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읽은 책을 덮고 그 옆에 나란히 엎드려 눕는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가슴속을 쿵쾅쿵쾅 뛰어다니던 말들이 일제히 몸을 숨긴다. 곧 어디서 맞닥뜨리게 될지 모를 말들의 고요가 긴장을 불러온다. 무엇으로 인해 이 책을 그렇게 서둘러 읽어버렸을까. 점점 소란스러워지는 머리를 애써 외면하면서 무엇으로 인해 나는 이 책의 끝을 어서 봐버렸으면, 싶었을까. 
  

  나에게 있었던 일, 을 생각한다.
  책 속 ‘열여섯의 나’가 아닌 나의 열여섯을. 3년을 입어 색이 바란 교복을 입고 고등학교 진학을 걱정하던 시절, 곁의 친구와 성적 때문에 은근한 신경전을 벌이던 시절. 선생님의 칭찬에 우쭐해지던 시절. 시를 옮겨 적고, 따라 써 보던 시절, 부모님의 식당에서 쑥스러움을 무릅쓰고 주문을 받고, 테이블을 치우고, 나보다 큰 쟁반을 들고 배달을 나가던 시절.
  나의 열일곱, 고등학교를 남녀공학에 진학하면서 매일 얼굴이 붉게 달아올라 있었던. 키가 작고 몽둥이로 주걱을 들고 다니는, 웃는 얼굴이 수줍었던 과학 선생님을 오래 짝사랑했던 시절. 시인이 되고 싶었던 때.
  나의 열여덟, 하루가 하나의 생각을 물어오면서 늘 멍해있던 시간. 지금은 잘 기억나지 않는 절망들. 대학에 가고 싶어 친구들 몰래 공부를 하고 학교가 끝나면 독서실로 가던, 그 때. 그 때.
 『외딴방』 을 덮고 난 뒤 나는 자꾸 내게 있었던 일들을 하나하나 들춰본다. 맨발의 나를 그 먼 시간에 떨어뜨려놓고 어서 ‘오늘을 캐어와’라고 말한다. 한 번도 정리해본 적 없었던 그 때의 일들. 갑자기 마주 앉게 된 그 때의 일들. 나는 웃다가 머리를 긁적이다가 시큰해지는 코를 세게 붙들어본다.

“적어도 문학 속에서는 지금 이 순간 이전의 모든 기억들은 성찰의 대상이 되는 거 아닌가. 오늘 속에 흐르는 어제 캐내기 아닌가. 왜 내가 지금 여기에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지금 내가 여기에서 무얼 하려고 하는지 알기 위해서.”

  대학교 1학년 때 처음 만난 이 책은 그저 작가가 유년시절에 겪었던 성장통과 그 아픔이 지금의 글들을 쓰게 하는 원동력이었다는, 그런 내용으로 이해했었던 것 같다. 책을 절반도 채 읽지 못하고 덮어두었다. 이제 7년이 흐르고 한 아이의 엄마가 되어 이 책을 읽는 나는 자꾸만 가슴에 파문을 일으키는 ‘무엇’때문에 어지러워진다. 이제 지나왔으니 됐다고 생각했던 일들, ‘잘 버렸어’ 라고 생각했던 일들. 고요했던 수면 위로 순서 없이 둥둥 ‘무엇’들이 떠오르자 자꾸만 책을 읽는 눈이 문장을 잘라먹고 페이지를 떠난다. 책에서 읽은 게 모두 나의 이야기었나. 머릿속에 있는 것은 모두, 나의 먼 이야기들이다.

 『외딴방』속에서 읽은 ‘나’는 평온했던 집에서의 생활을 떠나 학교에 가기 위해 서울로 상경한 아이였다. 하지만 책 속에서 만난 ‘나’는 꿈을 갖고, 힘든 일을 만날 준비를 모두 마친 아이였다. 지금은 그 나이 또래의 아이들이 경험할 수 없을 많은 일을 겪으면서, 아파하고 갈등하면서, 큰오빠의 무거운 어깨를 보면서 조금씩 조금씩 성장하는 ‘나’. 그러나 현재, 서른을 넘겨버린 ‘나’에겐 그 때의 기억들이 너무나 아픈 통증일 뿐이다. 그래서 그 기억이 고개를 내밀 때면 손에 잡히는 무엇으로든 덮어 그 시선을 외면하려 했다. 이것 또한 아픈 통증. 작가는 이제 이 아픔과 마주앉아 있을 수 밖에 없다. 어떻게든 이 아픔과 눈을 마주하고, 말을 꺼내 이야기해야만 한다. 그것은 ‘열여섯의 나’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위해 들어간 ‘동남전기주식회사’에서 만난 사람들, 돈을 벌어야 했기 때문에 자신의 인권을 미처 챙기지 못하고 회사에 이용당해야 했던 여린 꿈과 야간학교에서 만난 학급 친구들에게 현재의 자리를 찾아주는 중요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80년대의 나는 너무 어렸고, 바쁜 엄마 아빠를 대신해 할머니가 보살펴주시던 시절이다. 그때 유신말기 산업역군의 풍속화가 그려졌다는 사실을, 너무나 많은 사람이 자신의 인권을 지켜 살지 못했고 강한 자에게 노동을 착취당하며 빈곤한 하루하루를 어렵게 지나왔다는 사실을, 나는 국사책 속에서도 깨닫지 못했었다. 전해 들었지만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처럼 광주민주항쟁이 지나가고 12·12사태가 지나갔다. 그 시대를 그린 영화를 보면서도 잔인하게 죽는 사람들에 눈물만 났던 그때의 사건들. 하지만 그 사건들이 책 속에서 또렷하게 내 안으로 들어온다. 그 시절을 살아내야 했던 사람들의 슬픔. 잘 시간도 없이 공장에서 잔업을 하고 움직이지 않는 팔을 붙들어 열심히 나사를 박아야 했던 어린 여공들의 고통이 가슴에서 요동한다. 그 여린 몸에 가족의 생계를 매고 공장의 컨테이너벨트를 바라보던 그 눈망울들에 고인 슬픔. 권력을 부리고 지키기 위해 죄 없는 사람들에게 무자비하게 휘둘렀던 칼날의 깊이. 그 시간을 함께 살았지만 너무 어려 경험할 수 없었던 나에게 너무나 생생히 전해진다. 그들의 훌쩍임을 들은 것인지. 내가 출쩍이고 있었던 것인지. 그 시간을 견디느라 마음에 깊은 우물이 생긴 사람들. 그곳에 흘리지 못한 눈물을 감추고 살던 사람들. 모르고 살아온 그 시간에 대해 자꾸만 미안한 마음이 든다.
  천둥이 치던 밤, 베개를 들고 방으로 찾아든 열아홉의 나에게 희재언니가 한 말은 내게 주체할 수 없는 감정을 주었다.

