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 우리시대의 지성 5-016 (구) 문지 스펙트럼 16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책이 좋다. 때로는 일부러 자제해야할 만큼, 책을 보면 읽고 싶어진다. 책을 읽으면 그 속에 빠져들어 세상일을 제쳐두고 골몰하기 일쑤다. 책 읽기를 끝내고 나면 이 책을 누구에게 권해 주면 좋을까 생각해본다. 그 책 너무 재미있더라는 말 한 마디면 난 더 할 나위 없이 행복해진다.

  나는 책이 참 좋다. 내가 좋아하는 바로 그 만큼 난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고 싶은 열망에 휩싸인다. 간질간질하고 조마조마한 이야기의 즐거움을 아이들도 알게 하고 싶다.

  나는 국어 선생이다. 국어 선생이 책을 좋아하니 얼마나 좋으냐고 말하지 마시라. 내가 아이들을 향해 책을 집어 드는 순간, 내 즐거움의 크기만큼 아이들은 저만치 책으로부터 도망친다. 아이들은 그 책 속에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는지 궁금해 하지 않는다. 오로지 그 책이 평가에 얼마나 어떻게 반영될 것인지에 주목한다.

  내가 아이들에게 너무나 읽히고 싶은 책을 발견했을 때, 나는 <소설처럼>을 생각한다. ‘읽다’는 동사는 ‘꿈꾸다’, ‘사랑하다’처럼 명령형이 불가능하다는 작가의 목소리를 다시 생각한다. 책은 아이들이 독서감상문을 쓰거나, 사고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씌여진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천천히 되새긴다.

  그리고 나면 책을 읽히고자 하는 내 간절한 열망은 조금씩 가라앉고, 나는 수업을 하다가 마치 갑자기 생각났다는 듯, 별로 중요한 일은 아니라는 듯, 책 속의 한 도막을 꺼내 놓기도 하고 때로는 그냥 지나가기도 한다. 아이들은 내가 던진 미끼를 무심히 스쳐지나 가기 일쑤다. 그래도 난 그다지 괴롭지는 않다. 누구에게나 책을 읽지 않을 권리도 있으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