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 박원순 세기의 재판이야기
박원순 지음 / 한겨레신문사 / 199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나중에(...) 어떻게 죽게 될까? 누군가에게 타살될 가능성은 별로 없을 것 같은데. 그것도 알 수 없긴하다.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타살도 참 많은 어이없는 세상이니까. 어쨌든 그건 제외하고 자살할 가능성도 없다. 두 아이를 놔 두고 내가 내 스스로 목숨을 끊을 만한 일이 도대체 있을 수 있을까?

 

  그렇다면 병이나 교통사고? 그도 아니면 혹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전기의자에 앉게 될 수도 있을까? 에이,  어이없는 상상! 하지만 난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게 될까?

 

  여기 몇 사람의 재판과 죽음에 대한 기록이 있다. .소크라테스, 예수, 잔다르크, 토마스 모어, 중세의 마녀들, 갈릴레오, 드레퓌스, 필리페 페탱, 로젠버그 부부, 그리고 <채털리 부인의 사랑> . 너무나 유명해서 몰라도 모르는 것 같지 않은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이 인물들이 역사책 속에서 걸어나와 내게 말을 건네는 것 같은 착각에 빠졌었다.

 

  책 속에서 화석처럼 굳어 있던 대표적인 인물은 잔 다르크였다. 신을 만났다고 주장하는 한 여자아이, 그 아이가 신의 부름을 받아 프랑스를 위기에서 구했다는 황당하고 말도 안되는 얘기. 그 얘기를 맨처음 언제 듣거나 알게 되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난 '참 많이도 과장됐구나.'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다시 알게된 잔다르크는 참 아름다운 사람이었다. 그가 받은 계시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다는 건 그이의 삶을 모욕하는 것이다. 재판과정에서의 그 당당하고 논리정연함. 그리고 예정된 화형. 잔다르크는 주변의 인물들의 오만함과 어리석음에 비해 참 아름다운 사람이었다.

 

  때로는 아무 소용없는 울화가 치솟아 잠시 심호흡을 해야만 하는 책 맞다. 둔하기만 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멍청한 권력자들과  어리석은 판사들이 짜고 만들어가는 재판에서 진실을 이야기하다가 화형당하고, 독약을 마시고, 단두대 위에 서야 했던 사람들 이야기는 나를 화나게 하고 부끄럽게 하고 가슴 아프게 했다. 하지만 그 슬픔은 역사 속에서  밝게 빛나는 인물을 새로이, 가깝게 만나는 희열로 위로 받을 수 있었다.

 

  이 더위에 읽기엔 너무 무거운 책이 아니냐고 생각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덥다고 역사가 잠시 쉬었다 흐르는 것은 아니니까. 산다는 건 더우나 추우나 엄숙한 일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