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c2
데이비드 보더니스 지음, 김민희 옮김 / 생각의나무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위험한 생각들>이라는 책을 읽고 내 지식들 중 물리학에 관한 부분이 백지라는 걸 알았다. 뭐 좀더 솔직히 말하면 새삼스럽게 알게 된 건 아니다. 알고는 있었지만,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나 할까. 
  생활하면서 문득문득 궁금한 건 있었다. 달리는 기차에서 물건을 떨어뜨리면 왜 뒤로 가서 떨어지지 않을까? 핵무기는 어째서 그렇게 엄청난 위력을 갖고 있을까? 블랙홀이라는 게 어떻게 있을 수 있을까? 궁금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그뿐이었다.  신문을 읽다가, 뉴스를 보다가 문득문득 ‘아인슈타인’이나 ‘상대성 원리’라는 말이 스치면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위대한 일이 그 속에 있을 거라는 생각, 난 결코 알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위험한 생각들>을 읽으면서 내가 과학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 결국 나 자신을 모를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뭐부터 시작해야 하지? 도서관에 있는 책들을 둘러보다가  E=mc2 라는 책이 눈에 들어왔다. 

  결국 3박 4일 간 E=mc2 를 두 번 읽고, 오래 오래 생각했다. 뭐랄까 눈을 감고 있다가 눈을 뜬 느낌? 내 시력에 잘 맞는 안경을 끼어서 세상이 또렷해 보이는 느낌? 알 수 없던 무늬가 하나의 형체로 모습을 드러내는 듯한 느낌? 아무튼 내 인식의 지평을 넓혀준 신선한 충격이었고, 즐거움이었다. 

  난 이제 왜 태양이 그토록 강한 에너지를 내뿜을 수 있는지 안다. 밤하늘의 별들이 왜 반짝이는지도 안다. 별의 탄생과 성장, 소멸을 안다. 블랙홀이 무엇인지 안다. 시간이 달리 흐를 수 있다는 것도 안다. 시간과 공간이 휜다는 게 무슨 의미인지 어렴풋이 알 것 같다. 타임머신이 왜 만들어질 수 없는 지도 알 것 같다. 지구상에 에너지가 고갈되어서 멸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했다. 

  좀더 알고싶다. 어디 이런 책 또 없을까? 학교 다닐 때부터 화학과 물리에는 쥐가 나던, 고등학교 졸업이후 거의 20년 만에 다시 과학의 세상이 궁금해진 내가 읽을 만한 쉬운 과학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