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 바이러스 - 전도하는 교회 만들기
마크 미텔버그 지음, 이용중 옮김 / 부흥과개혁사 / 2006년 10월
평점 :
절판


제3세계 선교지에서 선교를 하고 노년에 영국으로 돌아온 레슬리 뉴비긴은 돌아온 유럽 땅을 새로운 선교지로 선포하여 교회에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바 있다. 당시의 유럽은, 전도는 고사하고 점점 비그리스도인의 비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유럽과 북미의 기독교 문화를 물려받은 우리나라도 조금씩 그 낌새가 보인다. 전도가 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몇몇 본이 될만한 교회들 가운데에서 전도의 효과가 드러나고 있다. 릭 워렌 목사의 소그룹 운동으로 유명한 새들백 교회와 순수 비기독교인의 전도율이 높기로 유명한 윌로우크릭 교회가 바로 그러한 교회들이다.

본서는 그 중 하나인 윌로우크릭 교회에서 전도 담당 부회장으로 있는 마크 미텔버그의 전도법 특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이 책은 단순한 방법론에 관한 내용은 아니다.

미텔버그의 전도법은, 현대에는 개인을 회심시키는 전통적인 방법에 한계가 있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현대 신학에서 개인의 회심을 강조했던 것과 더불어 공동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는 점과도 일치한다.

또한 미텔버그는 ‘문화’라는 수렁이 복음을 복음으로 받아들이는 데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그는 공동체에서 현대성에 기인하여 복음의 본질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에 집중한다. 그러기 위해, 그는 먼저 개인이 아닌 ‘공동체’가 전도하는 훈련을 선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공동체가 형성되고 난 후에야 비로소 효과적인 전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정리하자면 복음의 핵심은 변하지 않지만 그 복음의 핵심을 받아들이려면 현대의 사람들에게는 그들에게 적합한 문화의 옷을 입고 공동체 안에서 그 복음이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서는 전도의 당위성을 설파하는 것 이상의 가치가 있는 책이다. 이제까지 전도의 패러다임을 크게 전환하는 분기점이 된 사역의 현장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기록이기 때문에 더 소중한 것이다.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놀라운 부흥과 회심 이야기 조나단 에드워즈 클래식 1
조나단 에드워즈 지음, 백금산 옮김 / 부흥과개혁사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나단 에드워즈는 제1차 영적 대각성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지식과 영성을 두루 겸비한 설교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학문적인 지식과 결심문에서 드러나는 금욕적인 삶의 모습들은 그의 저작들을 더욱 빛내주는 역할을 한다.

조나단 에드워즈의 <놀라운 부흥과 회심 이야기>는 교회사에 있어서 최초 부흥 역사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기록이라 평할 만 하다. 조나단 에드워즈는 그의 후반 저작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신앙감정론>에서 보여준 정교한 부흥의 심리적인 부분을 이미 본서에서 잘 정리해 놓고 있다. 또한 무엇보다 신학적인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서 철저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진정으로 회심한 이들에게서, 그리고 교회에서 발생하는 영적인 변화를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본서는 서론에서 시대적인 배경과 부흥 역사의 중심에 서 있던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명을 덧붙임으로서 이러한 원문의 중요함을 잘 인식시키고 있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잘 정리된 소제목들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한 눈에도 에드워즈의 글을 일목요연하게 간추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친절한 배려가 내용에 대한 호기심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해서 조금은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어쨌거나 조나단 에드워즈는 생은 짧았으나 그 설교들은 한편 한편 정말 주옥과 같아서, 지금도 우리에게 귀감이 되는 영적 거인임에 틀림없다. 그의 설교를 이 시대에도 대할 수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크나큰 유익임에 분명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기독교 강요 3-4권 합본
존 칼빈 원작, 김종두 글.그림 / 생명의말씀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 기독교강요>, 기독교강요를 위한 최고의 입문서이자 개론서

