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엔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절반을 넘어, 아내가 임신하기 직전 혹은 임신하면서부터 이야기가 지루해지기 시작했다. 답답했기 때문이다.

좀더 많은 가사 노동, 건사해야 하는 두 개의 가정, 두 명의 남편. 이 여자는 변태다. 한 명에게 제한되지 않은 공평한 사랑? 사랑이라는 것이 할 때는 가슴아픔조차 감미롭지만 끝내고 보면 답답하고 황당한 것이 아니던가. 그 안에 갇혀있는 것이 아니던가. 비록 그 안에 또 다른, 그 전에 상상하지 못했던 더 넓고 신비로운 어떤 세계가 있다 하더라도 그곳은 바람이 잘 통하지 않는 밀폐된 공간인거다. 각자에게 사랑이란 조금씩 다 다르겠지만 대상이 가족이건 이성이건 그 누구이건 사랑은 조금은 이런 성질을 갖지 않나 싶다. 게다가 한 사람에 대한 사랑, 혹은 소유욕에 절절 끓어오르는 주인공은 이런 사랑의 나쁜 성질을 백퍼센트 이상 잘 느끼게 해주지 않는가. 뭐... 다른 이들도 별 다를 바 없는 것이다. 두번째 남편은 자기가 두번째니까, 그리고 여자는 여자니까 그럴 뿐... 게다가 작가는 짜증나게 상대를 나누어야 하는 사람은 오직 한 사람으로만 해놓지 않았나. 세상일이 그렇게 돌아가기도 하지만, 아니기도 한데. 

좀더 엉뚱하게 이 이야기가 사회적인 차원, 새로운 관계의 형성을 더 적극적으로 보여주었더라면 싶다. 점차 이 상황을 받아들여 가는 주인공..... 정도로는 좋은 게 아무것도 없다. 현실의 무의미함, 그저 그런 인생, 아무리해도 벗어날 수 없는, 아아, 인생이란 덫이다, 별스럽고 독특한 어떤 짓을 해도, 현실의 모순 가운데 어떤 것을 고쳐보아도 인생은 좋아질 수 없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면 좀더 유토피아적이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다. 

다시 정리하건대 재미있는 책이나 기분 좋지는 않았다. 두 명의 남자를 거느린 여자, 혹은 두 명의 남자에게 종속된 여자가 그리 좋아보이지도 않았고 전혀 부럽지도 않았다. 모수족처럼 살든지, 차라리. 진정한 모계사회, 자유로운 사랑과 관계(남자는 억울할지도.... 그러나 그건 우리생각이고 그들도 경제력만 있다면 자유롭고 행복하지 않을까..)를 추구하든지 말이다. 이 책속에 나오는 관계는  현 사회의 일부일처 관계를 두 개 붙여놓은 것에 불과하다. 그저 여자 하나에 남자 둘일 뿐이지 관계의 양태는 지금의 일부일처와 전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불쾌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