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채드윅(지음), 전경훈(옮김), 《교부 아우구스티누스 - 그리스도교 신학의 아버지》, 뿌리와이파리, 2016.


(제1장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형성 과정 요약)


아우구스티누스는 중세 신학에서 근대 낭만주의 운동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사상과 문화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었다. 그의 영향력은 그가 탐구했던 다양한 이론과 사상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특히 신플라톤주의는 그를 회심으로 이끌었다. 회심의 과정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의 가르침과 플라톤의 형이상학을 종합하여 하나의 통일된 체계를 구성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신앙과 이성의 관계"에 있어서 중세 신학과 철학의 뿌리가 되었다. "신의 사랑에 중심을 두고 있"는 그의 사상은 서구 신비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양측은 모두 신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의지에 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문헌을 인용하며 논쟁을 벌였다. 18세기 계몽주의자들은 인간이 완벽해질 수 있다고 확신했기에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 개념에 반대하는 논쟁을 벌였다. 이성을 중시했던 계몽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감정을 중시한 낭만주의 운동이 등장했는데, 인간의 감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오늘날처럼 우리가 '마음'이란 단어를 쓰게 된 것은 아우구스티누스 덕분이다." 그는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자들 중에서 가장 예리한 사람이었으며", "비언어적 소통에 대해 비판적으로 연구한 선구자였다." 이처럼 서양의 지적 전통에 막대한 유산을 남긴 그의 사상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그가 "고대사회에 속했던 사람"이며, "그의 지성과 사고방식은 모두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 및 철학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기원후 354년부터 430년까지 생애 대부분을 북아프리카에서 보냈다. 당시 북아프리카는 로마제국의 지배 아래에 있었으며 라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지중해 세계의 일부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라틴 고전 문학을 배웠고 20대 때에는 키케로의 대화편들을 읽었다. 특히 《호르텐시우스》를 읽고 "윤리와 종교에 관한 주제들을 심각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 주제들에 대한 관심은 한때 점성술과 비의적 신지학에 빠져들게 했고 결국 금욕주의적 덕성을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마니교로 개종하게 만들었다. 마니교의 교리는 성경에서 차용한 몇 가지 주제와 용어를 이원론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신화가 핵심을 이루고 있었다. 신화를 제거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마니교 교리에 실망한 아우구스티누스는 밀라노에서 그리스도교 지식인 암브로시우스와 심플리키아누스를 만났고 그들을 통해 신플라톤주의 철학을 접했다. 키케로를 읽고 "열아홉 살의 아우구스티누스가 마니교에 이끌렸다면, 플라톤주의 철학서들을 읽은 서른한 살의 아우구스티누스는 [....] 교회로 향하게 되었다."


교회로 '돌아온' 아우구스티누스는 "요한 복음서의 머리말이나 플라톤 철학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사도 바오로의 코린토2서 3장과 4장 같은 신약성경"을 주의 깊게 읽었다. 그는 플라톤과 그리스도 사이가 매우 가깝다고 생각했으며, 교회의 가르침은 "대중을 위한 플라톤 철학"이라고 보았다. 그 플라톤 철학은 "당시의 '현대' 플라톤 철학, 곧 오늘날 우리가 신플라톤주의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의 권위와 플라톤으로 상징되는 이성이 "진리에 이르는 두 개의 평행선"이라고 생각했다. 시간적으로 이성에 앞서는 권위는 방향을 제시한다. 그 방향을 따라가며 이해할 수 있는 이성은 실제 경험 세계 안에서는 권위에 앞선다. 이성만으로는 온전한 앎에 도달할 수 없다. 반대로 권위에만 의지해서는 참된 권위에서 나오는 주장과 거짓 권위를 내세우는 주장을 가려낼 수 없다. "그리스도의 신적 권위만이 최고의 이성에 의해 드러"난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그리스도는 신플라톤주의의 "최고 존재 셋 중 하나인 정신과도 동일한 하느님의 지(智) 자체"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가져온 개념들을 다듬어 그리스도교에 이식함으로써 풍성한 신학 사상의 꽃을 피웠다. 그 꽃은 수사학, 윤리학, 철학 등 긍정적 계기들만이 아니라 마니교와 같은 부정적 계기들도 밑거름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리스가 무너지고 帝國이 支配하는 헬레니즘 時代로 접어들면서 世界는 거칠고 險難해졌다. 世界가 거칠어지면서 logos의 哲學, nous의 哲學은 끝이 나고 전혀 다른 種類의 哲學인 安心의 哲學이 登場했다. 헬레니즘 時代에 사람들이 注目한 代表的 安心의 哲學으로는 에피쿠로스 哲學과 스토아 哲學이 있다.