 저 유명한 존 칼빈의 기독교강요는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평생에 한 번은 꼭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독교 고전들 가운데 단연 으뜸이라 할 만 하다. 그 방대함에 주눅이 들긴 하겠지만 종교개혁 이후 기독교 교리의 초석이 되는 이 책은 현대의 많은 신학자들과 설교자들에게도 큰 도전과 은혜의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내용의 어려움과 분량인데 번역된 서적도 600페이지에 달하는 정도이니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읽은 평신도라면 이 책을 막 시작하려는 직전의 부담감을 어느 정도는 느낄 법도 하다.

 <만화로 보는 세계선교 발달사>의 저자인 김종두 선생의 신간이 나왔다. 이 분이 그려낸 책은 다름아닌 바로 이 <기독교 강요>다. 만화로 그려진 기독교강요라니. 문득 드는 생각이 있다면 이 책이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일 것이라는 추측이다. 사실 나도 어릴 적 신약성경을 각색하여 녹음한 테입과 그림으로 된 책을 읽으면서 자랐고, 지금와서 돌이켜 보면 그 책은 약간의 어색함과 촌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내 신앙의 배경이 되는 데에 일조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야곱이나 모세의 이야기이면 몰라도 추상적이고 신학적인 내용들로 가득 채워진 기독교강요를 어린이에게 읽힌다는 건 어떤 면에선 무모해 보이기까지 하니까.

 이 얘기는 잠간 접어두고 책 이야기를 다시 해 보자. 이 책의 시작은 곧장 기독교강요의 내용으로 이끌지 않는다. 어쩌면 저자의 의도가 그런 것일 수 있었겠지만, 만화의 시작은 칼빈의 <기독교강요>가 어떤 책인지, 칼빈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2권 중 첫 권 223페이지 가운데 100페이지를 할애하였으니 거의 1/4의 분량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책은 저자가 감동을 받은 칼빈의 책에 대한 초대이자 그 내용을 재미있게 혹은 쉽고 명료하게 설명하려 한 시도인 셈이다. 만화라는 필터를 통해 저자가 보여주려는 기독교강요의 매력은 실로 대단하며 이러한 매력적인 책에 대해 저자는 특유의 상상력과 예화들을 동원하여 우리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칼빈과 그 값진 책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만들고 있다.

 본 만화는 2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권의 기독교강요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다. 교리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손에 잡히지 않는 추상성에 대한 철학적, 혹은 사색적 접근을 독자의 머리 속에 인식시키는 것이리라. 신학 서적을 접할 때 겪는 이러한 어려움은 적어도 나에게는 매번 존재하는 부분인데 그럴 때마다 나는 자주 이러한 내용을 시각적으로, 혹은 명료하게 표현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도구가 없을까 하는 상상을 자주 하곤 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의 탁월함은 만화라는 매개물을 사용한 것 자체에 큰 가치를 둘 수 있겠다. 만화라고는 하지만 교리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추상적인 이미지의 가시화는 그림이라는 매개물이 효과적이라는 깨달음을 얻은 것은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누구가 가질 법한 생각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책은 내가 볼 때에는 내 유년기 때에 추억으로 남아있는 촌스러운 신약성경 이야기처럼 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여진 것은 아닌 듯 하다. 오히려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성인경 목사님의 <프란시스 쉐퍼 읽기>란 책이 머리 속을 맴돌았다. 대학 시절 프란시스 쉐퍼는 기독교세계관에 관심이 많던 나에게는 하나의 넘어야 할 산과 같은 존재였으나 그의 전집은 그 분량이나 내용면에서 그 시기의 나를 압도했다. 철학자들부터 시작해서 성경 해석, 문화, 역사... 무엇보다 그 어려운 내용의 전집 분량이 만만치 않았고 나는 한 두 권의 책을 읽고는 쉐퍼의 핵심 메시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 때 가뭄의 단비처럼 만난 책이 성인경 목사님의 쉐퍼 사상 입문서이자 개론서인 <프란시스 쉐퍼 읽기>였다. 그 책은 쉐퍼에 대한, 그의 전집에 대한, 그리고 그의 사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적당한 분량의 책이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쉐퍼 전집이 그렇게 힘든 책이었나 싶지만 그 때에 그런 책이 없었다면 나는 이십대 초반에 기독교세계관의 매력을 파헤치는 데에 주춤하며 멈춰섰을 것이다. 이제와서 그것들을 잃는다고 생각하니 생각만으로도 아찔하다.

