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꼽 ㅣ 창비시선 286
문인수 지음 / 창비 / 2008년 4월
평점 :
<뻐꾸기 소리>.......문인수
곤충채집 할 때였다./물잠자리, 길 앞잡이가 길을 내는 것이었다./ 그 길 취해가면 오릿길 안쪽에/
내 하나 고개 하나있다./ 고개 아래 뻐꾹 뻐국 마을이 나온다. 그렇게 어느 날 장갓마을까지 간 적 있다./ 정갓마을엔 큰 누님이,/
날 업어키운 큰 누님이 시집살이하고 있었는데/ 삶은 강냉이랑 실컷 얻어먹고/ 집에 와서 으스대며 마구 자랑했다./
전화도 없던 시절,/그런데 그걸 어떻게 알았을까/ 느그 누부야 눈에 눈물 빼러 갔더냐며/ 어머니한테 몽당 빗자루로 맞았다./
다시는 그런 길,/ 그리움이 내는 길 가보지 못했다.*
(이 행간엔 자꾸 소리가 난다)
2006년 1월 12일, 뻐꾹뻐꾹뻐꾹......큰누님 저 세상 갔다.
향년 76세, 삼일장 치른 뒤 우리 남매 어머니한테 갔다.
활짝 반기면서 어머니는 대뜸,
하필 내게 물었다.
"느그 큰누부는 안오나......?" (약속대로 우리는) 나는, 딴청을 피며 어물쩍 넘겼다.
어물쩍 넘겼으나 어머니, 오늘은 패지도 않는다.뻐꾹 뻐꾹,
지금은 서울, 작은형네 아파트엔 물론 몽당빗자루도 없고
연세 아흔 여섯, 어머니는 뭐든 대강 잘 넘어간다.
그런다음......그 다음, 그 다음에 가 뵈어도 어머니,
"나, 와 이리 오래 사노!" 당신을 직접 때리는 것인지
큰누님 안부, 다시는 한번도 잠잠 묻지 않는다. 뻐꾹......
문인수 시집 <배꼽>, 창비,2008.
---------------------------
1.
이시인의 다른 시집을 사기로 했다.
내게 있어 잘 쓴 시란 명확하다.
이렇게 삶이 진솔히 묻어나거나
시적 언어의 영역이 확장되거나
둘 중 하나는 갖고 있어야 시다.
문체의 미학만으로도 아름다운 시가 있는 반면
어눌해도 감동이 있음으로써 아름다운 시가 있다.
내 나이가 되면 단순한 센치멘탈리즘만으론 감동이 잘 오지 않는다.
문인수 시인의 시는 질긴 실존의 슬픔이 담겨 있다.
시인의 말을 옮긴다.
"절경은 시가 되지 않는다.
사람의 냄새가 배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이야말로 절경이다. 그래,
절경만이 우선 시가 된다.시, 혹은 시를 쓴다는 것은 그 대상이 무엇이든 결국
사람 구경일 것이다.
사람의 반은 그늘인 것 같다.
말려야 하리.연민의 저 어둡고 습한 바닫,
다시 잘 살펴보면 실은 전부 무엇이야.
내가 엎질러놓은 경치다. "(2008년 4월 문인수)
2.
윗시는 아흔 여섯의 어머니가 일흔 여섯의 딸을 먼저 보낸,
인생의 한 비극이 펼쳐진다. 어찌할 수 없는 생의 뒤틀림.
어쩌면 나이들어 자식의 죽음조차도 깨닫지 못하는
정신을 놓아버린 어머닐 통해 삶의 부조리를 말하려는지도 모른다.
시인은 다른 시 <조묵단전>에서 어머니를 말한다.
여든 하나에 남편을 보내고서도 "나 늙으면 우짤꼬"를 염려하는 어머니를 보는
시인의 눈은 아리다.
40년을 시어머니 병수발, 그 중 10년은 시아버지 병수발까지 중복, 그후 남편 병수발 10년,
그 와중에 5남매를 낳고 기른 어머니.
그 연산 60년, 기간으론 50년인 세월을 남의 똥을 치우며 살다가 이젠
스스로 똥을 싸며 사시는 연세에 이른 어머니. 그 인생은 "정말 똥이다."
급기야 시인은 아흔 여섯의 어머닐 향해 "어무이 이제 고마 돌아가이소"라고 내뱉는다.
죽으라는 말은 지극한 사랑의 표현이다. 가까운 이의 고생은 바라보는 것 조차 힘들다.
생은 참으로 무자비하다. 삶과 죽음이 자유롭지 않은 것.
시를 읽는 동안 조묵단 여사에 내 어머니가 겹쳐서 혼이 났다.
아흔 둘의 할머닐 보내신 후 쓰러지셔 병원에 계신다.
어머니에게 자신의 삶이란 있었던가. 나 역시 어머니를 병원에 두게 한 공범이다.
읽는 내내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시집이었다. 진실을 매만진다는 것은 늘 아리다.
시집 <배꼽>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