펠로폰네소스 戰爭 以後 그리스가 페르시아 帝國의 支配를 받게 되면서 폴리스도 崩壞되었다. 폴리스의 市民으로 살아가던 그리스인들은 帝國의 臣民으로 身分이 變化되었다. 이 變化는 政治的 主權의 喪失을 意味하는 것이었다. 이제 어느 한 곳에 뿌리를 내리고 산다는 것은 無意味한 일이 되었으며 流浪의 길을 떠도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이들은 자신이 經驗해보지 못한 生活環境에서 살던 낯선 사람들과 遭遇하는 狀況을 頻繁히 겪게 되었고, 이러한 事態는 異質的인 慣習과 規範, 宗敎가 뒤섞이는 契機로 作用하였다. 각 民族과 文化의 독특한 個別的 傳統은 점차 힘을 잃고 世界主義, 普遍主義가 擴散되었다.

世界主義, 普遍主義는 普遍的이고 抽象的인 思惟를 强化하는 肯定的 側面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이 사는 政治的 共同體와의 一體感이 弱化되는 否定的 側面이 있다. 帝國이 支配하는 普遍的 世界에서 政治的 意思決定權을 喪失한 狀態로 살아가게 된 사람들은 公的인 領域에서 私的인 領域으로 急速하게 退却하였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해서 體系的 理論으로 차분하게 整理할 餘裕가 없어졌다. 그리스 哲學의 傳統으로부터 플라톤을 거쳐 아리스토텔레스에서 精巧하게 다듬어진 logos, nous의 哲學은 終末을 맞이하였고, 사람들에게 가장 重要한 目標는 마음을 便安하게 하는 것이 되었다.

代表的 安心의 哲學者라 할 에피쿠로스는 不安으로부터의 自由를 追求하였으며 快樂을 즐길 것을 主張하였다. 後代의 에피쿠로스주의 哲學者 루크레티우스는 原子를 基本으로 삼아 物體와 世界를 一貫하는 原理를 만들어냄으로써 精神性보다는 物質性을 强調하는 唯物論的 哲學을 내놓았다. 또 하나의 重要한 安心의 哲學인 스토아 哲學은 宇宙의 秩序, 萬物의 共通된 支配的 原理로서의 攝理를 主張하였다. 이 攝理 속에서 人間은 理性을 통해 宇宙와 合致를 追求하는 獨立的 存在로 자리한다. 스토아 哲學은 宇宙의 攝理와 이에 對應하는 人間의 理性을 想定함으로써 거칠고 險難한 時代를 克服할 길을 찾고자 하였다.

헬레니즘 時代에 登場한 安心의 哲學은 當時의 거친 世界에 대한 反映이었다. 險難한 時代의 典型인 헬레니즘 時代는 朝鮮 末에서 植民地 支配, 分斷과 內戰을 거쳐 産業化에 이르기까지 近代化 過程을 壓縮的으로 겪고 있는 當代의 韓半島 狀況과 그리 멀지 않다. 韓半島라는 構造에 속한 行爲者들의 無意識的 心性에 어떠한 哲學 혹은 思想이 자리잡고 있을지 可히 짐작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리스토텔레스는 눈앞에 보이는 事物들의 變化에 關心을 集中하였다. 이 變化는 곧 運動(kinesis)이며, 이는 潛在態(dynamis)에서 現實態(entelecheia)로 展開해가는 目的論的 過程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目的論的 思惟는 오늘날에도 世界에 대한 包括的 說明 틀로 作動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不變하는 것이 있음을 認定한다. 그런데 플라톤은 그 不變하는 것을 찾아내서 그것에 基盤을 두고 變化하는 世界의 中心을 잡아보려 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히려 實在하는 事物들의 變化에 더 깊은 關心을 가졌다. 世界에 대한 說明을 體系的으로 完成하기 위해서는 變化하는 世界를 잘 說明해야 할 必要가 있기 때문이다. 變化의 問題에 集中한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事物을 그 事物일 수 있게 하는 本質의 變化 與否에 따라 偶然的 變化와 實體的 變化를 區分한다. 外形의 變化뿐만 아니라 質的 變化까지 包含하여 變化를 說明하는 것이다. 이로써 世界는 물론 人間의 삶과 內面의 變化에 대해서도 槪念的 說明이 可能해진다.

