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상상력 사전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책 디자인은 기존의 백과사전보다 세련되지고 양이 늘어났다. 그동안 출판된 책이 있으니 당연한 것일 것이다. 그리고 책은 양장본이기는 하지만 하드커버는 아니다. 그래서 읽다 보니까 책이 자꾸 구겨지는 현상이 발생해서 슬퍼지게 된다. 아니 이 책은 받는 순간 부터 슬펐던 것이...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가이 왼쪽에 이상한 선이 주~~욱 나서 온 것... 출발은 순탄치 않았다. 

 책의 제목을 보면 상상력의 사전인데 전 제목은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이다. 하지만 두 제목다 적절할까...싶어지는 것이 상상력의 사전이라기엔 과거 사실들을 담아놓은 것이기때문. 물론 이걸 읽고 변방의 지식이라도 많이 쌓아서 상상력이 생기는 거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상대적 절대적 백과사전도 상대적이라면 사람에 따라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 인가 싶어지고 상대적과 절대적이란 말 자체가 같이 있는 것이 모순 이므로... 여기서 이걸 언급하는 것은 책 제목에 딴지를 걸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읽다보니까 그냥 떠오르는 것이 마이너 지식의 모음이란 것이다. 세상에 덜 알려진.... 아니 어쩌면 아는 사람만 아는 알려지지 않은 지식의 모음이라서 일종의 변방의 지식의 사전이라는 생각이 들기때문이다. 이걸 읽는 자체가 믿거나 말거나인 사람이 대다수 일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진짠지 가짠지 알기가 애매한 내용들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거짓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적어도 진실이 어쨌거나 베르베르는 자신이 사실이라고 믿는것을 썼을 것이다. 게다가 사실이 아니라고 해도 믿지 않을 수가 있을까?? 이것이 베르베르 소설의 특징이라고 할 것이다. 물론 이 책은 소설은 아니지만 그의 소설자체가 그런 특징이 있다는 것이다. 만약 거짓이라고 해도 확실한 주장과 논리로 진실로 믿어버리게 만드는 힘...  

 이 책을 근 한달 가까이 천천히 읽었는데 그동안 베르베르의 책을 다 모아왔다면 다 있는 내용일 것이다. 책의 절반가량이 눈에 익은 내용이기때문이다. 전부 기억을 해내지는 못해서 100% 나왔던 내용인지 확신은 못하지만 설마 그동안 책에 없던 내용을 써넣지는 않았을거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다보면 정말 새로운 사실들... 심지어 이걸 받아들여야 하나 싶은 것들도 상당수 나오게 된다. 그러고 보면 왜 이게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인지를 알듯도 싶어지기도 한다. 분명 존재했던 사건이겠지만 그걸 받아들이는 입장은 상대적일 수 밖에 없는 그런 희한한 사건들과 지식이기때문이다. 테마 하나하나가 읽는 사람이 다른 생각으로 다르게 받아들일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 아닐까 싶다. 왜 이런 생각이 났나는 모르나 그냥 희한한 내용을 장기적으로 접하다 보니까 확실히 생각이 다른 쪽으로 막 튀는 느낌이 든다. 고정관념이 타파 되는 느낌이랄까... 그동안 상대적인 시선으로는 우리나라의 인구가 적어지는 현상이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일변도로 생각해왔는데 절대적인 시선으로 본다면 오히려 인구의 감소는 좋은 현상이라는 얘기다. 인구가 줄어들면 환경문제도 해결이되고 지구자원 문제도 해결이 되고 더 많은 자연과 자원의 혜택을 누릴 수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가 남북한 합쳐서 3000만 정도 된다고 한다면 개개인이 더 넓은 공간에서 한결 여유롭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인구가 많아야 하는 이유는 오로지 국가 경제력과 경쟁력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쫒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가장 안좋은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이 인류의 운명인걸까?? 싶어진다. 항상 최악으로 치달을 수 밖에 없는 것이 인류의 운명인걸까? 전세계의 인구가 70억이 아니라 20억정도 된다면??? 지구도 막장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다...... 

 그동안은 인구가 많으면 좋은 거라고 인구감소는 안좋은 거라고만 생각해왔는데 사실 어느 입장이 상대적이고 절대적인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어쨌건 한번 더 생각해보니 오히려 인구감소는 좋은 것이라는 결론도 있다라는 것이다. 물론 현실에서는 국가경쟁력때문에 인구가 감소를 해서는 안되겠지만 어쨌거나 현실은 제껴두고 이상적으로 한번 더 생각해보게 되게 만든다. 사물을 한번 더 뒤집어서 생각해보게 하는 그런 힘을 길러주는 느낌이 드는 것이 베르베르의 사고방식인듯하다. 상상을 마음데로 펼쳐봐라....그래서 상상력의 사전인가 싶기도하다. 이책의 내용들이 모두의 상식대로 펼쳐져 있지는 않을테니 읽다보면 비상식적인 내용이 많고 거기에서 고정관념을 한번 깨뜨려 보게 되는 그런 느낌이다. 이건 상식으로 알고 있었는데 다른 방식으로 진행이 될 수도 있구나.....하면서 말이다. 아마 독재자들이 가장 싫어할만한 타입의 글쟁이가 아닐까 싶다. 독재자들의 입장에서는 국민들은 생각을 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도 시황제 얘기가 나오는데 인간은 생각을 하면 할 수록 인간사회제도의 모순을 발견하게 되있는 것이 당연하기때문이다.  

 그리스 신화부터 각종 잡지식들이 많이 나오는데 지식도 좋지만 한번 사고의 틀을 깨는 계기가 되는 것도 좋을 듯하다. 어쩌면 그래서 상상력의 사전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상식들이 사실은 진실이 아닐 수도 있음을....  사실 책을 다 읽고 나니 먼가 알딸딸 한 느낌이다. 좌뇌가 못받아들이는 내용들이 많아서 일까? 머릿속 질서를 파괴당한 느낌이랄까? 새로운 세계를 위해서는 파괴는 당연한 것인것 같다. 파괴되고 다시 창조되고 더 넓어진 세계에서 다시 더큰세계를 만나 다시 파괴되고 창조되고... 인간의 생각의 세계는 끝이 없는 것 같다. 언젠가 다시 펼쳐 보게 될 그런 책인 듯하다. 한번에 다 받아들일 수는 없는 내용이다 보니까...그동안 다 읽었던 내용이지만 그걸 다 기억할리는 없으니 최근에 읽은 베르베르의 작품중에서 가장 베르베르 스타일다운 책이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베르베르는 4차원적인 내용을 말할때가 가장 어울리는 것일까? 예전 나무도 4차원적인 내용이었지만 가장 마음에 들었었는데 말이다. 아무튼 앞으로 또 어떤 작품으로 다가올지 기대해 본다.  

 이쪽에서 충격먹고 저쪽에서 충격먹고 충격독서를 해서 그런지 왠지 횡설수설 하는 느낌이다. 사실 더 쓰잘데기 없는 생각을 많이 했지만 다 써보자면 엄청 길어질것이고 또 다른사람들이 들으면 말그대로 헛소리 같을 것 같다... 남들이 들을때 헛소리같을지라도 독서를 할때 상상의 한계를 깨버리고 마음껏 생각해보는 것도 좋은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진짜 미친놈 소리 들을것 같으면 입밖으로 안나가면 될일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