만 인정하고 들어가면-이 책에서는 높이 2,048m, 674층의 '빈스토크' 타워에 인구 50만 명이 산다는 설정이 이에 해당된다. 일단 이 부분은 그렇다고 인정하면서 소설을 읽어야 한다. -이후 전개되는 이야기는 소설 안에서 논리적 타당성과 정당성을 가져야 한다.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의 대립, 층별 이동 엘리베이터의 복잡함, 그리고 그렇기에 비상시 병력 이동에 대비한  정부 부서의 존재하는 것 등은 674층의 건물 존재를 인정하면 그럴 듯하게 들린다. 이야기 자체의 타당성 뿐만 아니라 이야기 자체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있어야 한다. 그럴 듯한 사실만 나열한다면 그것은 소설이 아닐 것이다. 앞에서 이야기된 그럴 듯한 사실들이 유기적으로 잘 엮여져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면에서 타워는 잘 씌여진 SF소설이 분명하다. 나는 이 소설이 국내 작가에 의해 씌여졌다는 사실 자체에 흥분된다. 드디어 가까운 곳에서 관심을 가지고 응원할 수 있는 SF 작가를 가지게 되는가!!

SF에 생소한 사람들에게도 이 소설을 매혹적이다. 앞에서 이야기한 그럴 듯한 SF 설정들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일들과 기묘하게 겹쳐진다. 수직주의자와 수평주의자의 대립은 우리나라 좌우 이념 대립과 비슷해 보이고, 시위를 막기 위해 코끼리가 동원되는 장면은 촛불 시위 강경 진압과 겹쳐진다. 영화에 출연하는 개가 미세 권력의 중심지 중 하나로 파악되고, 부동산 중 비싼 곳을 소유하고 있으며, 멍멍 짖을 뿐이지만 상당히 그럴 듯한 인터뷰가 이루어지는 모습도 마찬가지다. 시장 직통 엘리베이터 설치는 담고 있는 의미는 다르지만 이명박 대통령의 청계천 복원과 대운하 정책과 묘하게 모양새가 닮았다. 그래서 SF에 생소한 사람들도 키득거리며 읽을 내용이 많다.

왜 배경이 타워였을까 생각했다.
일단 상당한 높이의 타워는 바벨탑을 생각하게 한다. 인간의 능력에 대한 오만함의 극치, 그 오만함의 결과로 나타나는 갈등과 혼란, 멸망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빈스토크'도 건물의 존재 자체와 건물의 유지 모두 고도로 발달된 과학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바벨탑을 닮았다. 반면 고도로 발달된 과학 문명의 결과물이면서 외부 환경 변화에 극도로 취약하다는 점에서-건물 내부에서 터진 폭탄 한 발에 50만 인구의 대피 소동이 벌어졌다. 그 우와좌왕하는 모습들이라니- 과학 문명의 양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배경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빈스토크' 는 심해저나 우주에 설치된 기지를 닮았다.

하지만 '빈스토크'는 바벨탑처럼 무너지지 않는다. 이것이 작가가 진정으로 말하고자 했던 바이다.
'타클라마칸 배달 사고'에서는 '빈스토크' 안으로 입주하면서 헤어진 연인이 나온다. '빈스토크'로 들어온 이는 사회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리지만 '빈스토크' 밖에 있는 이는 헤어진 연인을 찾아 '빈스토크' 안으로 입주하기 위해 '빈스토크' 용병을 지원했다 작전 중 사막에 불시착한다. '빈스토크' 당국은 해당 작전에 자신들은 무관하다 주장하며 수색 작전에서 한발자국 물러나 있는 상황이다. 편지 배달 사고로 이 사실이 '빈스토크' 안에 있는 이에게 늦게 전달된다. 그러나 민간인 입장에서 사막에 불시착한 이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그와 편지를 늦게 배달한 원인이 된 이는 해당 지역의 관광용 위성 사진을 구해 구역을 나누어 인터넷에 올려놓는다. 일일이 눈으로 찾기에는 너무 넓어 몇 년이 걸릴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네티즌들이 발벗고 나서 각 구역을 나누어 찾아본다. 결국 몇 번의 시행 착오 끝에 사막에 불시착했던 이의 위치가 발견된다.
이 이야기에서 '빈스토크'의 타지역 사람들에 대한 폐쇄성이 나오고, '빈스토크'에 입주하면서 헤어지는 연인 이야기가 나오고, 자신들이 행한 군사 작전 임에도 나몰라라 하는 '빈스토크' 행정부가 나온다. 하지만 이 일을 모른척하지 않고 나서는 이들이 있고, 그들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방도 내에서 최선을 다한다. 그리고  이들을 도와주는 네티즌들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인간이 처한 어려움을 모른척하지 않는 이들이 있다면, 그리고 그들이 발벗고 나서준다면 희망이 있다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인터넷이 그들의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샤리아에 부합하는' 는 빈스토크와 코스모마피아와의 전쟁이 배경이다. 코스모마피아는 최후의 수단으로 빈스토크 내 설치되었던 폭탄을 터뜨리고자 한다. 이 폭탄은 빈스토크의 건설 당시부터 주의깊게 숨겨져 설치되었고, 그 구역에 위치한 건물을 이슬람인들이 매입해 65년째 거주하고 있다. 빈스토크에 잠입한 스파이는 코스모마피아의 지령을 받아 건물들을 매입하고, 폭탄을 설치해서 폭파 타이머를 설정해 놓는다. 그러나 코스모마피아의 최후 통첩의 날이 되었지만 7개의 폭탄은 아무 것도 터지지 않는다. 건물을 지키고 있던 주인들이 65년간 빈스토크에 머물면서 이곳이 바벨탑 이기만 한 곳은 아니라는, 이 곳도 따뜻한 피가 흐르는 인간이 사는 곳이라는 것을 깨달은 거다. 그래서 차마 자신의 손으로 폭탄을 터뜨릴 수 없어 자신에게 맡겨진 폭탄의 일부를 고장내 놓은 것이다.
이 내용도 코스모마피아와의 전쟁에서 피해가 발생하자 발부터 빼는 정치인들의 모습, 전쟁이 심화되자 부자들부터 안전한 지대로 대피하는 모습-부자들이 살다 빠져나간 고층 지역에 중산층, 서민들이 자리잡는 모습은 낄낄거리며 웃기엔 마음 한편이 불편해진다-정부를 비판하는 이들의 체포, 조사에는 발빠른 모습을 보여주던 검찰이 폭탄을 찾기 위한 압수 수색을 요청할 때는 책임을 지기 싫어 발뺌하는 모습 등, 부정적이고 천박한 빈스토크 사회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라 더욱 공감이 가는 것 같다.  

'그래, 알아 알아. 이 사회 부정 부패가 만연해있고, 정부는 무능하고, 부자들은 자기 배만 불리려 하고, 가난한 이들과 약자들은 계속 살기가 힘들고, 사람들은 물질만 추구하고, 사회가 갈수록 냉정하고 이기적으로 변하고 있고, 문제도 탈도 많은 사회이지. 하지만 이 사회도 사람들이 살고 있는 사회이고, 한편으론 인간미와 따뜻함이 존재하기도 해. 그리고 인간미와 따뜻함이 존재한다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겐 희망이 있는게 아닐까' 라고 작가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