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시대의 몸 - 몸을 통해 탐색한 중세의 삶과 죽음, 예술
잭 하트넬 지음, 장성주 옮김 / 시공아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존의 역사서는 편년체와 기전체가 있다. 편년체는 시간을 기준으로 사실을 서술하는 방식이다. 조선실록이 기본적으로는 편년체 역사 서술 방식일 것이다. 이에 비해 기전체 역사 서술이란 본기(왕의 전기), 열전(신하나 일반 시민들의 전기), (제도 문물의 변천, 학술의 전망과 그 발달사) 등으로 기술하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중세시대의 몸은 중세라는 시대에서 인간의 몸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우했는지를 밝혀주는 기전체 방식의 역사 기술서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인이 인간의 몸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간단하다. 과학에 기반을 둔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몸을 본다. 물론 과학 뿐만 아니라 예술에 있어서도 현대인이 인간의 몸을 보는 인식이 있을 것이다. 근대와 현대 초기에서는 인간의 몸, 혹은 감정과 정서보다는 이성에 바탕을 둔 인식이 있었기에 인간의 몸을 조금은 낮게 생각했지만, 현대 후기로 들어서는 몸과 감정에 대해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기도 한다. 이렇게 근·현대의 인간의 몸에 대한 주제도 조금 복잡한데, ‘중세시대의 몸은 중세라는 대략 천년의 기간 동안 인간의 몸을 어떻게 보았는가에 대한 연구서라고 할 수 있다. 방대한 기간에 인간의 인식이 일관적일 수는 없다. 또한 그러한 중세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고, 또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일반인들이 잘 접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은 중세를 암흑기라고만 알고 있는 일반인들이 많다.

중세시대의 몸은 이러한 중세에 대한 일반적인 편견과 선입견을 먼저 이야기하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년 간 이어져 온 중세 시대가 그렇게 암흑기만은 아니라고 말하며, 그런 예들을 이 책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성적인 과학 이전의 시대인 만큼 중세시대에 인간의 몸에 대한 생각은 종교에 바탕을 두고 있다. 특히 기독교이고, 기독교는 천국을 믿는 종교이다. 이러한 천국은 하늘에 있기 때문에 인간 몸에서 하늘과 가장 가깝게 있는 머리가 가장 신성하고 중요한 신체 부위로 친다. 다음으로는 가슴, 그리고 배, 생식기, 등으로 아래로 내려갈수록 몸의 신성함은 낮아진다. 중세에서는 이렇게 신체를 분류했다고 한다. ‘중세시대의 몸의 저자는 이러한 중세시대의 분류 방법에 따라 중세시대에 인간의 몸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종교, 중세 대학 의학, 길거리 외과, 치과 등의 시선과 사회 문화 및 예술적 시각들을 분석하여 기술하고 있다.

중세 기간은 대략 천년 가까이 된다. 아주 긴 시간인데 그 시간 동안 인간의 몸에 대한 인식도 충분히 다수의 것이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책의 두께도 상당히 두껍다. 아주 많은 몸에 대한 유물과 관련 문헌들을 통해 중세시대에 어떻게 인간의 몸을 보았는지 보여 주는 상당히 유익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저자가 엄청난 연구를 통해 저술한 책임은 분명하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책을 제공받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