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연일기 - 조선의 미래를 고민한 실천적 지성의 기록 클래식 아고라 4
이이 지음, 유성선.유정은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연은 국왕이 학문을 닦기 위해 신하 중에 학식과 덕망이 높은 이를 불러 경전 및 역사서 등을 강론하던 일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이의 경연일기는 명종 20(1565-이이 30)부터 선조 14(1581-이이 46)까지 17년간 이이가 이 경연에 참가하면서 쓴 기록이다. 그런데, 이이가 기록한 경연일기는 강론보다는 강론이 끝난 뒤 국왕과 신하가 정치와 당면 문제를 놓고 토론했던 것을 대부분 쓴 것이다.

율곡 이이로 말하자면 조선 성리학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다. 이이 이전의 성리학은 주리(主理)적 입장의 퇴계의 성리학이었다. 주리적 입장의 성리학은 도덕적인 이상사회의 건설에 주력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추상적이고 공리공론적인 뜬구름 잡기식의 논쟁이 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예법을 따지면서 과거에는 이렇게 저렇게 했다. 중국 하은주 시대에는 어땠다는 식의 논쟁들이 주리적 입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이의 성리학은 이러한 주리적 입장뿐만 아니라 주기(主氣)의 입장을 더하여 실제적인 경세적 실학을 더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경연일기에 보면 부국강병과 민생의 안녕, 그리고 동서붕당의 문제점 등을 거론하는 것으로 보아 이이의 현세적인 세계관을 읽을 수 있다.

조선의 역사는 기록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600년간의 방대한 역사를 실록으로 기록하였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기록은 인터넷에서 조선왕조실록을 검색하면 왕조별로 나와있고, 원문과 한글 번역이 다 되어 있다. 실록은 사관들이 왕과 주변의 사람들이 말한 내용을 사초로 작성하고 이러한 사초들을 모아 실록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모든 사초를 사용하여 실록을 작성하는 것은 아니다. 기록자에 의해 어떤 사초를 쓰느냐에 따라 해석의 차이가 발생한다.

경연일기는 율곡 이이가 경연에 참가하면서 들었던 내용과 함께 그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판단한 내용도 들어 있다. 이는 당시의 역사를 어느 정도 사실로 확인하기 위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당대를 살았던 사람이 당대를 보고 해석하는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연일기에는 당파를 초월하여 좋은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 것과 관직에서 청렴하고 백성을 위해야 한다는 이이의 주장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경연일기를 소장하고, 조선왕조실록과 비교대조하면서 읽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 본문의 단어나 구절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주석을 썼는데 미주로 처리하여 바로 바로 확인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혹시 개정판이 나온다면 미주를 각주로 해 주면 읽는 사람이 편하게 독서할 수 있을 듯 하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