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야 미친다 - 조선 지식인의 내면읽기
정민 지음 / 푸른역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정민 선생님의 책을 이 책까지 두 권 보았다. 첫번째 책은 <초월에 대한 상상>이라는 책으로 한시를 소개하며 당시의 시대 상황, 작가의 내면 등을 일러주는, 이 책과 비슷한 책이었다. 문사철이 한데 어우러졌으되 천성인 듯 잔잔하고 나직한 말투를 가진. ('초월에 대한 상상'이라는 말은 이 책, <미쳐야 미친다>에서도 언급된다.)

  그리고 이 책의 그런 점이 나를 감동받게 하고 동시에 지루하게 한다. 지루한 이유야 말 안해도 다들 이해할 것이다. 그저 비슷한 말투로 게다가 책에 소개된 글이 거의 산문인데 그 산문의 내용을 다시 해석하듯 일러주니 같은 말의 반복인 듯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왜 감동받는가. 그건 그저 개인적인 취향의 문제일지도 모른다. 분명 내용으로는 펄쩍펄쩍 뛰듯 좋아하고 밤새 빙빙돌며 뜻을 되새기고 두고두고 잊지 못하면서도 잔잔함을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 그 고즈넉함과 여유로움이 저자의 오랜 공부에서 나온 중용의 덕이라는 것이나 아닌가 하고 무의식중에 나 혼자 기뻐하곤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좀더 강렬한 책을 보고 싶기도 하다. 정민 선생님 역시 사랑하시는 듯, 초월에 대한 상상이라는 멋진 말을 붙여준 허균의 이야기랄까, 광해군, 허난설헌, 등등 여러 강력하고 매력적인 인물들이 나오는 숨 한번 크게 쉬지 못하고 정독에 정독을 거듭하게 하는 책, 슬슬 읽는 것을 처음부터 용납하지 않는 책이 보고 싶기도 하다. 그래서 왠지 늘 우리 역사 가운데 조선만큼은 부끄럽고 없었으면 좋겠고 짜증난다 생각하는 나와 같은 사람들에게 (물론 이 책도 그런 역할을 하지만) 그 시대가 가진 필연성과 안타까움, 아름다움, 비정하고도 비참함 따위를 흠뻑 느끼게 해서, 마치 내가 내 부모를 처음부터 인정할 수 밖에 없듯 우리 역사를 그렇게 인정하게 해 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에서 만난 세상 - 대한민국 인권의 현주소를 찾아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박영희 외 지음, 김윤섭 사진 / 우리교육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뿐 아니라 그저 집과 직장과 동호회, 옛 친구들 무리와 어울리며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에게 필요한 책인 것 같다.

여태껏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문제를 종종 들었지만 설마 간식조차 다를 정도로 같은 공간안에서 서로 다르게 살아가리라고는 생각지 못했다.

또한 슬쩍 알았던 친구의 부모님이 미싱사였지만 그저 그애 어머니가 좋은 실력으로 아껴 남긴 감으로 해준 그 친구의 옷이 부러웠을 뿐이었다.

그나마 내가 아는 세상인 고등학교 이야기를 읽으면서는 뭐 조금 과장이 아닌가 싶기도 했지만, 그 일들은 우리나라 어디선가 벌어지고 있는 일인 것이다. 그것도 아주 당연하게.

투정부리지 말고 좀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그렇게 다짐하게 해주는 책이라  참 좋다.

좀더 밀도있고 집중해서 이런 문제를 다루는 책을 만날 때까지 별 하나는 보관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범, 공부에 反하다
이범 지음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4월
평점 :
품절


벌어놓은 많은 돈을 기반으로 소신에 따른 삶을 영위하는 사람답다는 생각이 든다.

책의 내용은 활용하기 나름이다.

학생의 입장에서 정말 중요한 내용이 많다.

공부 잘하는 학생은 자신을 잘 비판한다든지

자신만의 공부법을 만들어야한다든지

꼭 기억해야 할 내용이 많다.

