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 인간의 동반자
제임스 서펠 지음, 윤영애 옮김 / 들녘 / 2003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이 다루는 주제는 '인간은 왜 애완동물을 옆에 두는가'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니까, 돼지 같은 동물은 식용으로, 개나 고양이 등은 애완동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어 굳어져 왔는가, 그리고 이런 이분법(?)을 정당화하는 논리는 무엇인가 같은 주제를 논의하고 있는 책이다. 일견 딱딱해보이는 내용이지만 책을 어렵게 쓰지는 않았다. 원래 영국에서 출판된 지 좀 된 책이고, 이 책을 쓸 당시에는 이런 주제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던 때라서 개론적인 수준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인듯.
눈에 들어오는 내용은 이런 거다. 동물을 키운다고 하면 정서적으로 결핍되어 있는 사람이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많다. 혹은 사람보다 동물에 애정을 쏟는 것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할 일이라는 질책을 받는 경우도 있다. 첫번째 얘기에 대해서는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그러한 얘기가 사실과 다름을 조목조목 짚어내고 있다. 통계적으로 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폐쇄적이라는 얘기는 틀렸다는 것이다. 동물에 친근감을 가지는 사람이 다른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적극적이고 풀을 넓히려는 노력을 많이 한다는 것. 물론 소수의 예외도 있음은 인정하고 있지만.
사람보다 동물에 애정을 쏟는 것을 비난하는 것은 보통 이런 논리에 기반하고 있다. 세상에 얼마나 굶어죽는 사람이 많은데 동물한테 그렇게 많은 돈을 쓰며 낭비를 하느냐. 그럴 돈과 시간이 있으면 불우이웃이나 도와라. 이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이 서펠의 입장이다. 동물이 먹는 것은 사람이 먹지 못하는 것을 원료로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그리고 이보다 더 설득력 있는 얘기는, 예를 들어 옷을 사입거나 다른 취미활동에 종사하는 것은 비난하지 않으면서 유독 동물에 사랑을 쏟는 행위에 대해서만 비난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만약 그런 이유로 해서 동물에 사랑을 쏟는 것을 비난한다면 이는 전제사회와 다름없다는 얘기.
또 한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수렵사회와 농경사회에 대한 분석이다. 보통 수렵사회의 경우 동물을 사냥하거나 과일 열매 등을 채집하여 사는 생활이었기 때문에 농경사회가 더욱 풍족했을 거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실과 다르다고 한다. 전반적인 생활수준은 수렵사회의 경우 더 나았고, 농경사회로의 이전은 지구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먹을 것의 부족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이행이었으며 그 이후 인간의 생활수준은 더욱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거기에 더해, 수렵사회는 자연을 존중하고 심지어 경외감을 갖는 태도에 기반해 있었다면 농경사회는 자연에 대한 지배로 인간의 태도가 옮겨간 바탕이 되었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얘기들이 매우 설득력 있게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