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댓글부대 - 2015년 제3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은행나무 / 2015년 11월
평점 :
언제부턴가 인터넷 카페에 들르는 일은 나의 일상이 되었다. 가족과도 나누지 못한 고민을 그곳에 글로 내려놓으면 지나치던 이들이 자취를 남겼다. 경험을 담은 조언과 위로는 알 수 없는 신뢰와 힘을 만들어냈다. 댓글에 댓글이 달리며 공감이, 대화가 이어졌다. 작고 소소한 일상에도 칭찬과 격려의 호응이 남았다. 누군가가 따뜻하게 바라봐주는 일상은 아름다웠다. 인터넷 카페에서 이들은 앞뒤 사정 따윈 궁금해하지 않았다. 이후를 염려할 것도 챙겨야 할 무엇도 없었다. 과거도 미래도 없이, 지금 다정했고 따뜻했다.
『댓글부대』를 읽으며 많은 생각이 들었다. 왜 우리는 이곳에 얼굴 없이 모여들게 된 것일까. 이웃과 친구가 아니라 얼굴 없이 존재하는 인터넷 속 이들에게 걱정을 나누고 일상을 나누게 된 것일까. 다정한 말로 격려하고 정보를 공유하면서, 그러다 유예 없이 화를 내고 폭언을 던지면서, 형성되고 파괴되는 관계란 무엇일까. 옹기종기 모여있던 자리에서 일어나 너무나 당연해서 무감했던 그 공간을 들여다보기 시작하자, 나는 점점 짙어지는 서러움과 쓸쓸함을 느꼈다.
장강명 소설 『댓글부대』는 2012년 대선과 관련한 국정원 여론조작 사건 이후, 사이버 공간에 나타난 '제2세대 댓글부대'를 주인공으로 한다. 얼굴 없이 행해지는 폭력과 조작, 그로 인해 일어나는 왜곡과 오해, 타깃이 붕괴되고 분해되는 과정들이 입이 떡, 벌어지도록 차려진다.
팀-알렙으로 함께 활동하는 찻탓캇과 삼궁, 01査10. 이들은 의뢰받은 사람을 향한 댓글 공격 - 정치인들의 비방, 개인이나 기업을 향한 근거 없는 모략과 모함-으로 여론을 만들고 압박하는 일을 실행하며 돈을 벌었다. 팀-알렙은 자신들의 철저한 연구와 계획으로 끈끈하게 뭉쳤던 사람들을 선동하여 서로 헐뜯고 분노하다 등돌리게 했다는 점에서 강한 자부심을 느꼈다. 세상을 주무르고 있다는 착각. 돈을 아껴 여자를 만지기 위해 김밥천국을 들러 단란 주점을 가던 찌질이들이 의뢰인의 상류층 밤 문화를 나란히 앉아 누릴 때, 그들은 불길하게 부풀어 오르고 있었다. 한 바가지의 물이면 곧 꺼져버릴 거품처럼.
무심히 보아 넘겼던, 때론 동조했던 댓글이 누군가의 계산된 글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나를 몸서리치게 했다. 그곳에선 모두가 서로에게 대접받기를 구걸하고 있었다. 기분이 상하면 상대의 옆구리를 발로 차기도 하면서.
사람이란 게 참 신기해요. 진짜 그 짧은 글로 상처를 입어요. 여러 명이 댓글로 '너 틀려먹었다, 저질이다, 반성해라' 이러고 돌아가면서 공격하면 어지간한 사람은 버텨내질 못해요. 웃기죠? 아는 사람이 하는 말도 아니고, 앞으로 만날 일이 있는 사람도 아닌데. 당사자에 대해 쥐뿔 아는 것도 하나 없는데. 사실은 남자 셋이서 돌려쓰는 가짜 아이디인데. -p.81
현실에서 아무것도 되지 못한 존재의 손에 다정한 신호로 일어난 관계는 무방비한 이들을 휘어잡았다. 칭찬과 공감이 절박한 세상에 작은 버튼 하나로 여는 창은 보고 싶은 세상과 듣고 싶은 이야기들만이 가득했다. 그곳은 같은 생각을 가진 무리에 숨어들어 다른 생각을 향해 비방할 수 있었다. 불편한 메아리가 돌아오면 상대를 물어버릴 듯 으르렁거리다 언제든 내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었다. 보이지 않게 주입된 생각들이 자신의 가치관을 주무르고 있다는 사실은 모른 채. 댓글로 여과 없이 내뱉고 키득거렸던 언어를 정제하여 내뱉어야 하는 현실은 불편했다. 그런 현실을 물고 들어가 기다리고 있는 회원들과 씹고 뱉으며 느끼는 동질감은 컸다. 나 같은 사람이 세상에 많다는 안도. 찌질한 인사가 나만은 아니라는 생각. 안쓰럽고 처절한 모양새로 가장 잘난 듯 취하는 포즈는 벌거벗은 몸을 보는 것보다 더 치욕스럽고 부끄러웠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곳으로 빨려 들어가 그 치욕을 견뎠다. 책임감이 소멸된 공간으로써, 그곳은 나를 나이지 않아도 되게 만드는 유일한 공간이기 때문이었다.