그리고 또 한가지 장점은 아, 이건 정말 헛소리다라거나 벌어먹고 살려니 별소릴 다하네라거나

그래 학원 강사가 별수있겠어, 하는 식의 생각이 들게 하는 부분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상식적인 부분이거나 통념에 반하는 부분이거나 어쨌든

거짓이나 헛소리, 바보같은 생각은 잘 보이지 않는다는거, 훌륭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용헌의 사찰기행
조용헌 지음 / 이가서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올 컬러의 아름다운 사진, 그러면서도 번쩍거리지 않아 눈이 아프지 않은 종이질. 적당히 유려한 문체.

누구에게 한 권 선물해도 선물한 사람의 품격이 손상되지 않을 법한, 가볍지 않은 책값이 당연하다 여겨지는 책.

그러나 대개의 수필류가 그렇듯 강렬함은 부족하다. 사실 안의 내용은 하나하나 보면 그 어느 것 하나 강렬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리고 저자 자신이 그 강렬함을 잘 알고 강렬하다고 스스로 이야기한다. 저자가 얼마나 강렬하게 그것을 느꼈는가는 모르지만 읽는 독자는 그저 강렬한 것이구나... 라고만 이해할뿐 스스로 그 강렬함을 체험할 수는 없다. 그저 훑어보고 핥아보는 것에 그칠 뿐인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사찰기행이라 했으니 그 이상을 요구할 수는 없을 터이다. 그래서 나는 늘 수필류에 대해 아주 좋아라 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엔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절반을 넘어, 아내가 임신하기 직전 혹은 임신하면서부터 이야기가 지루해지기 시작했다. 답답했기 때문이다.

좀더 많은 가사 노동, 건사해야 하는 두 개의 가정, 두 명의 남편. 이 여자는 변태다. 한 명에게 제한되지 않은 공평한 사랑? 사랑이라는 것이 할 때는 가슴아픔조차 감미롭지만 끝내고 보면 답답하고 황당한 것이 아니던가. 그 안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던가. 비록 그 안에 또 다른, 그 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더 넓고 신비로운 어떤 세계가 있다 하더라도 그곳은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인거다. 각자에게 사랑이란 조금씩 다 다르겠지만 대상이 가족이건 이성이건 그 누구이건 사랑은 조금은 이런 성질을 갖지 않나 싶다. 게다가 한 사람에 대한 사랑, 혹은 소유욕에 절절 끓어오르는 주인공은 이런 사랑의 나쁜 성질을 백퍼센트 이상 잘 느끼게 해주지 않는가. 뭐... 다른 이들도 별 다를 바 없는 것이다. 두번째 남편은 자기가 두번째니까, 그리고 여자는 여자니까 그럴 뿐... 게다가 작가는 짜증나게 상대를 나누어야 하는 사람은 오직 한 사람으로만 해놓지 않았나. 세상일이 그렇게 돌아가기도 하지만, 아니기도 한데. 

좀더 엉뚱하게 이 이야기가 사회적인 차원, 새로운 관계의 형성을 더 적극적으로 보여주었더라면 싶다. 점차 이 상황을 받아들여 가는 주인공..... 정도로는 좋은 게 아무것도 없다. 현실의 무의미함, 그저 그런 인생, 아무리해도 벗어날 수 없는, 아아, 인생이란 덫이다, 별스럽고 독특한 어떤 짓을 해도, 현실의 모순 가운데 어떤 것을 고쳐보아도 인생은 좋아질 수 없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좀더 유토피아적이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다. 

다시 정리하건대 재미있는 책이나 기분 좋지는 않았다. 두 명의 남자를 거느린 여자, 혹은 두 명의 남자에게 종속된 여자가 그리 좋아보이지도 않았고 전혀 부럽지도 않았다. 모수족처럼 살든지, 차라리. 진정한 모계사회, 자유로운 사랑과 관계(남자는 억울할지도.... 그러나 그건 우리생각이고 그들도 경제력만 있다면 자유롭고 행복하지 않을까..)를 추구하든지 말이다. 이 책속에 나오는 관계는  현 사회의 일부일처 관계를 두 개 붙여놓은 것에 불과하다. 그저 여자 하나에 남자 둘일 뿐이지 관계의 양태는 지금의 일부일처와 전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불쾌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