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학 그림으로 읽는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
유쿠미 에이시 감수, 이영란 옮김 / 성안당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상당히 부담스럽습니다. 심리학을 좋아하고, 특히 이상심리학을 진단하는 임상심리학에 어느 정도 관심이 있었던터라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부제가 말하는 재미있는 이야기는 조금 아니라고 봅니다. 하지만, 책에서 임상심리학 대상인 어른과 아이들이 품게 되는 마음의 문제들을 차분히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의 앞 부분에서 정신과 의사와 공인심리사 혹은 임상심리사를 나눠 설명하고 있다. 정신과 의사는 정신과 질병을 앓는 사람들을 진찰, 진단, 약물 치료, 처방 등을 하는데, 여기서 특정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검사를 하는데, 이 검사를 하는 자격을 임상심리사들이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정신과 의사가 특정 정신과 질병을 진단할 때는 임상심리사의 조력이 필요한 것이다. 물론 정신과 의사가 그러한 심리 검사나 기법들을 다 알고 있는 임상심리사 수준의 수련을 받았다면 정신과 의사 혼자만 하겠지만, 그런 경우는 많이 없을 것 같다. 개인 병원이 아니라, 큰 병원의 정신과는 임상심리사가 그러한 검사를 진행할 것이다.

잠 못들 정도로 재미있는 이야기 임상심리학는 일본의 공인심리사와 임상심리사의 구분을 하는데, 한국은 임상심리사만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임상심리사가 되는 것도 석사 이상의 자격과 함께 꽤 오랫동안의 수련을 거쳐야 한다.

이 책의 1장은 그렇게 심리사에 대한 이야기들을 하고 있고, 2장과 3장에서 아이들과 어른들이 겪는 마음의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정신과 문제에 대해 쉽게 설명을 하고 있다. 주변에서 행동이나 태도가 보통과 다른 사람들을 볼 때, 어떤 마음의 병이 있을 것으로 짐작을 할 수 있을 때, 이 책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듯 하다. 하지만, 이상 행동에 대해 짐작을 하더라도 그것을 진단하는 사람은 전문가여야 한다. 주변에서 이상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단지, 이상하다고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선척적으로 타고난 정신과적 이상이 있지 않을까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정교육과 훈육으로 사람을 고칠 수 있다고만 생각하지 않고, 마음의 병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한다. 마음의 문제에 대해 쉽게 설명한 책이다.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