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방 기담 수집가 헌책방 기담 수집가
윤성근 지음 / 프시케의숲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성근 작가는 자신을 책방지기이자 이야기 수집가라 소개하고 있다. 2007년부터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을 꾸려오고 있단다. 주인장은 그곳에서 책과 사람에 얽힌 기묘한 이야기를 수집한다는데. 그가 수집한 기묘한 이야기 스물아홉 편이 《헌책방 기담 수집가》에 실려 있다. 작가가 프롤로그에서 밝히고 있듯, 재밌기도 하고 슬프기도 했는데, 어떤 이야기는 소설보다 더 생생하게 다가왔다. 책을 찾는 사연과 그 책을 찾아내는 과정이 궁금해서, 하나의 사연이 끝나면 또 다른 사연이 궁금해서 책을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책을 찾아주는 과정을 통해 체득한 것일까. 작가는 말한다. 책과 사람 사이에는 운명이라고 부를 만한 보이지 않는 끈이 있는 것 같다고. 어느 순간 끊어져 버린 끈을 이어주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작가가 대단하게 여겨졌다. 돈이 되는 것도 아닌데. 왜 이런 일을 할까 싶지만. 작가는 사람에게 무엇이 중한지 아는 것 같다. 덕분에 “사소하면서 깊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다.


사람들이, 책에 얽힌 사연이라 쉽게 말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그게 아니라고. 작가에 따르면 그건 용기가, 그것도 큰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고 했다. 그래서 망설이는 의뢰인들에게 작가는 물을 건네곤 하는데, 이 장면이 마치 의식처럼 다가왔다. 사연을 받아 적는 모습 역시 예사롭지 않았다. 수첩을 펼쳐 만년필로 적는 데서 작가가 의뢰인과 그의 사연을 대하는 마음이 읽혔던 것이다. 사연이 맘에 들고 안 들고 역시 작가는 크게 따지지 않았다.


“손님께서 개인적인 이야기를 저에게 들려주시는 것만 해도 큰 용기가 필요한 거니까요. 그런 이야기들은 모두 특별하죠.” 이런 태도가 손님의 마음은 물론 독자의 마음까지 활짝 열리게 하는 것 같다. 책의 끝자락에 이르면 작가가 헌책방 직원으로 일하던 시절의 이야기가 나온다. 퇴근하고 다른 헌책방을 드나들었다고. 신촌의 ‘공씨책방’과 ‘숨어있는 책’ 단골이었다는데 이 대목에서 작가가 왜 절판된 책을 찾아주고 수수료 대신 사연을 받았는지 고개가 끄덕여졌다.


“지금과 마찬가지로 나는 당시에도 사람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아 자서전, 평전, 일기 같은 책을 주로 숨책에서 샀다. 뿌리깊은나무출판사에서 펴낸 《숨어사는 외톨박이》와 《민중 자서전》 시리즈라면 보이는 족족 사 모았다.” 그러고 보니 《헌책방 기담 수집가》는 이들 시리즈와 닮은 것 같다. 평범한 사람들의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 있으니까.


작가가 ‘괴짜 보부상’이란 별명을 붙인 ‘거리의 책장수’ H씨가 내겐 아주 흥미로웠다. 그는 이 책 여러 곳에 등장하는데, 제주도 여행 후 그가 들려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그는 서울에서 완도까지 시내버스로 이동한 후 완도에서 배로 제주도까지 갔다고 한다. 이 말을 듣고 작가는 생각한다. “이 사람, 제정신인가?” 그래서 뭣 하러 그런 고생을 했냐고 묻는다. 그랬더니 괴짜 보부상 H씨 왈.


“세상엔 굳이 하지 않아도 될 일이 있지만요, 해보지 않으면 영 모르는 일도 있으니까요. 저는 거기서 누구도 느껴보지 못한 전혀 새로운 제주도를 만나고 왔습니다. 사장님은 모르실 거예요. 어쩌면 앞으로도 계속.” 말의 여운이 생생하게 다가왔다.


“진실은 소설보다 더 기묘하다. 왜냐하면 소설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을 그려야 하지만, 진실은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사, 마크 트웨인의 말인데, 이 책에 딱 어울리는 말이다. 이 책 뒤표지에 실린 장강명 작가의 추천사처럼, 나도 벌써 속편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