“사는 게 왜 이렇게 힘드니?”

“나만 그런 걸까? 다른 사람들도 그러는 걸까?”

  그 시절, 누구나의 가슴속에 있었을 의심. 지금의 우리도 가슴속에 두고 스스로에게 묻는 말. 무엇으로 인해 나는 스스로 물었던 것일까. 어떤 고통 때문에.   

  이런 마음이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질 때, 우리는 외딴방을 찾게 되는 것 아닐까.
  사는 동안 도망치고 싶었던 곳. 떠나와서는 내가 있었던 자리가 아닌 척 외면하던 곳. 하지만 가슴에 몽글몽글 삶이 힘들다는 생각이 피어오르면 힘겹게 견뎌 온 외딴방의 문을 다시 두드리게 되는 것 아닌지. ‘상실의 깊은 멍으로부터, 그 깊디깊은 어둠의 심연으로부터, 금빛 잉어 한 마리가 푸른 물방울을 털어대며, 삶의 표층으로 솟아오르는 환각’을 만들어 내듯이. 상실의 깊은 자리가 되고, 삶의 어둠이라고 생각했던 외딴방이 사실은 삶의 수면 위로 떠오른 현재의 뱃머리를 비추는 등대였음을, 이제서 깨닫게 된다. 아파 본 사람이 고통에 강하고 그 고통을 견뎌 본 사람이 또 다른 고통을 이겨낼 수 있다. 물론 그것을 피하려는 마음을 접고 대면하려는 마음을 펼쳐야 한다. 너무나 어려운 일이지만, 작가가 긴 글을 통해 떠나온 시간들을 정리하고 그 때의 사람들에게 현재를 만들어 준 것처럼, 나의 과거에도 현재를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 장식과 연출과 과장 없이 꼭 그만큼의 자리를 내어 주어야 한다. 사는 게 왜 이렇게 힘든지, 그 이유를 찾기 위해서라도. 그녀의 글쓰기에 대한 의미도 이 이유를 찾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외딴방에 숨겨 둔 나의 시간이 머리를 단단하게 하고, 닥친 일을 어떻게든 해결하려고 하고, 사람을 대하게 하고, 반성하고, 또 오늘을 살게 하고 있음을 외면할 길이 없다.

   여느 여고생과 똑같은 꿈을 꾸었던 80년대의 여공들은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어떤 가정을 꾸리고, 그 때의 일을 ‘추억’할까. 그들은 힘들었던 시절을 추억할 것이다. 손등에 꽂혔던 미싱 바늘의 아픔보다도, 지치고 힘들던 몸보다도, 열심히 일하고 먼 미래를 기약했던 그들의 희망을 추억할 것이다.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피울 것이다.
  ‘외딴방’은 내가 애써 외면했던 과거를 되돌아보게 했다. 그 아픔이 다시 살아날까 두려워 돌아보지 못했던 그 기억들을 이제는 ‘추억’해 본다. 그 시절의 아픔이 있어 나는 더 단단해졌고 그래서 또 지금 살아가며 겪는 일들을 이겨낼 수 있는 것이라고. ‘열여섯의 나’가 서른이 되어 그 추억을 반추하면서 남아있던 마음의 흉터를 제 것으로 인정하고 그 계절을 떠올리듯이. 그리워하듯이. 돌아가고 싶어 하듯이, 지금, 현재는 지나고 나면 또 기억하고 싶은 무엇이 되는 것이다.

나는 작가의 글 속에서 나의 외딴방으로 닿는 길을 찾았다.  그곳은 그리 험하지 않은 길이었다.
이제 그곳은 내가 머무를 수 있는 곳이 되었다.  

  가만가만 내 발자국을 남기고 되돌아 나온다. 엄마가 되어 한 아이의 걸음을 붙잡고 그 아이의 전부가 되어주는 ‘현재’로, 돌아온다. 불완전함을 안아주던 그 곳, 내가 자란 곳. 그 곳이 있어 나는 오늘도, 앞으로도, 내 자리를 지키고 앉아 연약한 몸 위에 기억들을 하나 둘 얹고 씩씩하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외딴방에 하나 둘 또 다른 추억들을 쌓으면서.

홀가분하게 나의, 외딴방을 나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