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별 - 2018 제12회 김유정문학상 수상작품집
한강 외 지음 / 은행나무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나에게는 '작별'이라고 하면 떠올릴 수 있는 경험이 없다. 나이는 상대적인 것이어서 누군가가 나에게 어리다면 어리다고 할 수 있겠지만, 작별을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했다고 말하면 그건 의외라는 대답을 들을 정도의 적다고는 할 수 없는 나이다. 어머니와 아버지가 각자 집안의 첫째인데도 나는 아직 조부의 죽음조차 경험하지 못했다.
그래서 해줄 말이 없었다.
크리스마스를 함께 보낸 친구에게서 그 이튿날 보내진 '할머니가 돌아가셨대'라는 연락을 받았을 때, 해줄 수 있는 말이 없었다.
크리스마스 이브를 함께 보내고, 크리스마스 당일 아침에 친구의 집에서 눈을 떴을 때, 그의 아버지가 할머니의 병원에 가느라 나보다 먼저 당신의 집을 나가셨기 때문에, 친구 할머니의 죽음이 갑자기 들이닥친 것은 아닐 것이라고 추측한다. 하지만 작별을 생각하던 그 친구의 마음, 매일 출근하던 직장에서 퇴직하고 나서는 매일 병원으로 출근하던 친구 아버지의 마음, 그리고 세상과 작별을 준비했을 할머니의 마음을 나는 헤아릴 수가 없다.
작별에 무지한 내가 비참했다. 어떤 말도 해줄 수 없어서 미안했다.
그 때, 이 소설을 읽었다. 갑자기 눈사람이 되어버린 한 여자. 연세가 지긋하여 죽음을 앞둔 사람이든, 앞으로 3주밖에 남지 않았다는 시한부 선고를 받은 환자든, 누구든 갑자기 눈사람이 되어버린 기분이었을 것이다. 연인을 잠시 만나고, 아이의 얼굴을 보고, 부모에게 전화를 하는 그 과정은 죽음을 준비하는 누구나의 모습일 것이다. 남의 일이라고 지켜보고 있으면 마음이 쓰려오고, 내 가족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눈물이 차오르는 과정, 그리고 내 일이라고는 생각하고 싶지 않은 시간을 작가는 글자로 담아냈다. 그 글자들을 읽는 것이 슬픔을 이해하는 한 시도가 되었기를 바란다.
오늘 친구 할머니의 발인일이다.
따뜻함에 녹아버린 눈사람을, 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