 김종두 선생의 만화는 그런 책이다. 기독교강요를 위한 입문서이자 개론서로서 그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만화를 택했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선택은 정말 유효적절했고 기독교강요를 정말 가장 잘 설명하였다는 생각이 든다. 사족으로 덧붙이자면, 그러면 이 책은 어린이들을 위한 책이 아닌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문제는 이 책의 의미를 되새기려면 많은 시간이 걸려서야 가슴판에 새겨질 그런 책이라는 거다. 어쩌면 어린이에게도 더 효과적일 수도 있겠다.
 아이들은 어린 시절의 시각적인 기억을 더 생생하게 기억하기 때문에 말이다. 기독교강요를 읽자. 힘들다면 이 책의 도움을 받으라. 그리고 원서의 기억이 희미해질 때 가볍게 다시 꺼내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기독교 강요 1-2권 합본
존 칼빈 원작, 김종두 글.그림 / 생명의말씀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 기독교강요>, 기독교강요를 위한 최고의 입문서이자 개론서

 저 유명한 존 칼빈의 기독교강요는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평생에 한 번은 꼭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독교 고전들 가운데 단연 으뜸이라 할 만 하다. 그 방대함에 주눅이 들긴 하겠지만 종교개혁 이후 기독교 교리의 초석이 되는 이 책은 현대의 많은 신학자들과 설교자들에게도 큰 도전과 은혜의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내용의 어려움과 분량인데 번역된 서적도 600페이지에 달하는 정도이니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읽은 평신도라면 이 책을 막 시작하려는 직전의 부담감을 어느 정도는 느낄 법도 하다.

 <만화로 보는 세계선교 발달사>의 저자인 김종두 선생의 신간이 나왔다. 이 분이 그려낸 책은 다름아닌 바로 이 <기독교 강요>다. 만화로 그려진 기독교강요라니. 문득 드는 생각이 있다면 이 책이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일 것이라는 추측이다. 사실 나도 어릴 적 신약성경을 각색하여 녹음한 테입과 그림으로 된 책을 읽으면서 자랐고, 지금와서 돌이켜 보면 그 책은 약간의 어색함과 촌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내 신앙의 배경이 되는 데에 일조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다. 야곱이나 모세의 이야기이면 몰라도 추상적이고 신학적인 내용들로 가득 채워진 기독교강요를 어린이에게 읽힌다는 건 어떤 면에선 무모해 보이기까지 하니까.

 이 얘기는 잠간 접어두고 책 이야기를 다시 해 보자. 이 책의 시작은 곧장 기독교강요의 내용으로 이끌지 않는다. 어쩌면 저자의 의도가 그런 것일 수 있었겠지만, 만화의 시작은 칼빈의 <기독교강요>가 어떤 책인지, 칼빈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2권 중 첫 권 223페이지 가운데 100페이지를 할애하였으니 거의 1/4의 분량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책은 저자가 감동을 받은 칼빈의 책에 대한 초대이자 그 내용을 재미있게 혹은 쉽고 명료하게 설명하려 한 시도인 셈이다. 만화라는 필터를 통해 저자가 보여주려는 기독교강요의 매력은 실로 대단하며 이러한 매력적인 책에 대해 저자는 특유의 상상력과 예화들을 동원하여 우리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칼빈과 그 값진 책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만들고 있다.