호랑이인형이 머리에 쓰고 있던 커다란 탈을 벗었다. 탈 아래에는 머리카락이 땀에 푹 젖은 찻탓캇 또래 젊은이가 있었다. 여드름이 덕지덕지 난 청년이었다. 청년은 탈을 화장실 바닥에 내려놓고 세면대에 머리를 숙이더니 세수를 했다. 그는 못이 말랐던지 손바닥에 수돗물을 받아 몇 차례나 마셨다. 땀 냄새가 시큼하게 났다.
찻탓캇은 자신이 호랑이인형을 쓰고 춤을 추며 돈을 벌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했다. 그러고 싶지 않았다. -p.179
호랑이인형을 쓴 현실과 댓글로 만들어진 허상의 현실. 이 둘이 대비되어 만들어낸 비애는 사실이었다. 사실을 외면하면서 진실에 끌리는 사람들의 모순. 가장 연약한 그 틈을 파고드는 만들어진 진실에 사람들은 마음을 쏟았다.
호랑이인형을 외면했던 찻탓캇은 많은 돈을 벌었고 술집 여자의 기둥서방이 되는 꿈을 꾸었지만 마지막은 배신이었다. 인정받았다고 자신한 일에서 모든 쓸모를 다한 뒤 살해됐다. 고위 간부에게 인정받고 있다는 자만이 들어찬 젊은이들의 축배엔 죽음의 마침표가 찰랑거렸다. 가상의 공간을 그럴듯한 진실로 꾸며 뒤엎던 자신만만한 이들은 결국 자신들의 삶을 조작하는 돈과 권력의 힘은 제어하지 못 했다.
"읽는 모두가 조금씩 불편해지길 바라며 썼다."
나쁜 일을 저지른 이들이 벌을 받듯 불길한 축배의 잔이 당연하면서도 마음이 불편했던 건 결국 이용당한 약자가 벌을 받고 일을 벌인 이들은 가만히 남게 된다는 점이었다. 서로를 이용하고 이용당하며 무언갈 얻길 바라는 사람들의 폭력성은 끊임없이 우리들의 허전한 마음속에 가장 따뜻한 손으로 다녀갈 것이다.
장강명 작가의 『댓글 부대』가 '2016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을 때, 이미 많은 이들이 인터넷 속에서 일어나는 허울들을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그곳을 다시 찾아가 허울을 만지고 동조하길 멈추지 않는 까닭은, 현실에선 찾고 노력해야 하는 관계들이 찾아와 놓이기 때문이다. 내가 자르고 붙일 수 있는 관계들이, 그 폭력성이, 그리고 거기서 오가는 온기나마 나의 존재감을 어루만지고 위로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우리는 외로움에 다가 서고, 그 후엔 상대를 조종하려 애쓰는 모순 속에 허우적거리며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조종하고 조종 당하고 서로 낚고 낚이면서.
빠르게 읽히지만 빠르게 잊혀지지 않는 소설이었다.
어느 날 내가 속해 있는 지역 카페에서 한 중고차 딜러의 글을 읽었다. 얼마 벌지 못해도 자신의 일에 소신을 갖고 일하는 그는 아는 이에게 중개금 약간만을 받고 중고차를 연결해주었다. 그런데 그 차에서 중개 전 알아차리지 못한 결함이 발견되었고 자신이 수리비를 물어야하는지, 수리비를 부분이라도 물어야겠지만 이래저래 빠져나가 결국은 아무것도 남지 않은 이 일이 헛헛하다는 울음 섞인 하소연이었다. 댓글은 그를 응원하고 격려하며 열심히 사는 그에게 중고차를 연결받고 싶다는 지지로 이어졌지만... 나는 어쩐지, 잘 짜여진 광고로 읽혔던 것이다. 그가 벌인 진실 장사에 낚여가는 사람들의 모양을 보면서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얼굴이 되어 내가 믿는 것이 진짜일까, 아니 가짜일 수도 있잖아? 하는 마음을 오락가락하며 확신을 찾아 그 글을 들락날락했던 기억. 소설을 읽고 난 후 나는 확실히 인터넷 카페를 찾는 횟수가 줄었다. 감정이 매마른 것일까. 볼 것을 보고만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