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와 빈곤 - 산업 불황의 원인과, 빈부격차에 대한 탐구와 해결책 현대지성 클래식 26
헨리 조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정치경제학서적이다. 현재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있는데, 근대의 아담스미스로부터 시작된 정치 경제학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치 경제학이 시작될 때, 현대 경제학이 연구하는 생산, 매입과 매각 등에 대한 사람들의 행위와 함께 법, 관습, 정부와 맺는 관계등을 연구하였다. 이 정치경제학은 경제학, 법학, 정치학에 기원을 둔 학제적 연구를 말한다. 하지만, 현대 경제학은 법학과 정치학을 다루지 않으려고 한다. 경제학이 주로 기반하는 학문은 수학이다. 연역적인 학문인 수학은 이데아를 추구하는 학문으로 여겨 지기 때문에 경제학자들은 순수한 이론적 이데아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수학은 완벽한 세계가 있다는 전제에 그러한 완벽한 세계를 이해하려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수학은 현실과 괴리가 있다. 그런데, 경제학이라는 학문은 대상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보다는 훨씬 더 유용하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진리를 추구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여 절대적인 이론을 찾고자 한다. 연역적인 방법으로 현실이 이럴 것이라고 추측하다. 하지만, 현실은 이론과 다르게 진행되었다. 경제학의 문제는 연역적인 방법에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드는 장면이다. 이는 현대의 우파 경제학자 뿐만 아니라, 좌파 경제학자였던 마르크스도 마찬가지였다.

진보와 빈곤은 헨리 조지라는 약 150년 전 사람이 쓴 정치경제학 서적이다. 그런데, 그의 연구는 기존의 연역적 탐구 방법을 비판하며 귀납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경제학 이론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상당히 기발한 방법이다. 이러한 접근은 21세기 자본을 쓴 프랑스 경제학자인 토마 피케티의 방법론을 떠올리게 한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 시기만 되면, 토마 피케티가 거론되기는 하지만 수상을 하지 못하다. 이는 앞에서 말한 경제학자들이 추구하는 절대 진리에 대한 집착이 있기 때문이다.

경제학사에 수학을 제외한 학문적 접근으로는 허버트 사이먼의 심리학적 접근이 유일하지 않을까 한다. 콧대 높은 연역적 접근의 경제학이 현실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심리학을 인정한 것이다. 자신의 연역적 진리가 실제로는 이성적이지 못 한 인간 때문에 안 맞는 것이지, 자신들의 연구 방법이 잘못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한다.

진보와 빈곤은 기존의 경제학 사상에 대한 반론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 멜서스의 주장은 인구가 늘기 때문에 임금을 쪼개어 주기 때문에 빈곤은 불가피하다는 주장을 인구가 늘어도 전체적인 부가 증가하며, 부자가 더 많아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반론을 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불노소득의 토지에 대한 지대를 통해 부의 분배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한다.

당시의 주장으로는 통찰력을 가지고 있지만, 현대에는 지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본으로부터 노동을 통한 임금을 이자율이 앞선다는 토마 피케티의 통계적인 주장이 현대의 빈곤과 불평등을 더 잘 말해 주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 토마 피케티의 사상적 원조가 헨리 조지가 아닐까 한다. 토마 피케티는 졍제학자였지만, 헨리 조지는 정치경제학자였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분석했을 뿐 아니라, 모두가 행복한 빈부의 격차가 없는 유토피아를 꿈꾼 학자였다.

헨리 조지의 유토피아적 사고는 아나키스트 프루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러시아 아나키스트인 표트르 크로포트킨에게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