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 제국의 몰락 - 엘리트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가 집대성한 엘리트 신화의 탄생과 종말
미하엘 하르트만 지음, 이덕임 옮김 / 북라이프 / 2019년 2월
평점 :
절판


   엘리트란 타인에 비해 우수한 능력이나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정의된다. 그런데 엘리트 제국의 몰락에서 엘리트는 이러한 엘리트가 아니라 사회의 규칙을 만들고 중요한 결정을 할 권력을 가진 사람을 뜻 한다. , 지배 엘리트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구에서 메시나 호날두는 축구계의 신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그들은 국제 축구 룰이나 규칙을 바꾸는 위치에 있지 못 하다. 그러한 룰을 바꾸는 사람들은 FIFA 회장이나 유럽축구 협회의 회장이다. 또한 학문적으로 우수한 사람들이 있다. 대학에서 강연을 하며, 뛰어난 학술서적을 내고, 대중서로도 인기가 있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지적 엘리트이지만, 사회의 규칙과 법, 제도를 바꾸는 중요한 결정을 하는 사람들은 아니다.

 

 

  2차 대전 후 수십년간 엘리트란 용어는 대중에게 거의 잊혀졌다고 저자는 말하면서 이 책은 시작한다. 하지만, 이러한 엘리트가 1980년을 기점으로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당시 정치가로 영국의 대처, 미국의 레이건 시대였다. 신자유주의가 시작된 시점이다.

 

   신자유주의는 글로벌한 경쟁을 추구하며, 이러한 경쟁을 통해 더욱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역설된다. 하지만, 이러한 경쟁으로 인해 저소득층은 보호받지 못 하고, 더욱 가난해진 것이 지금 신자유주의이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각 국가의 전체적인 생산량은 늘고 있기 때문에 신자유주의는 아직도 폐기되지 않고 있는 듯 하다. 그렇게 늘어난 생산은 상위 계층에게 돌아간다.

   1980년대 이후로 미국의 소득을 보면 상위 계층의 소득이 급속하게 늘어나는 반면 하위 계층의 소득은 정체되어 있다. 이는 상대적 빈곤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과 소득의 양극화가 심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책적 결정은 상위 계층에서 정치, 경제, 언론, 교육 등의 분야에서 고위직을 맡기 때문이다. 이들이 우리 사회를 이끄는 지배 엘리트 계급이다.

    엘리트 제국의 몰락은 독일의 사회학자인 미하엘 하이트만에 의해 쓰여졌다. 독일은 이러한 신자유주의가 영미보다 늦은 2000년대에 시작한다. 그 후 독일도 영미와 같은 양극화 현상을 겪게 된다. 그런데, 독일의 양극화보다 한국의 양극화가 훨씬 심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엘리트들은 상류층과 중상류층에서 나온다. 그들이 엘리트 계층으로 가는 길은 교육과 문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한국의 현실에 비추어 보면 예전에는 입시 명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지금은 특목고와 자사고를 중심으로 엘리트 계층이 만들어진다. 특목고와 자사고 및 명문대학을 나오고 강남에서 자란 이들이 엘리트 계층이 될 수 있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다.

   이러한 엘리트들은 동질성이 강하며, 비슷한 문화와 취미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대한민국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는 자기 계층의 이익을 대변하게 된다.

   ‘엘리트 제국의 몰락은 독일을 비롯한 영국, 미국, 프랑스의 경제, 정치의 위기를 말하고 있지만, 한국의 현실에 대입하여 대한민국을 분석할 수 있다. 작은 희망을 주지만 암울한 현실과 미래를 느끼게 만드는 책이다. 탁월한 분석으로 잘 쓰여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