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982년 프로야구가 처음 생겼을 때, 그전까지 야구가 뭔지도 몰랐으면서 나 또한 신이 났었다. 그리고, 곰인형을 줬기 때문에 OB에 가입했지만 곧 흥미를 잃었다. 프로야구가 시작된 이후 일요일마다 아빠가 선택한 채널, 야구중계를 봐야했기 때문에 야구가 싫어지기까지 했다. 이 정도로 그다지 야구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나였기 때문에 MBC청룡은 기억해도 삼미슈퍼스타즈는 기억에 없었다.

소설의 전반부는 80년대에 유년기 내지는 청소년기를 지낸 사람이라면 정말 유쾌하게 읽을 수 있다. 국민교육헌장을 외워야 했거나 애국가를 4절까지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외워야 집에 갈 수 있었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우리가 실제로 경험했던 황당함에 다시 한번 기가막혀 하면서 깔깔대고 웃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론, 이 소설의 진정한 주인공인 삼미슈퍼스타즈의 실제로 존재했으리라고 도저히 믿을 수 없는 '힘들이지 않는 야구'의 기록을 보고 있노라면 기가 막히면서도 웃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책의 전반부, 삼미슈퍼스타즈가 아직 존재할 때의 이야기는 한국의 고도성장기의 이야기다. 물론 박정희 시대도 있었지만 그보다 훨씬 미시적인 수준에서 사람들을 앞으로 내달리게 했던 시대의 이야기. 그리고 그런 시대였기 때문에 삼미슈퍼스타즈의 존재는 뜬금없었다. 1983년 단 한번의 화려한 성적을 올린 삼미슈퍼스타즈는 그러나 그 이후에도 계속 '죽을 쒔고' 주인공이 고등학교를 다니고 있던 85년 해체된다. 소설에 묘사된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경기는 감동적이다. 관중들이 경기장으로 입장할 때 선수들이 양쪽 옆에 도열해 서 있다가 관중들과 일일이 악수하면서 삼미의 모자를 나누어주었단다. 그리고는, 여느때와 마찬가지로 비참하게 졌다고 한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소설의 전반부가 끝나고 주인공의 소년시절도 끝이 난다.

소설은 그러면서 2장으로 접어드는데, 여기서부터 힘이 딸리고 재미가 전반부보다 못하다. 모든 이에게 비웃음의 대상이 되었던 삼미를 거울삼아 '소속이 중요하다'는 '진리'를 깨달은 주인공은 '일류대'에 입학하고 한국의 대학생들이 '적당히' 가는 길을 간다. 일류대를 나와 간판이 번듯한 주인공이 대기업에 입사하여 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하루종일 일을 하느라 인생을 바치게 된 주인공의 모습은 낯설다. 물론 대부분이 그런 인생을 택하게 되지만 1장에서 애정을 가지고 지켜봤던 주인공의 모습으로서는 마뜩치 않다는 얘기다. 그런데 IMF 덕분에 일찍 직장을 잃은 주인공이 다시 삼미 슈퍼스타즈를 발견하게 되면서 인생에 전환을 맞는다. 주인공이 삼미에게서 얻은 교훈은 '잡기 힘든 공은 잡지 말고 치기 힘든 공은 치지 말자'이다. 그렇게 아둥바둥 살아봤자 자신에게 남는 것은 없다, 오히려 자신을 깎아먹는 일일 뿐이라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그리고는 하루 종일을 하고 싶은 일 - 산책, 캐치볼, 낮잠자기 등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그렇게 살다보니 예전에는 직장을 다니지 않으면 죽을 줄 알았는데 그게 사실이 아님도 알게 된다. 말하자면 해피엔드.

박민규의 이 소설은, 뒷부분이 전반부보다 재미가 덜하다고는 해도 어쨌든 빠른 시간내에 읽히는 있는 소설이다. 그리고 문체. 이런 문체는 그리 쉽게 볼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하도 가벼워서, 이게 인쇄매체로 보는 '소설책'인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을 정도다. 문체를 비롯하여 농담 따먹기하듯 풀어나가는 화법 때문이다. 그리고 사실, 삼미의 교훈을 마음 속 깊이 새겨 행복한 인생을 살게 되는 주인공의 이야기는 충분히 동감할 수 있는 이야기이면서도 너무나 동화적이다. 작가가 비웃을 테지만, 주인공이 어렸을 때 어른들이 '현실은 엄혹한 것이란다'라고 말하는 어른들의 말이 '그래도' 사실이면 어떡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민규는 뛰어난 재능을 지닌 작가임에 틀림없는 것 같다. 그가 지닌 재능 중에서도 그 재기넘침에 대해 기대를 하게 된다. 어쨌든 재미 있는 소설을 보는 경험이 그리 흔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