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김훈 씨의 문장이 단정하고 간결하다는 이야기를 몇 번 들었었다. 책을 읽기 전에는 길이가 짧고 수사법 없이 단문으로 끝나는 문장을 상상했었다. 막상 책을 읽자 문장이 간결하다는 것이 아니라 글의 전개 방식 자체가 간결하다는 의미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설은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오자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피난부터 가고, 남한산성에서 청나라 군대에 포위된 채 40여일을 보내야 했던 당시 조선의 상황을 설명해주지 않는다. 첫 페이지부터 청나라 군대가 쳐들어와 조정은 부랴부랴 피난길에 나선다. 몇 페이지 지나면  왕은 남한산성에 도착해있고, 그 주위에 청나라 군대가 에워싼 풍경이 펼쳐진다. 그래도 남한산성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따라가다보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가 왕이 되었다는 것,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면서 조정 내에서 일어나는 혼란과 갈등, 무능한 조정과 관리들, 정묘호란으로 강화도에 피난 갔었던 일 등을 저절로 알게 된다. 
 

작가는 남한산성 안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 왜 명나라와 청나라의 교체기를 제대로 판단해서 지혜롭게 처신하지 못했느냐 라든지, 청나라가 쳐들어오기 전에 미리 대비를 못했느냐 같은 비난도 하지 않는다. 다만 남한산성 안에 갇혀서 버티자니 성안의 식량과 물품이 충분하지 않고, 맞서 싸우자니 군사가 없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그리고 그 상황 앞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무력해지고 좌절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하는지 보여줄 뿐이다. 그래서 독자들은 신하들의 논쟁 앞에서 무력한 인조나 끝까지 맞서 싸우자 주장하는 김상헌, 항복하고 화친을 맺자는 최명길, 이래저래 군사적 문제에 대해 무능한 영의정 김류, 그들을 조롱하는 일반 병사들 모두 연민의 눈으로 바라보게 된다. 이 소설에는 위기의 상황을 지혜와 용기로 헤쳐나가는 영웅이 없다. 왕이나 체찰사같은 감투만 썼을 뿐이지, 모두 막상 다가온 현실 앞에서 우왕좌왕하고 좌절하고 실패하는 그저 나같은 보통사람들 뿐이다. 그래서인지, 왕이 항복을 결정한 페이지부터 내내 울면서 책을 봤다. 그들이 느끼는 무력감과 좌절감 등을 왠지 알 것 같아서 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