本質에 있어서의 變化를 일컫는 實體的 變化는 目的論的 運動이다. ‘왜 사는가’라는 물음에 ‘좋음을 얻기 위하여’라고 對答한다면 이는 ‘좋음’이 人生의 ‘目的’이라는 의미이다. 人間은 좋음의 씨앗을 潛在態로 內面에 지니고 태어났으며, 좋음을 實現함으로써 目的을 成就한 狀態, 즉 現實態로 實體的 變化를 이룬다. 이처럼 人間을 비롯한 모든 個物에는 固有한 目的이 內在하고 있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目的論이다. 完成된 狀態라는 끝(telos)을 上程하고 그 끝을 향해, 目的의 完成을 향해 나아가는 過程이 運動이다.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差異가 드러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人間의 神的 本性은 外部로부터 人間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人間의 內面에 潛在態로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라고 믿었다.

窮極的 目的으로서의 完成된 狀態를 上程하는 모든 思想은 아리스토텔레스의 目的論的 思惟에 起因한다. 根源的 意味에서 進步主義者는 目的論者라 할 수 있다. 어떤 目的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進步라는 意味에서 그러하다. 그런데 이 目的이라고 하는 完成의 側面에 있어서 어떤 狀態를 完成으로 볼 것인가는 사람마다 다르다. 따라서 完成된 狀態가 무엇인가라는 進步의 目的에 대한 明確한 定義가 要求된다. 目的論은 個人의 次元에서와는 달리 社會的, 國家的 次元에서는 全體主義로 흐를 危險이 있다. 社會가 追求해야 할 目的을 設定하고 그 目的을 향해 社會 全體가 움직여가게 되면 人間은 道具로 轉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目的論은 獨斷論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 哲學의 中心을 이루는 基本的 原理는 目的論이다. 이는 古代의 낡은 思惟가 아닌 現在의 政治 理論에도 適用되고 있는 現實的 思惟임을 留念해야 한다. 눈앞에 펼쳐진 事態를 올바르게 把握하고 判斷하려면 目的論的 思惟의 不斷한 鍊習이 있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리스토텔레스 哲學의 基底에는 形相內在論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論理學에서 形相을 內在한 各各의 事物을 分類하는 基準과 方法을 硏究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探究의 順序를 定하기 위해 理論學, 實踐學, 製作學으로 學問을 分類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形相이 있음을 認定한다. 하지만 눈앞에 보이는 事物이 單純한 그림자, 模倣物일 뿐이라는 플라톤의 생각은 否定한다. 플라톤은 形相이 各各의 事物과 別個로, 事物 바깥에 있다고 생각했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各各의 事物 안(in re)에 形相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를 形相內在論이라고 하는데, 形相은 事物을 事物일 수 있게 하는 本質이며, 形相을 內在한 各各의 事物은 實體(ousia)라고 한다. 이 實體를 分析하고 分類함으로써 形相을 把握할 수 있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생각이다. 이처럼 아리스토텔레스의 哲學은 눈앞의 事實을 진짜라고 認定하고 어떻게 하면 이것을 理解할 수 있을지 說明하려는 “reasonable한 試圖”라 할 수 있다. 이는 플라톤처럼 實存的인 關心事에 의해 推動되기 보다는 學問的이고 體系的인 欲求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다.

形相을 內在한 事物이 어떤 種類에 속하며 形相이 事物 안에 어떤 方式으로 內在하는지에 따라 事物을 分類하고, 또한 그 分類의 基準과 方法은 무엇인지에 대해 硏究하는 것은 論理學이다. 分類의 基準을 明確하게 하는 것은 本格的인 學問에 들어가기 前에 해야 할 일이다. 探究를 始作하기 前에 事物에 對한 分類가 體系的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論理學은 學問의 豫備學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論理學이라는 學問 分野를 만든 理由는 世上 萬物을 分類하기 위해서이다. 이 論理學의 基本 任務는 類와 種差를 알아내는 것이다. 類는 어떤 事物이 屬한 上位의 階層 集團이며, 種差는 다른 種과 區分되는 特徵이다. 定義(definition)는 類와 種差에 의해 만들어진다. ‘人間은 理性的 動物’이라는 定義에서 ‘動物’은 類이며 ‘理性’은 種差다.

