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
헤르만 헤세 지음, 김지선 옮김 / 뜨인돌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헤르만 헤세의 독서의 기술>은 대작가 헤세의 책과 독서에 대한 단상들, 작가로서의 이념 등을 만나볼 수 있는 매력이 있는 책이다.  헤세는 책과 문학에 대한 애정을 담담하고 솔직하게 들려준다. 차근차근 읽다 보면 그의 글들에 공감이 가고 고개를 끄덕이게 만드는 부분들이 많다. 작가로서 출발하는 20대 초부터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말년에 걸쳐 쓰인 글들을 수록하여, 나이에 따라 변화해가는 헤세의 가치관이나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점도 흥미롭게 다가온다.   

작가가 책을 사랑하고 애정을 품는 건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하지만 작가 이전에 한 독자로서의 헤세를 만나볼 수 있다는 점도 큰 즐거움이다. 책과 책 사이의 간격까지 고려해 배치하거나, 책이 구겨지지 않도록 책갈피까지 세심히 신경 쓰는 대목을 읽으면서는 고개 돌려 나의 책장을 쳐다보게 만들고, 간혹 책 모퉁이를    접어 표시하던 습관을 반성하게 만들곤 했다.

헤세는 일부 독서 풍토와 독자에게 날카로운 메스를 들이대기도 한다. 이는 책에 대한 애정과 작가로서의 자존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시대가 변하고 나라가 달라도 헤세가 살던 시대와 오늘날의 우리 시대, 우리나라의 독서 풍토는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특히 작품의 질을 고려치 않고 단지 많이 팔린 책을 찾으려는 일부 풍토는 너무 비슷해 슬쩍 웃음도 나온다.  
  
책 읽는 방법이나 태도는 독자의 개인적 취향이라 어떤 게 옳고 그르다고 할 수는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헤세의 글들을 읽고 나면 왜 이런 독서 태도들이 옳지 못한지, 수긍가게 만든다. 헤세가 경계하는 독자는 하루를 때우기 위해 심심풀이로 책을 집어 드는 독자, 한 두 시간 만에 뚝딱 읽고 던져 버리는 독자, 손에 집히는 대로 아무거나 마구잡이로 읽는 독자, 정독보다는 다독을 하려는 독자, 스스로 와 닿는 책을 선택하기보다 베스트셀러 중에서 찾는 독자 등이다. 사실 몇 년, 몇 달 혹은 온 생애를 걸쳐 산고 끝에 탄생시킨 작품이 단지 몇 시간 만에 읽혀지고 버려진다면, 정말 작가에게는 대단한 실례를 범하는 일이 아닐까 싶다.

꼭 읽어야만 하는 권장도서나, 어떤 책을 읽고 구입해야 할지 정해진 조언이란 없으니 각자 자신의 생각과 취향에 따르면 된다는 대목에서는 통쾌하고 마음이 편안해 질 독자들이 많지 않을까. 사실 무슨 선정도서나 도서목록 같은 것이 은근히 스트레스를 주고, 마치 읽지 않으면 교양인이 아닌 것 같은 위기심이  들게 만든 건 사실 아닌가.  

헤세의 책에 대한 단상들을 읽는 즐거움도 컸지만, 나에게는 작가로서의 헤세의 가치관과 이념 등을 만나 볼 수 있는 기쁨이 더 크게 다가왔던 것 같다. 여전히 나에게 감동 있고 떨리는 여운으로 깊이 남아 있는 헤세의 작품들. 그는 작품을 탄생시키는 작가의 산고와 애정을 솔직하게 적고 있다. “나의 경험과 생각과 고민들의 매개자이자 상징이 되어줄 수 있는 하나의 인물상이 또렷해지는 순간이 바로 새로운 작품이 배태되는 때다.” 헤세와 작품 속 주인공들이 동일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이런 점이 아니었을까.     

헤세가 “흥미진진한 줄거리야말로 내가 끔찍이도 혐오해 마지않는, 특히나 내 작품들에서는 가능한 한 늘 회피하는 것이었다.” 라는 대목을 읽고서는 헤세의 작품들이 비로소 이해가 간다. 눈을 떼지 못하게 하는 속도감 있는 긴장감과, 흥미진진한 스토리가 없어도 헤세의 작품은 많은 이들에게 설렘과 떨리는 감동을 주고 있지 않는가.

처음 책을 펼쳐들기 전에는, 독서라는 지극히 사적인 일에 기술이라는 게 필요할까, 약간의 회의가 들었더랬다. 처음의 그 회의는 책을 읽어나가면서 점점, 그리고 마지막 책장을 덮고는 독서의 기술은 ‘필요하다’는 쪽으로 기울어진다. 독서의 기술이란 결국 뭘까. 헤세는 그것을 책과의 교제, 즉 자신에게 감동을 준 책과 꾸준한 우정을 나누는 것이라고 말한다. 책을 통해 작가의 사상을 이해하고, 보다 풍부한 삶으로 이끌고, 더불어 나의 영혼까지 고양시키는 것. 사실 그런 것들은 좋은 책을 만날 때 비로소 얻는 것들이다. 결국 좋은 책의 탄생은 좋은 독자가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닐까생각해 본다. 독자로서의 의무감도 필요하다는 것을 새삼 되새기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