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이와 죽음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지음, 오혜련 옮김 / 샘솟는기쁨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인간을 인간답게 하고, 일상적인 삶을 떠나 성숙된 삶을 이끄는 것은 죽음이라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들은 삶을 살기 위해 아등바등 살지만, 임종을 앞두고 삶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된다. 삶에서 소중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가지기 위해 집착하며 살아 왔던 삶이 자신이 추구했던 그것이 이제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는 계기는 죽음을 앞두고 있을 때이다.
물질적인 삶이 중요하지 않다고 강조하고 말하더라도 사람들은 살아가며 물질적 삶을 추구하게 된다. 하지만, 죽음이라는 것은 진정한 삶이 무엇인가를 둘러보게 만든다. ‘어린이와 죽음’은 엘리자베스 쿼블로 로스라는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가 쓴 책이다. 실제 저자는 어른들의 죽음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썼지만, 어린이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쓰며, 죽음이 어린이들에게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역설하고자 했다.
책에서 여러 사례를 들어 죽음을 앞둔 어린이들과 그러한 형제와 친척, 부모님의 죽음을 지켜보는 어린이들이 죽음을 통해 좀 더 성숙해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죽음에 대해 저자는 우리의 삶에서 치장되고, 의미가 부풀려지며, 특별한 것으로 취급하지 말고, 일상의 한 부분으로 죽음을 받아들이기를 요구하고 있다.
불치병으로 죽어가는 동생을 있는데, 부모님이 그 형을 위해 모든 것을 들어 주는 일화가 있다. 아이는 이제 살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부모는 안타까운 심정으로 병을 알기 전에는 아이의 요구를 거부할 모든 것들을 들어 주고 있었다. 하지만, 물질적인 것은 아이의 마음을 채워주지 못 한다. 처음에 아이는 부모님이 자신의 요구를 들어 주는 것이 신났지만, 그것은 일시적인 만족이며, 아이는 부모의 진정한 관심과 관계를 원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병이 걸린 동생을 부모가 특별 대우함으로써 형제들에게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죽음을 특별하게 보지 말고, 일상의 한 부분으로 여기며, 하지만, 인생의 마지막이 될 죽음은 우리 삶에 있어 진정한 인간의 관계를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불치의 병에 걸린 사례들이 정말 안타깝고 불쌍하게 여겨지지만, 죽음이 아닌 진정한 삶이 무엇인가를 돌아보게 만드는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