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백수생활백서?! 백수생활 보고서?! 제목과 책을 읽기 위해 엎드려 있는 한 여자의 머릿속에 그려져 있는 열러가지 그림들... 제목과 함께 표지가 시선을 끈다. 2006년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이란 수식어와 함께...
책 속에는 책을 좋아하는 30대를 눈앞에 둔 서연을 중심으로 주변인물들 10여명이 등장한다.
등장인물 나름대로 독특한 케릭터와 함께...
책을 좋아하고 즐겨보고 책과 관련된 일 외에는 어떤 것에도 관심도 얽매이는 것도 싫어하는(그 흔한 핸드폰도 없다) 어떻게 보면 책읽는 직업이 있다면 어울릴만한 주인공 서연...
요즘 말하는 남부러울 것 없는 소위 퀸카 유희와 결혼했어도 진정한 사랑과 연애를 꿈꾸는 로맨틱한 어찌보면 순수한 채린과 그녀의 남편...
약간은 속물적인 남자친구와 책을 매개로 해서 만난 어쩌면 사랑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그와 또 서연이 보기엔 약간의 일 중독자이면서 유일한 혈연인 아버지, 그리고 그녀의 할머니...
1인칭 주인공 시점이라서 더 쉽게 서연에 대해 동화되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서연은 말을 할 때도 생각을 할때도 별로 꾸미지도 않고, 주위에 대해서 무신경한 편이다. 그 모습이 책속에 그대로 스며있어서, 저자는 서연을 매개로 약간은 평이하지만 공감할 수 있는 것들을 쏟아놓는다. 그래서 어쩌면 이 책이 소설인데도, 소설을 읽는듯한 느낌보다는 작가의 일상을 편안하게 보여준다는 느낌이랄까?! 소설같지 않은 소설... 그만큼 자연스럽다는 이야기다.
주인공 서연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고방식으로는 백수다. 하지만 서연은 보통 백수와는 좀 다른다.
자발적인 백수(일할 수 있는 능력도 여건도 되지만 하지 않는)... 남들이 보기에 백수지 서연 자신은 백수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책을 좋아하고 책을 사랑하고 책과 사귀고 있다고 아니 연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책에 빠져산다. 보통 일년에 500여권(평생 1권도 읽을까 말까한 사람들도 있는데...)을 읽는다고 하니...말 다한거 아닌가?! 그녀는 책을 통해 이야기 하고 책속 구절을 인용하기도 책을 매개로 사람을 만나기도 한다. 책을 빼놓고 서연을 말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책에는 군데군데 자신이 읽은 책과 인상깊은 구절이 나온다.(책 속에선 서연이겠지만 현실에선 작가가 밑줄그은 글구들...)
나두 물론 서연처럼 밑줄도 긋도 메모도 하면서 아주 재미있게 읽어내려갔다. 서연의 생각인지 책들에서 있는말인지 몰라도 좋은글구나 공감가는 글들이 참 많았던 것 같다. 내가 읽었던 책도 나오는데 책속에 저런 구절이 있었나?! 하는 것도... 이 책을 읽으면서 괜찮은 책들도 많이 발견했다.
여러가지 공감가는 글구 중에서도 "연애는 꼭 사람하고만 하는게 아닐지도 모른다"는 주인공 서연의 말에 나도 동감하면서 고개를 끄덕였다. 서연의 연애 상대가 책이라면 지금의 내 연애상대도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ㅎㅎ
서연의 독서방법에는 좀 독특하다. 책을 읽으면서 작가가 좋아하는 다른작가의 책을 읽고 그 책을 다 읽으면 또 그 다른작가가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읽고 이런식으로 릴레이로 책을 읽어간다.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서 나도 써먹어 볼 생각이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서연같이 하루종일 아니 몇날 몇일이고 책만보면서 먹고 싶으면 먹고, 자고 싶으면 자고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물론 읽고 싶은 책들을 맘것 볼 수 있고... 예전에도 그런생각을 했었지만, 나는 요즘도 그런생각을 한다.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이 책속 주인공은 할일 없이 책만보는 여자로 비춰질 수도 있겠고, 그 친구들도 어지간하게 할일도 없고 생각없이 산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남들이 볼 때는 말그대로 백수생활이겠지만 자신이 좋아서 하고 싶어서 하는 서연의 그 당당함이 좀 부러웠다.
나두 그렇지만 사람들은 항상 기본이나 자신만의 기준에서 세상을 사회를 보려고 한다.
하지만 기본을 벗어났다고 해서, 그 사람이 변태도 정신이상자도 엽기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다. 평범하지 않다고 해서 이상하거나 미치거나 그런 것만은 아니다. 단지 자신과 좀 다를 뿐이다.
꼭 목표를 가지고 남들이 잘 사네 대단하네라고 하는 삶을 사는 게 행복한 삶은 아닌듯하다.
내가 원하고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사는 그런 삶이 진정 행복한 삶이 아닐까?!
자신이 진정하고 싶고 바라는 것이 있는데 주위 시선이나 사회적 편견으로 망설이고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해라.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하고 살기에도 너무나 짧은 인생...
왜 남의 눈치보면서 하기 싫은일을 억지로 하면서 힘들게 사는가?!
그러고 보니 나는 과연 하고싶은일을 하면서 살고 있나?!
후움~나부터 반성해야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