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선택한 여자 두번째 이야기 - 무녀 심진송이 17년 만에 전하는 신의 말
심진송 지음 / 느낌이있는책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신년이나 어려운 일 또는 중요한 일을 앞두고 많은 이들이 점집을 찾는다. 새해를 맞으면서 나쁜 기운은 떨쳐버리고 좋은 기운을 얻기 위해서 일 것이다.

개인적으로 신이나 미신을 믿지 않지만, 좋지 않다고 하는 일은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영험한 무당은 이름난 정.재계 인사들이 예약하고 다닌다고 들었다. 신빙성이 얼마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불안한 마음을 다잡이 위한 것이 아닌가 싶다.

 

무당은 신이 점지하는 것인지 궁금하여 인터넷을 뒤져 보았다. 무당의 종류는 강신무와 세습무가 있다고 한다. 강신무는 내릴강 귀신신으로 본인의 의지와 상관 없이 병고의 고통을 겪다 환청과 환영을 보고 내림굿을 하는 신이 내린 무당이다.

세습무는 조상 대대로 무당업을 하는 사람으로 종교로 보면 사제자 정도 생각하면 될 것이다.

무당이 된 사람들은 대부분 조상이나 조상과 관련된 사람들 즉 조상신이 내리고, 신을 받기 전에도 예지력이 있으며, 다음에 일어날 일들을 꿈에서 보는 신기를 통해 점을 본다. 하지만 본인의 기운이 주변 령들보다 기운이 세면 신내림은 받을 수 없고, 기운이 약한 경우 령들이 육체에 들어와 신내림을 받는다.

 

무당들은 조상신 외에 어떤 신이 점괘를 내려 주는 것일까?

삼국 통일을 이룬 김유신 장군, 기개와 절개의 최영 장군, 남이 장군, 중국의 관운장,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 심지어는 맥아더나 예수, 석가 등의 성인을 섬기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국적과 종교를 초월하여 다양한 신을 모시게 된다고 한다.

남자 무당인 박수는 여성화 경향이 있고, 무녀들은 남성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신에 대한 동경이 일치화 되는 상황으로 때문이란다.

그런데 무당들은 왜 여자가 많은가? 남자의 몸보다 여자의 몸에 신이 들기가 쉽고, 여자가 조상님의 제사를 지내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무속신앙이나 종교는 과학적인 잣대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므로, 믿을 만큼만 믿으면 된다.

저자는 1994년 김일성 사망과 1997년 김대중 대통령의 당선을 맞춰 온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며 일약 국사 무당으로 부각되었다.

본인이 서술 했듯 당시에는 엄청난 부와 명예를 얻었다고 한다. 하지만 주머니가 두둑해지면 다른 생각을 하듯 그녀도, 연애도 하고, 노래도 하고, 연극도 하고, 심지어는 영화까지 제작 하려고 했다고 한다. 어떤 신을 모셨던 간에 이렇게 외도하는 무당을 그냥 둘리 만무하다.

많은 실패 끝에 여러 산을 다니며 다시 신을 받았다고 하니 다행이긴 하다.

 

개인적으로 가난하고 약한 사람을 상대로 비싼 굿 값을 받고 굿을 하는 경우나, 많은 복채를 받고 점을 쳐주는 행위 또는 부적을 써주는 행위는 사기 혐의로 처벌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돈이 많거나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하지 못하면서 약한 사람에게 접근하여 어렵고 힘든 상황을 미끼로 돈을 뜯어 내는 행위는 범죄다.

점을 보러 가는 사람들도 마음의 위안이나 평정을 목적으로 가야 하는데 더 많은 것을 얻으려 할 땐 물질적 정신적인 핍박이 예상된다.

 

재미 삼아 점을 보더라도 좋다는 것은 기분 좋게 기억하고 나쁘다고 하는 것은 바로 잊어 버려야 한다. 생각에는 유인력이라는 에너지가 있어 어떤 생각을 깊게 하면 33배로 증폭되어 돌아 온니 유의 해야 한다.

일체유심조 모든 것이 본인이 마음 먹기데 달려 있다. 2016년 새해가 시작 되었으니 병신같이 살지 말고, 행복을 고용하여, 신나게 착취하여 연말까지 행복해 집시다.


무당에 대해 궁금 했는데 사실 그것보다 본인 위주의 이야기라 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