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 상 세계 최고의 여행기 열하일기 2
박지원 지음, 길진숙.고미숙.김풍기 옮김 / 그린비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고 가슴이 뻐근해서, 서평을 써볼까 하고 알라딘을 열어보면, 대부분 리뷰가 그득하다. 그 리뷰들을 차근차근 읽다보면 글을 쓸 생각은 사라지고 만다. ‘그래 내 말이 이 말이야. 어쩜 내 생각을 나보다 더 잘 정리해 놨지? 이게 이런 의미였군.’하면서 슬그머니 다른 책들을 검색하곤 했다. 그런데 이 책은 리뷰가 생각보다 너무나도 적었다. 이렇게 좋은데 왜 이리 리뷰가 없을까 안타까워하다가 잘 못 쓰는 글이나마 써야겠다는 결심을 하기에 이르렀다.

 2권을 늦은 시간까지 읽고 잠이 들었는데, 다음날 깨어서도 계속 박지원과 얘기를 나눈 것 같은 느낌이었다. 뭔지 정체를 알 수 없는 흥분이었다. 

  이 흥분을 정리해 보면, 우선 왜 이런 책을 이제야 읽게 되었을까하는 안타까움에서 비롯된 것이다. 국문학 언저리에서 밥을 벌어 먹고 사는 내가 이제야 이것을 읽었다는 사실이 새삼 부끄러웠다. 이 책이 나오기 이전에 이미 한역된 열하일기가 있었음에도 한번도 제대로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해보지 못했다. 
  음식의 원재료가 아무리 싱싱하고 영양가가 있어도, 특별한 미식가가 아닌 이상 보기 좋고, 먹기 좋게 요리해 주지 않으면 먹을 수 없는 것들이 있다. 한글 세대에게 우리의 한문 문학이 바로 그런 재료와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 그린비에서 맛깔스러운 밥상을 차려 주어 너무나 고마웠다. 

  가장 기행문다운 기행문은 그것을 읽는 사람에게 여행하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아주 훌륭한 글이다. 이 책의 꼼꼼한 사진 자료의 덕도 크겠지만, 박지원의 글을 읽으며 지금 열하로 여행을 떠나면 그가 만났던 풍물을 나도 볼 수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들었다. 그가 만났던 중국의 상인들도, 점잖은 관리들도, 마두들도 만날 수 있을 것만 같은 생생한 느낌. 그것 때문에 내가 며칠간 설레었던 것 같다. 

  마지막으로 내 눈을 시원하게 터주었던 호곡장을 인용한다. 처음 이 글을 접하고, 심호흡하고 다시 한번 읽어야 했다. 아득한 저 멀리까지 지평선이 시원하게 펼쳐지는 벌판을 상상이라도 하면서 요즘의 하수상한 세월을 이겨낼 힘을 얻고 싶다.  

 “이제 이 울음터가 저토록 넓으니, 저도 의당 선생과 함께 한번 통곡을 해야 되겠습니다그려. 그런데 통곡하는 까닭을 칠정 중에서 고른다면 어디에 해당할까요?” 
  “그건 갓난아기에게 물어봐야 될 것이네. 그 애가 처음 태어났을 때 느낀 것이 무슨 정인지, 그 애는 먼저 해와 달을 보고, 다음으로는 눈앞에 가득한 부모와 친척들을 보니 그 얼마나 기쁘겠는가. 이 같은 기쁨이 늙을 때까지 변함이 없다면, 본래 슬퍼하고 노여워할 이치가 전혀 없이 즐겁게 웃기만 해야 마땅한 것 아니겠나. 그런데 도리어 분노하고 한스러워하는 감정이 가슴속에 가득하여 끝없이 울부짖기만 한단 말이야. 그래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하곤 하지. 삶이란 성인이든 우매한 백성이든 누구나 겪어야 하기 때문에 세상에 태어난 것을 후회하여 먼저 스스로 울음을 터뜨려서 자기 자신을 조문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갓난아기의 본래 정이란 결코 그런 것이 아니야.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에는 캄캄하고 막혀서 갑갑하게 지내다가, 하루 아침에 갑자기 탁 트이고 훤한 곳으로 나와서 손도 펴 보고 발도 펴 보니 마음이 참으로 시원했겠지. 어찌 참된 소리를 내어 자기 마음을 크게 한번 펼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니 우리는 저 갓난아기의 꾸밈없는 소리를 본받아서, 비로봉 꼭대기에 올라가 동해를 바라보면서 한바탕 울어볼 만하고, 장연의 금모래밭을 거닐면서 한바탕 울어볼 만하이. 
  이제 요동벌판을 앞두고 있네. 여기부터 산해관까지 1,200리는 사방에 한 점 산도 없이 하늘 끝과 땅 끝이 맞닿아서 아교풀로 붙인 듯 실로 꿰맨 듯하고, 예나 지금이나 비와 구름만이 아득할 뿐이야. 이 또한 한바탕 울어볼 만 곳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