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 개정판 페이퍼로드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최용범 지음 / 페이퍼로드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룻밤에 읽는 한국사... 상당히 솔깃한 제목이다. 그 방대한 한국사를 하룻밤에 끝낼 수만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싶어진다. 한국사에 대해서 초보적인 입장이 아니라 딱 잘라서 말하기는 좀 곤란하긴 하지만 내 생각에는 초보자가 하룻밤에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오히려 이 책은 어느 정도 국사를 아는 사람이 읽어야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그 이유는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이 교과서를 다시 말하는 것이 아니라 학계에서 유력하게 나온 내용들을 말해주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가 배우는 역사책들도 딱히 뭐가 진실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연구 결과가 엇갈리기도 한다. 서울대 VS 고려대 이런 식으로 싸우고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이런 양쪽의 의견을 수렵해서 적당히 실어 넣는 것이 중고등학교 국사이다. 그래서 교과서에서 배우는 역사는 먼가 두루뭉술한 느낌이 다소 있어서 나중에 더 심층적으로 국사를 배우면 혼선이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그 혼선을 겪어야만 한단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그리고 이 서적이 바로 교과서를 탈피한 내용의 단면의 한편을 보여주기 때문에 초보자가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뵌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도 그리 많은 내용은 아니다. 그만큼 국사의 세계는 방대하다. 만약 교과서가 한국사의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학생들이 있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역사는 가정이 필요없다고 하는데 난 그것을 나름의 해석을 이렇게 했다. 만약 세간에서 말하듯이 소현세자가 왕이되서 한국의 선진화가 이루어졌다면 선진화가 되고 쭉 이어졌을까? 지금 엄청난 강대국일까? 만약 엄청난 강대국이라고 해보아도 의미가 있을까? 그 시대에는 나는 존재하고 있지 않을텐데? 결국 고구려가 망하고 신라가 통일하고 식민지 통치를 겪어 온 역사에서 내가 존재하는 것이다. 과거가 자랑스럽든 수치스럽든 얽멜필요가 없어 보인다. 과거는 그냥 현재를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하면 될 뿐인것이고 미래의 지표로 삼으면 될 일이다. 식민통치를 수치스러워하기보다는 이젠 식민지가 되지 않도록 과거를 반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현세자가 왕이 되지 못해서 우리나라의 근대화가 이뤄지지 못한것을 한탄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는 그런 과오를 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얘기를 한 이유는 과거가 수치스럽다고 감추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얘기하고 싶어서다. 수치스러운 역사를 감추고 자꾸 미화를 하는 역사는 결국 과거를 반성할 수 없고 다시 잘못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꾸 진실에 다가가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 책을 읽으므로 인해서 교과서에 머물렀던 진실을 한단계 앞으로 나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앞으로도 더 많은 길이 남아있지만 말이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역사는 발전 할 수가 없을 것이라는 말을 하고 싶다. 감추고 싶은 역사와 그것을 감추려고만 하는 현 일본. 결국 반성따위는 없이 또다시 시행착오를 겪게 될 것이다. 역사란 것이 99가지의 실패를 경험함으로서 1가지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실패한 역사를 감춤으로 인해서 일본은 그만큼의 시행착오를 한번 더겪게 되고 결국 발전에 한단계 늦어지게 될 것이다. 과거보다 미래가 중요하고 미래보다 현재가 중요한 것이 아닐까. 과거를 위해서 현재를 왜곡할 게 아니라 현재를 위해 과거를 배우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