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칠레 선생님의 물리학 산책
안드레스 곰베로프 지음, 김유경 옮김, 이기진 감수 / 생각의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과학책이다. 상당히 많은 근·현대 과학 지식을 담고 있다. 하지만, 방정식이나 수식은 없다. 본문에서 말하고 있는데, 과학 관련 도서를 내며 수식을 하나 넣을 때마다 독자가 반으로 줄어 든다고 한다. 그렇기에 이 책은 많이 팔릴 것이다.

 

제목에서 물리학 산책이라고 되어 있지만, 생물학, 지질학, 천문학, 심리학, 수학, 경제학 등의 과학이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과학을 물리학으로 설명하는 것이 인상 깊다. ‘어느 첼레 선생님의 물리학 산책40장으로 이루어진 주제에 작은 소주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에 과학적 내용이 들어 있다. 그런데, 교과서처럼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저자의 관심사나 일상 생활을 이야기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연결시킨다.

길을 걷다가 공원 벤치에 앉아 동네 이웃이랑 담소하듯 이야기를 전개한다. 음악이나 영화, 혹은 음식에 대한 저자의 일상을 과학과 연관시키며 이야기하는데, 따분할 것 같은 과학을 일상과 연결하여 얘기하기에 흥미가 생긴다.

무거운 주제를 저자의 이야기 솜씨로 편안하게 접근하게 만든다. 저자는 과학을 재미있게 접근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저자는 이런 능력을 학교 교실에서 보다는 일상에 접하는 모든 사람들이 과학을 접하길 바라는 것 같다. 40장에서 다양한 과학 지식을 전달하고 있지만, 저자는 이러한 지식보다는 훨씬 중요한 것이 과학적 방법, 사고라고 주장한다.

 

본문에서 저자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한다. ‘과학은 그저 일상의 생각을 가다듬는 것 뿐이다.’ 과학적 방법은 소수 과학자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저자는 과학은 이상적으로, 편견이 없는 인간 활동 중 가장 민주적이고 세계화된 활동이다. 또한, 객관성이나 전문성이 부족하면 바로 응징을 당하는 활동이기도 하다.’라고 한다. 비논리적이고, 비합리적인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 많다. 교육으로 인해 그 숫자가 줄어 들고는 있지만, 아직도 우리 속에 그런 사람들이 많다. ‘어느 칠레 선생님의 물리학 산책은 과학 지식에 관한 책이라기 보다 과학적 방법과 사고의 중요성을 이웃집 유쾌한 아저씨가 이야기하듯 전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