아리스토텔레스는 學問을 理論學, 實踐學, 製作學으로 나눈다. 製作學은 人間의 삶에 쓸모 있는 技術과 藝術을 다루는 領域으로 그 안에는 詩學과 修辭學이 있다. 實踐學에는 倫理學과 政治學이 있으며, 倫理學은 “한 個人의 性品에 關한 探究”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한 個人이 훌륭한 삶, 完成된 삶을 살려면 반드시 그 사람이 살고 있는 社會와 國家 안에서 그 삶이 이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人間이 살고 있는 共同體의 種類에 따라 人間의 性格과 倫理的 삶의 性格도 바뀐다. 이러한 問題들을 다루는 것이 政治學이다. 이들 製作學과 實踐學은 人間의 行爲에 관한 學問이기에 必然的(數學的)인 眞理가 成立되는 領域이 아니다. 理論學에는 自然學, 數學, 形而上學(神學)이 있다. 自然學의 探究 對象은 獨自的으로 存在하지만 變하는 事物이다. 數學은 不變하지만 獨自的으로 存在하지 않는 것들을 探究 對象으로 삼는다. 形而上學은 獨自的으로 存在하는 同時에 不變하는 것에 대해 探究한다. 形而上學은 곧 形相에 관한 學問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形相內在論을 根據로 하여 世界 全體를 理解하기 위한 學問的 體系를 定立하였다. 實體에 대한 그의 說明은 ‘超越的 이데아'라는 多少 神祕한 플라톤의 理論과 달리 現實的이고 合理的인 側面이 있다. 그의 哲學의 基本的 原理인 目的論은 運動의 問題에서 보다 明瞭하게 드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로스의 사다리에 오르려는 자가 가장 먼저 직면하는 문제는 배움의 문제다. 소크라테스가 제시하고 실천하는 배움은 via negativa와 via positiva로 이루어져 있다. 알키비아데스는 배우는 자가 via negativa의 단계에서 어떠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구체적 사례다.

에로스는 좋은 것을 자기 것으로 늘 있게 하는 것이다. 늘 있기를 바란다는 것은 불사(不死)에 대한 욕망이다. 인간은 필멸의 존재이기에 불사를 갈구하고, 불사를 갈구하기에 좋은 것을 추구한다. 그런데 좋은 것이 자신에게 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연습"해야 한다. "연습은 떠나가는 기억 대신에 새로운 기억을 다시 만들어 넣어 줌으로써, 같은 앎으로 보일 정도로 앎을 보존"하며, 가사적(可死的)인 것은 "다 이런 방식으로 보존"된다. <<향연>>의 첫 문장 "이야기할 준비가 꽤 되어있다"는 "직역하면 ‘연습을 안 거친 상태가 아니다’, 즉 '꽤 연습을 거쳤다'라고 옮길 수 있다.” 이처럼 <<향연>>은 연습에 관한 텍스트이기도 하다.

연습을 통해 에로스의 사다리를 오를 때 고려해야 할 것은 “올바르게 가려는 자"와 "이끄는 자"의 관계, 즉 배움과 관련한 문제다. 올바르게 가려는 자인 동시에 이끄는 자인 소크라테스는 배움을 실천하는 모범을 보여준다. 주지하듯이, 소크라테스의 배움의 방법론에는 via negativa와 via positiva가 있다. 배움의 단계에 들어서면 먼저 via negativa를 통과해야 한다. 무지를 자각하게 하는 via negativa는 버리는 것, 비우는 것이다. 참다운 것이 아닌 것, 자기 것(이기에 좋은 것이라 여겼던 것)을 모두 없애는 것이다. 이렇게 via negativa를 거쳐 via positiva로 나갈 때 사다리의 한 단계 위로 올라서게 된다.

소크라테스의 이야기가 막 끝났을 때 술에 취한 알키비아데스가 등장한다. 그는 앞서 전개된 에로스의 사다리에 대한 이야기는 아무것도 듣지 못했다. 그런 상태에서 소크라테스를 오만한 사람이라고 비난한다.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사랑을 받아주지 않고 여러 차례 유혹을 뿌리쳤기 때문이다. 아테네의 정치가였던 알키비아데스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소크라테스) 그분은 나 자신이 많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나 자신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아테네 사람들의 일을 하려 하고 있다는 것에 동의할 수밖에 없도록 강제하거든. 그래서 나는 마치 세이렌들에게서 피하듯 어거지로 귀를 막고 도망쳐 나온다네.“ 알키비아데스는 via negativa를 넘어서지 못한 것이다.

좋음의 이데아를 인식하고 실천하기 위해서는 via negativa를 넘어서야 한다. 그것을 넘어서지 못한 알키비아데스는 "여전히 소크라테스 선생님에 대한 사랑에 연연해"하고 있지만, 아가톤과 소크라테스의 살가운 대화를 듣고도 어찌할 방도가 없다. 아가톤은 "그(알키비아데스)의 뜻대로 되는 일은 전혀 없을 것입니다. 제가 선생님 곁으로 가서 앉을 테니까요."라고 말하고, 소크라테스는 "아무렴, 그리 하게. 이리 와서 내 아래쪽에 앉게."라고 대답한다. 참으로 좋은 것, 그것이 무엇인지는 알지 못한다 해도, 그런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원하지만, 거기에 이르지는 못한 채 번번이 넘어지고 마는 자는 알키비아데스와 닮은 자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참으로 씁쓸하고도 쓸쓸한 自覺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