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기쁨 - 알랭 드 보통의 유쾌한 철학 에세이
알랭 드 보통 지음, 정명진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원제목 를 우리말로 옮기면 ‘철학이 주는 위안’ 정도가 될 텐데, 저자 알랭 드 보통은 소크라테스에서 에피쿠로스, 세네카, 몽테뉴, 쇼펜하우어, 니체에 이르는 철학자들의 삶과 철학을 통해 구체적으로 우리가 철학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위안들을 밝히고 있다. 인기 없음, 돈 없음, 좌절, 부적절한 존재, 상심한 마음, 곤경 등.

<젊음 베르테르의 기쁨>에 언급된 철학자 6명은 사실 너무나 친숙한 이름들이다. 그러나 내가 알고 있었던 그들 혹은 그들의 철학이 제목과 지은이 정도만 알고 있을 뿐 실제로는 읽어보지 않은 ‘고전’과 같다는 사실을 이 책은 환기시켜주었다. 이 책은 400쪽이 안 되는 분량에 6명의 철학자를 담고 있으며, 판형 또한 작고 중간중간 도판까지 들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해 그들의 삶과 철학을 완전히 이해했다고 말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은 6명의 철학자들의 삶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소개함으로써 ‘철학이 주는 위안’을 전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의 삶과 철학에 흥미를 갖도록 해주었다. 그런 점에서 ‘따뜻한’ 안내서 같은 느낌이었다.  

"불안을 다스리는 데는 사색보다 더 좋은 처방은 없다. 문제를 글로 적거나 그것을 대화 속에 늘어놓으면서 우리는 그 문제가 지닌 근본적인 양상들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피할 수 없는 것이면 무엇이든 그 아픔을 참고 감내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사는 동안 수많은 고통에 직면하게 되고, 그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질 수는 없겠지만 자신의 태도에 따라 고통을 최소화 하거나 부정적인 고통으로부터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6명의 철학자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말하고 있으며 그들의 말과 삶을 빌어 저자는 스스로를 위로하고 우리들 또한 위로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보통의 다음 글은 그 의미가 각별해 보인다.

"작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소설을 위한 밑그림에 동원된 단어들이 거기에 꼭 들어맞는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매일매일 일상의 일화들을 적어두어야 한다. 그런 것들을 가장 충만하고 효과적인 형식으로 기록하는 요령을 터득할 때까지...... 그리고 지치지 않고 다양한 인간형과 성격들을 포착하고 묘사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일상의 모든 일이나 사물을 다른 것과 연결 짓고, 또 그런 것들이 야기하는 결과에도 귀를 늘 열어두어야 한다. 여행을 할 때는 풍경화가나 의상 디자이너가 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 행동의 동기에 대해 숙고하고, 그런 동기를 말해주는 단서를 절대 무시하지 말 것이며, 밤낮으로 이런 사소한 것을 수집해야 한다. 이 같은 다각적인 연습을 10년 이상 게을리 하지 않은 끝에 탄생하는 작품이라야 이 세상에 내놓아도 좋을 만한 수준이 될 것이다."

각자 다른 시대와 삶을 살았던 6명의 철학자들로부터 공통점을 이끌어내고, 이를 일반화하는 방식 또한 눈여겨 볼만 했다. 헌 책방에서 우연하게 발견한 소책자까지 활용한 점이나 그러한 자료수집 절차까지 언급한 점은 사소하기 때문에 오히려 특별해 보이기도 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느꼈던 위안이 앞으로 얼마동안이나 유효할지 모르겠지만 여러 면에서 즐겁고 유익한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