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어떻게 쓸까? - 영화 읽고 글로 표현하기, 제7판
티모시 코리건 지음, 이권 옮김 / 비즈앤비즈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재미있게 본 영화가 있다면 그것에 대한 감상을 나누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이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감상하는 것만큼이나 그 이야기에 대한 감상을 다수와 함께 나누는 것 또한 큰 즐거움이 아닐 수 없다.

이 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영화에 대해 올바른 사고를 기르고 좋은 글을 쓰기 위함이다. - 12p

단순 감상평에서 깊이 있는 비평까지, 영화를 감상한 후 생각과 감정을 글로 표현하는 방법을 다룬 책 <영화, 어떻게 쓸까?>(티모시 코리건, 비즈앤비즈, 2011)이다. 콘텐츠를 감상한 후에 떠올린 것들을 글로 정리하는 것. 암기가 아닌 편집이 더욱 중요해진 빅데이터 시대에 필수적인 능력이다.

우린 자기 생각을 언제 어디서든 다수에게 표현할 수 있는 혁명적인 도구와 창구를 가진 세대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것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모른다. 그러한 방법은 시간을 들여 습득해야 한다. 바로 이런 종류의 책을 통해서 말이다.

사실 영화에 대한 글쓰기는 이미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두 시간 동안 침묵이 강요되었던 극장을 떠날 때, 우리는 대개 영화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토론한다. 물론 어떤 주제에 대해 '쓰는 것'과 '이야기하는 것'의 차이는 매우 크지만, '글쓰기'는 쉽게 말해 더 순화되고 계산된 형태의 의사소통이며 독자를 상대로 할 뿐이다. - 18p

단순 말하기와 글쓰기의 차이를 제대로 알면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다. 과거 선생님께 칭찬을 받거나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한 글쓰기가 아님을 인지하자. 순전히 본인의 발전과 독자를 위한 정보제공용 글쓰기다.

좋은 영화 비평을 쓰려면 영화를 한 번 이상은 봐야 한다. (중략) 영화를 처음 볼 때는 메모의 부담에서 벗어나 즐기는 차원에서 어느 정도 자유롭게 보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런 다음 두 번째로(세 번이 더 바람직하지만) 영화를 볼 때부터 더 신중하고 자세하게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 좋다. - 48p

책도 마찬가지지만 영화 역시 그럴싸한 글을 쓰기 위해선 여러 번 봐야 한다. 물론 아무런 생각 없이 반복해서 보는 게 아니라 본인이 무엇에 관해 쓸 것인지 정한 후 해당하는 부분을 더욱 집중해서 보는 것이다. 그 과정을 통해 그간의 생각을 정리하거나 때에 따라 새로운 생각이 생겨날 수도 있다.

지금껏 영화 리뷰 관련 4권의 책을 읽었다. 그중 가장 도움이 많이 된 책이다. 물론 대학교재로나 쓰일 만한 형식이라 진입장벽이 좀 높다. 그래도 그럴듯한 영화 글을 쓰고 싶은 열정이 있는 분이라면 적극 추천한다. 확실히 내 것이 될 때까지 두고두고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다. 별점은 다섯 개 만점에 다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