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가 날 땐?
많은 분들이 코피 흘리면 고개를 뒤로 젖혀 뒷목을 주물러
주는데, 대부분 콧구멍 앞부분의 모세혈관이 터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쪽만 흐르더라도 양쪽을 다 막아 지혈을 하는 것이 좋다!


***콧물에 대한 속설
1. 콧물은 양쪽을 같이 풀어야 한다? (X)
(양쪽을 같이 풀면 귀가 울리는 느낌이 드는데, 이것은 압력이
상인두에서부터 중이까지 가기 때문이다. 이 때 상인두에 분비
물이 있으면 그것이 중이에 말려가 중이염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한쪽씩 코를 풀면 힘을 조절할 수 있어서 무리한 힘이
주어지지 않는다. 특히 어린 아이는 한쪽씩 코를 푼다는 것이
무척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어릴수록 중이염에 걸리기 쉽다.
따라서 아이가 코가 막힐 때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뜨거운 음식 먹을 때와 울 때 흘리는 콧물은 같다? (X)
(슬픈 영화를 보거나 가슴 아픈 일을 당했을 때 많이 울다보면
콧물까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눈의 안쪽에 있는
누관을 통해 콧속에 하비갑개 (우리가 콧속을 들여다보았을 때 빨갛게 보이는 혹같이 생긴 점막)라는 것의 아래쪽으로 코와
눈 사이를 연결하는 관의 출구가 있어, 눈에서 생성된 눈물이 눈의 안쪽에 위치한 이 관을 타고 코로 내려와 눈물이 코를 통해 나오게 됩니다. 코는 눈 뿐만아니라 귀와도 통해 있습니다. 코피가 심하게 나서 코에 솜을 막았을 때, 피가 눈으로 역류하여 눈에서 피가 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바로 서로관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입니다.)


3. 콧물은 삼키면 안된다? (X)
(콧물은 기관지에 침투한 세균과 오염물질을 점막물질을 배출
하여 포획해 놓은 것. 그리고 섬모를 이용해서 밖으로 배출
시키는 거죠. 콧물과 가래의 성분은 점막물질이 보유하고 있는
영양물질과 세균 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것을 삼키면 위
속의 산이 세균을 다 죽여버리고 영양분은 소화가 된다. 따라
서 위가 건강한 사람은 가래를 삼켜도 큰 문제는 없다.)

4. 코딱지는 제거하는 것이 좋다? (O)
(코딱지는 공기를 흡입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이나 먼지등
이 코를 통과할 때 코에서 나오는 점액과 만나서 굳은 것.
코딱지는 제거해주는 것이 좋은데 이때 손으로 후비는 것은
절대 금물! 손에는 세균이 많이 살기 때문에 손으로 코를 만짐
으로써 세균에 감염될 수 있다.)

5. 축농증이 심하면 머리가 나빠진다? (X)
(물론 축농증치료를 제 대로 하지 않는 경우 드물게 뇌막염이나 뇌농양과 같은 합병증이 올 수는 있지만, 축 농증 자체가
머리를 나쁘게 하지는 않는다. 아마 축농증이 생기면 흔히
두통을 느끼기 때문에 축농증이 머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상상을 하게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축농증이 생기면 두통과 함께 얼굴에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데,
고개를 앞으로 숙이거나 머리를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 것과
관련된 것이다.)

*** 콧물로 알수있는 건강상태

① 맑은 콧물
: 급성비염(초기), 알레르기성 비염, 코알레르기

② 끈적거리는 콧물
: 급성비염(말기), 만성비염, 만성부비동염

③ 고름같은 콧물
: 급만성 부비동염, 비강이물

④ 출혈이 포함된 콧물
: 악성종양, 습진, 매독, 등의 궤양

⑤ 냄새가 나는 콧물
: 상악암, 치성 상악동염, 비강이물, 취비증

***수퍼처방전

1. 코를 뻥~ 수증기의 힘!
(차를 마시기전에는 항상 뜨거운 김을 코에 넣어주는 것이 좋다.
입으로 맛을 보기 전, 향을 음미하듯
뜨거운 김을 콧속 깊이 들이 마십니다.
콧속은 점막으로 이루어져 항상 촉촉하게 습기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무심코 마시는 차 한잔으로 코를 건강하게 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 충분한 습도, 따뜻한 공기는 코가 가장 좋아하는 조건!!
때문에 한 여름에는 콧물이 심한 축농증으로 고생할 확률이
적다. 그러나 환절기와 겨울철에는 일교차가 크고 공기가
건조해서 점막이 자극받기 쉽다. 때문에 습도 유지와 수분
섭취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치 않는 건강예방법!!

2. 날마다 이를 닦는 것처럼, 우리의 콧속도 씻어주자
50cc 주사기나, 물약병을 이용해 반드시 생리 식염수로
헹구어 주는 것!! - 우리 인체와 가장 가까운 식염수로 해야
**50cc 주사기는 약국에서 판매 (300원 정도)
**물약병도 쉽게 구매가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