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린세스, 라 브라바! - 기대해도 좋을 내 인생을 위해
아네스 안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추석 연휴에 《프린세스, 라 브라바!》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자극이 필요할 때 읽으려고 고심해서 골라두었던건데 읽어야 할 다른 책들을 먼저 읽다보니 이제야 책꽂이에서 해방시켜 줄 수 있게 되었네요.

《프린세스, 라 브라바!》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여자, 8명의 성공 스토리를 담고 있습니다.
브로드웨이 뮤지컬 작곡가, 파티플래너, 유엔 행정 직원, LA 검찰청 공보관, SB D 갤러리 큐레이터, 라스베가스 카지노 호스트 & 마케팅 이사, 윌 스미스에게 전달 될 꽃다발을 준비하는 유명한 플로리스트, 친환경 크리에이티브 디자이너까지. 이렇게 다양한 직업을 가진 그녀들은 모두 다름아닌 한국인이라는 점에서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는데요. 특히 그녀들은 성공하기 전부터 금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난 그런 사람들이 아닌, 주위를 둘러보면 쉽게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는 점도 흥미로웠고, 무엇보다 세상에 잘 알려져있는 인사들이 아닌, 저자가 꼭꼭 숨어있는 인재들을 찾아내 그녀들의 가까이에서, 그녀들의 일상 속에서 함께 움직이며 그녀들을 인터뷰했다는 점도 정말 마음에 쏙 들었어요.
저는 읽어보지 않았지만 저자 아네스 안의 다른 책으로 《프린세스 마법의 주문》이라는 책이 있었네요. 읽어보지 않았어도 제목을 보고 표지가 딱 떠오르는게 굉장히 유명했던 책이었나봐요. 비록 그 책은 읽어보지 않았지만 《프린세스, 라 브라바!》는 웬만한 자기계발서보다 이렇게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 편이 저에겐 더 큰 자극이 되어서인지 기분 좋게 읽을 수 있었어요. (자기계발서는 너무 실천을 강요하는 것 같아 게으른 저에겐 정말 불편하단 말이지요...)

+ SB D 갤러리 큐레이터 박설빈양에 대해 다루어진 부분에서는 '책 읽기'에 대한 부분이 다루어졌는데 어찌나 반갑던지. 이런 글은 같이 읽어야죠!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보여주며 그녀는 말했다.
"어렸을 적 저에게 책 읽기란 유일한 출구였어요. 책만이 저를 바깥 세상과 연결시켜 주었으니까요. 비교적 어린 나이 때부터 『리더스 다이제스트』를 구독해서 읽을 정도로 책 읽기를 좋아했어요. 영화 보기나 텔레비전 시청은 그냥 보는 거잖아요. 생각을 안 해도 되고 가만히 있어도 내용은 흘러가죠. 굉장히 수동적인 행동이에요. 그런데 책 읽기는 능동적인 행동이죠. 내가 책을 펴고 읽어 내려가지 않으면 결코 아무 세상도 펼쳐지지 않아요. 내 나름대로 상상하고 창조할 수 있는 건 책 읽기밖에 없어요.
사람의 인생이 갑자기 달라지는 계기가 되는 건 부모님의 말일 수도, 선생님의 말일 수도 있는데, 저는 책이었어요. 『데미안』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 있잖아요.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트려야 한다', 즉 갇혀 있는 인식의 틀을 깨고 나와야 넓은 세상을 보고 진정한 자아를 찾을 수 있다는 뜻이죠. 물론 그 벽을 깨고 나온다 해도 또 다른 벽과 마주하게 되겠죠. 그런데 그게 바로 인생 아닐까요? 그 벽을 계속 깨고 나가는 과정 속에서 우리는 좀 더 발전된 자아를 만날 수 있게 될 테니까요.
솔직히 제게는 부모님이 가장 큰 벽이긴 했지만 그것이 '나'라는 정체성을 갈망하게 된 계기이기도 해요. 그 당시 부모님의 뜻을 거역하는 불효자였지만 훗날 부모님을 탓하지 않고 스스로 책임을 묻는 '홀로 선 주체'가 되고 싶었어요. 그것이 결국 진정한 '효'일 거라 믿고 있고요. 남녀관계에서도 '홀로 선 주체'란 말이 굉장히 중요한 것 같아요. 서정윤 시인의 시 「홀로서기」에서도 '둘이 만나 서는 게 아니라, 홀로 선 둘이 만나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잖아요. 즉 자신이 홀로 설 줄 안다는 것은 자기 인생의 주인이 된다는 뜻이니까요. 여하튼 저에게 책이란 깨달음을 주고 좀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고마운 존재예요." -p, 217~219


Follow your heart and do what makes you happy.
Don't let other people push you into something that isn't happy fundamentally you.
당신의 마음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고,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일을 하세요.
세상 그 누구도 당신을 당신이 원하지 않는 그 어떤 것이 되라고 조정할 수 없어요.
미국의 44대 영부인 미셸 오바마가 즐겨 쓰는 말이다.
우리가 실패와 자주 조우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그 일에 몰입하지 못하는 데 있고, 집중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만큼 그 일이 자신이 원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정말로 절박하고 간절한 꿈이라면 분명 당신의 모든 감각을 깨우고, 당신을 움직이게 할 테니까 말이다.
잊지 마라. 만약 당신이 어디로 가고 싶은지 모른다면, 그리고 어디로 갈지에 대해 별로 고민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결국 가고 싶지 않은 곳으로 가게 될 거라는걸.
-p, 89~91

인생은 곱셈이라고.
아무리 기회가 와도 내가 제로라면 그냥 제로로 남고 만다고.
하지만 내가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다면 기회는 우리에게 곱빼기로 더 나은 삶을 선물해 줄 거라고.
-p, 177


무엇인가를 성취하는 데 95퍼센트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일이 무엇인지 아는 것' 이라고 한다. 만약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면, 무엇을 할 때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재미있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면 된다. 여기서 단지 게임을 하는 것이 재미있기에 게이머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건 당신이 게임밖에 재미난 경험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먼저 이런저런 경험을 해보라는 거다. 극단에 들어가 연극도 해보고, 악기도 다뤄보고, 누군가를 가르쳐보기도 하고, 조직 안에서 그룹을 리드해 보기도 하고, 여기저기 등산이나 여행도 해보는 거다. 경험을 통해 꿈을 발견하는 것이지, 가만히 있는데 꿈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게 아니다. -p, 33, 34
"가장 힘들게 했던 사람들은 저에게 현실적인 이야기만 해주는 사람들이었어요. '거기 몇백 대 일이래. 말이 되니? 학사 학위만으로는 지원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야' 라고 충고해 주었는데, 그런 말들을 들을 때마다 좌절되고 힘이 빠지더라고요.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것에 흔들리고 싶지 않았어요. 세상은 능력은 조금 부족해도 사람들에게 먼저 다가가려는 따뜻한 마음으로 생각하지 못한 기적이 일어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제가 다른 대기자 분들보다 더 똑똑하고 잘나서 정직원이 되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으니까요. 기존의 룰을 깰 수 있는 것은 결국 사람의 마음인 듯해요. 지금 이 순간이 너무 감사하고 행복합니다." -p, 145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현재에 안주해있지 않고, 늦었다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 이런 삶을 동경하고 꿈꾸고 있는 제가 멀지 않은 미래에 누군가의 꿈이 되어 있길 바라며. 세은이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