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열국지 세트 - 전12권 - 완역 결정본
풍몽룡 지음, 김구용 옮김 / 솔출판사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2004년 가을에 알라딘에서 세일을 하길래 재미는 그닥 기대하지 않고 이런 책은 사야 할 것 같은 의무감에 구입했다. 그리고 방학이 되기를 기다리면서 몇 달 묵혀뒀다. 그러다가 11월 즈음 잠시 한가해진 틈에 읽기 시작했고 한달 정도의 기간동안 다 읽었다.

물론 삼국지나. 사기열전, 지전 등을 재미있게 읽었었다. 열국지를 읽고 보니 앞서 읽은 책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을 우리의 고전에 관형어구처럼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과 고사성어의 주인공들을 실제(?)로 만날 수 있었다.

성실한 독후감을 위해서는 다시 책을 펼쳐들고 꼼꼼히 되새겨 봐야 옳겠지만, 엄두가 안 나기에 그냥 기억나는 것만 기록해 둔다.

난 이 책을 읽으면서 중국인들의 죽음에 대한 생각이 참 재미있었다. 정말 죽음을 초개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중국인인지, 아니면 중국인 특유의 허풍인지 정말 궁금할 정도였다. 예를 들면 오자서가 쫓기는데 어떤 뱃사공의 도움을 받는다. 뱃사공이 강가의 갈대숲 속에서 기다리기라도 한듯 나타나 도와 주는데 오자서가 배에서 내린 후 감사의 말을 하고 자신을 봤다고 절대로 말하지 말라고 다짐을 한다. 그러자 그 사공은 남에게 의심을 샀으니 죽음으로서 자신의 의리를 보여주겠다고 물에 빠져 죽고 만다. 물론 그외에도 이루다 예로 들수 없을 만큼 많은 죽음이 나오는데 이 정도에 이르고 보니 실소가 나왔다. 정말 이랬을까? 자신의 목숨을 이렇게 쉽게 버릴 수도 있을까? 2000년 전엔 그럴 수 있었을까?  중국인들은 그럴 수 있었을까/?  참 흥미로웠다. 이에 대한 논문이나 책 뭐 그런게 있으면 꼭 한번 찾아 볼 일이다.

또 한가지  당시의 전쟁은 얼마나 낭만적인지!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날짜를 약속에 넓은 곳에 모여서서 군사들이 죽 벌여 선다. 칼이나 활로 좀 싸우다가 군사들이 지치면 쉬기도 한다.  해가 지면 대열을 정돈에 군사들은 밥도 지어먹고 잠을 자고 또 며칠 쉬기도 하다가 또 전투를 벌이기도 한다. 이렇게 해서 승부가 결정되면 패한 국가에서는 예물을 보내고 무례함을 사과한다. 때론 땅을 일부 떼어주기도 한다.  물론 전국시대로  접어들면서 전쟁은 눈에 띄게 규모가 커지고 사상자 수도 크게 늘어나며 전쟁의 이유가 대의나 명분이 아닌 실질적인 영토확장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열국지에는 주인공급의 남자가 수백명 등장하는데 이에 비해 여자는 몇몇 손꼽을 정도로 등장한다.  죽음을 무릅쓰고 자객인 예양을 당당히 자신의 동생이라고 밝힌 누이 정도만 빼고는 모두 요부들이다. 왕을 홀려 나라는 망치는 여인들. 음,  남자들만의 세상인 것 같아 책을 읽는 내내 불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