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랩 - 돈이 벌리는 경제실험실
케이윳 첸 & 마리나 크라코브스키 지음, 이영래 옮김 / 타임비즈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머니랩을 읽게 된 동기를 생각하면 광고의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가끔씩 신문이나 TV광고등을 보면 괜히 돈낭비라는 생각을 할때가 있다. 어짜피 슬쩍지나가는 정보를 누가 눈여겨서 본다고..... 하지만 이번 머니랩이란 책을 알게 된 것이 바로 그 슬쩍지나가는 정보때문이다. 내 관심사가 머니에 대한 것이었나보다. 지하철에서 무료신문을 보면서 슬쩍지나가는 머니랩에 눈이 꽂히는 것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이래서 광고를 하는 구나....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하지만 투자비용만큼 효과는 있는 걸까? 하는 의문은 생긴다.

 머니랩은 좀 기대를 많이 하고 보게 되었다. 먼가 여러가지 실험을 한듯한 느낌이 풍기기때문에 그동안 시중에서 이론적으로만 다 비슷비슷한 얘기들만 하는데 식상하던 차에 Lab 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온 것은 가히 신선했다. 이론서 뒤의 실습서 같은 느낌이랄까... 그렇게 보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혁신적인 내용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야기의 주제가 몇개가 안되고 왠만한 상식선에서 알 수가 있는 이야기들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누구나 알지만 이것을 어떻게 실험했냐는 것에 초점을 둔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어쨋거나 어느정도 경제 관념이 있는 사람이라면 좀 식상할 정도로 주제가 적고 또 그 하나하나의 적은 주제가  길다. 그래서 처음과는 달리 갈수록 지루해짐을 느끼게 되었다. 기대했던 것은 짧게 짧게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 실망감이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게다가 이 책에서도 나왔듯이 신뢰성의 문제는 이책에서도 만나게 된다. 과연 이 책의 실험이 믿을만 한가이다. 이책의 저자에 대한 평판의 효과는 전무하기 때문이고, 또 이 실험만으로 다 대변이 가능할까 싶기도 하는등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요약하자면 방대한 경제규모에 비해 그 실험의 양이 너무 적다는 실망감이랄수 있을듯하고 또 간단하게 해도 될 것이 너무 길게 써서 지루하게 만든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핵심만 간추려서 줄이고 좀더 다양한 내용이 존재한다면 더 만족스러울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