 본 만화는 2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권의 기독교강요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다. 교리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 어려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아마 손에 잡히지 않는 추상성에 대한 철학적, 혹은 사색적 접근을 독자의 머리 속에 인식시키는 것이리라. 신학 서적을 접할 때 겪는 이러한 어려움은 적어도 나에게는 매번 존재하는 부분인데 그럴 때마다 나는 자주 이러한 내용을 시각적으로, 혹은 명료하게 표현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도구가 없을까 하는 상상을 자주 하곤 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의 탁월함은 만화라는 매개물을 사용한 것 자체에 큰 가치를 둘 수 있겠다. 만화라고는 하지만 교리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추상적인 이미지의 가시화는 그림이라는 매개물이 효과적이라는 깨달음을 얻은 것은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은 누구가 가질 법한 생각일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이 책은 내가 볼 때에는 내 유년기 때에 추억으로 남아있는 촌스러운 신약성경 이야기처럼 어린이를 대상으로 쓰여진 것은 아닌 듯 하다. 오히려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성인경 목사님의 <프란시스 쉐퍼 읽기>란 책이 머리 속을 맴돌았다. 대학 시절 프란시스 쉐퍼는 기독교세계관에 관심이 많던 나에게는 하나의 넘어야 할 산과 같은 존재였으나 그의 전집은 그 분량이나 내용면에서 그 시기의 나를 압도했다. 철학자들부터 시작해서 성경 해석, 문화, 역사... 무엇보다 그 어려운 내용의 전집 분량이 만만치 않았고 나는 한 두 권의 책을 읽고는 쉐퍼의 핵심 메시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웠다. 그 때 가뭄의 단비처럼 만난 책이 성인경 목사님의 쉐퍼 사상 입문서이자 개론서인 <프란시스 쉐퍼 읽기>였다. 그 책은 쉐퍼에 대한, 그의 전집에 대한, 그리고 그의 사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적당한 분량의 책이었다. 지금 돌이켜 보면 쉐퍼 전집이 그렇게 힘든 책이었나 싶지만 그 때에 그런 책이 없었다면 나는 이십대 초반에 기독교세계관의 매력을 파헤치는 데에 주춤하며 멈춰섰을 것이다. 이제와서 그것들을 잃는다고 생각하니 생각만으로도 아찔하다.

 김종두 선생의 만화는 그런 책이다. 기독교강요를 위한 입문서이자 개론서로서 그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만화를 택했던 것 같다. 그리고 그 선택은 정말 유효적절했고 기독교강요를 정말 가장 잘 설명하였다는 생각이 든다. 사족으로 덧붙이자면, 그러면 이 책은 어린이들을 위한 책이 아닌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문제는 이 책의 의미를 되새기려면 많은 시간이 걸려서야 가슴판에 새겨질 그런 책이라는 거다. 어쩌면 어린이에게도 더 효과적일 수도 있겠다.
 아이들은 어린 시절의 시각적인 기억을 더 생생하게 기억하기 때문에 말이다. 기독교강요를 읽자. 힘들다면 이 책의 도움을 받으라. 그리고 원서의 기억이 희미해질 때 가볍게 다시 꺼내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드워드 슈타이켄 성공신화의 셔터를 누르다 - 대화 04
최봉림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최봉림, "세계 사진사 32장면 (1826~1955)"이란 책에서
그의 글솜씨와 넓이를 엿보았다.
마침, 그의 책으로 한 권이 더 검색되어 급하게 구해 읽었던 이 책은
슈타이켄을 드러내는 방법으로 인터뷰 형식을 취한 독특한 책이다.
한국인 저자가 인터뷰 형식을 차용했다는 신선함 뿐 아니라
얇은 책 치고는 꼼꼼히 쓰여졌다.
디자인하우스의 편집, 사진의 질, 가격 모두 맘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