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7 14:48

 

 

安意如(안이루)의 <<人生若只如初见>>(인생이 첫만남 같다면)을 읽습니다.

한나라 성제의 한 후궁인 반첩여가 나그네같은 황제의 마음을 원망하면서 쓴 시를 모티브로 삼아

지은 청대의 시인 纳兰性德의 시의 한 구절을 題名으로 딴 책이지요.

반첩여의 시는 여름 한철 부치고 선선한 가을 바람이 불면 접어 한 곳에 두다가

겨울이면 아예 치워버리는 부채에 자신의 신세를 비유한 시입니다.

 

(怨歌行(원가행)-班婕妤(반첩여)

新裂齊紈素(신열제환소) : 제 땅에서 난 비단을 새로 잘라내니
皎潔如霜雪(교결여상설) : 눈 같이 희고 깨끗하여라
裁爲合歡扇(재위합환선) : 잘라서 합환선 부채를 만드니
團圓似明月(단원사명월) : 달 같이 둥글어라
出入君懷袖(출입군회수) : 임의 품 속을 출입하며
動搖微風發(동요미풍발) : 흔들림에 일어나는 바람이어라
常恐秋節至(상공추절지) : 가을이 찾아와
凉飇奪炎熱(량표탈염열) : 서늘한 바람이 더위를 몰아낼까 두렵다오
棄捐篋筍中(기연협순중) : 대나무 상자 속에 버려지면
恩情中道絶(은정중도절) : 임금의 사랑이 중도에서 끊어지고 만다오)

 

처음 궁궐에 들어올 때 그녀를 맞으러 황제는 궁밖을 나와 손을 내밀었지요.

총명한 그녀는 황후가 아닌 비빈의 일생이 어떠하리라는 것을 알지만

그 내민 손을 맞잡습니다. 그리고 그 기억을 간직하며 황제의 사후 능묘를 지키고 죽어서도 시위처럼 묻히지요.

 

긴 탄식.

'山盟虽在,情已成空' '산같은 맹세는 남았건만 정은 이미 다해버렸네'

 

또 한 봄이 옵니다.

처음을 생각나게 하는 계절이지요.

산등성이 어딘가서 주자청의 <봄>을 읽으면서 현실의 봄이 아니라

책 속의 봄을 만지던 때가 생각나네요.

마음 속 그대에게 엽서를 썼던가요.

'정이 가고 인연이 다해도 잊지는 않겠노라'고.

-------------------------------

纳兰性德

 

人生若只如初见,何事秋风悲画扇。
等闲变却故人心,却道故心人易变。
骊山语罢清宵半,夜雨霖铃终不怨。

何如薄幸锦衣郎,比翼连枝当日愿。

 

인생이 첫 만남과 같다면,

어찌 가을바람은 화선을 슬프게 하는가?

매정한 임 까닭 없이 마음 바꾸며,

사랑은 원래 쉬 변하는 것이라 말하네.

여산 장생전의 맹세 허사가 되고, 화청궁 밤은 깊어만 가는데

명황은 우림령에 애절한 마음 부치니 귀비는 끝내 원망치 않았네.

어찌 매정한 내 님의 사랑,

그 옛날 비익조와 연리지 되길 원했던 명왕과 귀비의 사랑만 못한가?

(위의 책, 번역: 심규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