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즐거운 나의 집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7년 11월
품절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 엄마는 그걸 운명이라고 불러……. 위녕, 그걸 극복하는 단 하나의 방법은 그걸 받아들이는 거야. 온몸으로 받아들이는 거야. 큰 파도가 일 때 배가 그 파도를 넘어 앞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듯이, 마주 서서 가는 거야.-178쪽

너를 보내고 싶지 않단다. 너에게 못 해준 많은 것들을, 이제 어여쁜 여자로 서 있는 너와 하고 싶었어. 여행도 가고, 백화점도 가고, 함께 책도 읽고, 맛있는 것을 먹고, 널 내 곁에 꼭 붙여두고 그렇게 하고 싶었던 거야. (중략)
성모마리아가 존경을 받는 이유는 그녀가 구세주를 낳았기 때문이 아니란 걸 엄마는 그제야 깨달아버렸다. 달빛 아래서 엄마는 거실에 엎디었지. 그녀가 존경을 받는 이유는 그녀가 그 아들을 죽음에 이르도록 그냥, 놔두었다는 거라는 걸, 알게 된 거야. 모성의 완성은 품었던 자식을 보내주는 데 있다는 것을. 그리고 그 거실에 엎디어서 엄마는 깨달았다. 이 고통스러운 순간이 은총이라는 것을 말이야.
사랑하는 딸, 너의 길을 가거라. 엄마는 여기 남아 있을게. 너의 스물은 엄마의 스물과 다르고 달라야 하겠지. 엄마의 기도를 믿고 앞으로 가거라.-336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iletant 2011-09-29 0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모르게 울었다...

2010/04/15
 
노부코 미야모토 유리코의 작품모음집 1
미야모토 유리코 지음, 한일여성문학회 옮김 / 어문학사 / 2008년 11월
절판


노부코에게 그의 괴로운 마음이 통하지 않는 것은 아니었다. 두 사람이 결혼한 후 남편을 좋게 보기는커녕 노부코는 늘 제멋대로인 아내였다. 그를 혼자 남겨두고 여행을 떠났다. 늦잠을 잤다.
노부코에게는 그러한 일상의 사소한 작은 자유조차 아내가 되면 큰 특권처럼 공공연히 부여받는다는 것에 대한 표현하기 어려운 우울함, 남편이 그것만이라도 건네주면, 불만을 말할만한 것이 없는 것처럼 다른 것을 배려하지 않는 영혼의 고독함이 있었다.
-340쪽

그렇지만 노부코의 정열은 쓰쿠다 한 사람에게 전부 쓰이지 못했다.-480쪽

자신의 본질이 열렬하게 자유와 독립을 사랑해 마지않는 본능인 점이었다.-480쪽

그녀는 20에서 25살까지의 젊고 어떠한 정열과 환희로도 순수하게 불같이 받아들였던 시대를 허망하고 빈약하게 보내버리고 만 것과, 그들의 세월은 일생에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는 걸 통감했다. (중략)
세상에서 자신과 같은 마음을 가진 여자는 한 명뿐일까. 자신이 얻고 싶고 원하는 생활의 기쁨은 이 세상에 있어서는 안 될만큼 사치스러운 것일까.-48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iletant 2011-09-29 0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가의 자전적 소설인 이 책이 80여 년전에 나왔다는 걸 생각하면 놀랍기만 하다.
현대의 연애와 결혼에 비춰봐도 별로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는 대목이 많으니, 그 보수적이고 가부장적인 시대에서 작가가 느꼈을 고통이 얼마나 컸을지.

+
내용과 상관없이 번역은 읽을 때 걸리는 데가 꽤 많았다.

2010/03/21
 
로그인하시겠습니까? - 국어시간에 쓴 중학생 소설 모음 아침이슬 청소년 4
이상대 엮음 / 아침이슬 / 2006년 4월
장바구니담기


당연히 해야 할 상식적인 일을 하고 있음에도 고상을 떤다느니 잘난 척을 한다느니 하는 말도 안 되는 야유들을 나는 굉장히 싫어했다. 정당한 일을 하는 소수에게 떳떳치 못한 다수가 분위기로 밀어붙여 ‘잘못’을 만들어 씌우는 상황일 때, 소수는 모욕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반성문>-143쪽

하긴 나 같은 성격도 드문 편에 속했다. 겁은 많으면서도 자존심은 살아 있는, 그리고 원칙에 예민한 성격 말이다.
<반성문>-145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iletant 2011-04-15 0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006/04/06
 
끝없는 이야기 1
미하엘 엔데 지음, 차경아 옮김 / 문예출판사 / 199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이 책이나 거울 등을 통해서 다른 세계로 넘어가는 것은 동화뿐만 아니라 만화나 영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 흔한 구성을 탄탄히 붙들어 주는 것은 책과 바스티안의 관계이다. 바스티안은 평소에도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걸 즐기고 자신이 머물러 있는 시간과 장소를 잊을 정도로 책에 빠지는 아이다. 그런 그에게 책은 단순한 매개물이 아니라 만남과 동시에 빠져들 수밖에 없는 물건인 것이다. 우연히 만나게 된 책에 그냥 빠지는 것이 아니다.

바스티안이 처음 환상계에 발을 들여놓은 것은 순수하게 어린 왕녀와 환상계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였다. 그러나 자신이 원하는 것이 그대로 이루어지는 환상계에서 바스티안은 한 가지 소망을 이루면 또 다른 것을 소망하게 되고 아름다움이나 강함, 용기를 모두 얻고 난 후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감탄 받는 존재가 되고 싶어한다.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충고를 해 주는 친구 아트레유를 버리고 끝내 환상계의 황제가 되어 모든 것을 손안에 두고 싶어한다. 이러한 바스티안의 모습은 끝없는 상승 욕망에 시달리다가 끝내는 목적과 수단이 뒤집히곤 하는 우리의 평범하고 어리석은 모습 그대로이다.

그러나 환상계에서 하나의 소망을 이룰 때마다 바스티안은 현실세계에 대한 기억을 하나씩 잃는다. 모든 것을 잃고 이름마저 잃는 바스티안의 이 모습 또한 헛된 망상에 빠져서 현실을 잃어버리는 우리네 모습을 풍자하는 내용일 것이다.

어린 왕녀가 바스티안에게 건네준 표식에 씌여있는 네 뜻대로 행하라는 말은 자유를 가장한 방종을 뜻하는 게 아니며, 네 뜻은 바로 참된 의지이며 자신도 모르는 자신의 가장 깊은 비밀이다. 이것을 알기 위해 환상계에서 자신의 모든 기억을 잃었다가 다시 태어난(정신적으로) 바스티안은 이미 이전의 바스티안이 아니다. 내면적으로 한 계단 훌쩍 뛰어오른 것이고 현실 세계로 돌아와서는 아버지와 새로운 관계를 맺게 된다.

바스티안과 대비되는 모습으로 용감하고 영리한 존재로 그려지는 아트레유는 사실 바스티안의 또다른 모습이다. 자기 내부의 참 본질을 보게 된다는 마술 거울 속에서 아트레유는 바스티안의 모습을 본다. 바스티안이 그릇된 길을 갈 때 그와 맞서게 되는 아트레유의 모습은 바로 바스티안 속에서 갈등하는 마음이다.

환상의 의미, '나'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 <끝없는 이야기>는 그런 책이다.


2000/05/0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iletant 2011-09-29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도연 외국동화분과 발제글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