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자꾸만 무뎌지는 나를 위해
강레오 지음 / 예담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으로 TV를 즐겨 보지 않았는데 여행 중 케이블 채널에서 저자를 처음 보았다. 이름도 특이하고 말투나 얼굴에 나타난 첫 인상이 매우 차갑고 거만해 보였다. 책에서도 언급했듯 음식을 쓰레기 통에 넣는 부분이나 맛을 볼 필요도 없다는 발언은 상당히 충격적이었다. 본인이 음식에 대해 좀더 안다고 너무 안하무인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했었다.

세상의 모든 정의는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이론적으로 전문가와 다른 요리 법이라 하여 아예 틀린 요리법은 아니듯 좀더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면 좋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저자는 이 책에서 본인이 독설을 하는 이유를 밝혔다. 정확하게 서술한 것은 아니지만 내가 판단하기로는 첫째 욕쟁이 아저씨이며, 요리계의 독설 심사위원으로 유명한 고든 램지의 캐릭터를 동경하다 보니 그렇게 된 것 같고, 둘째 요리에 열정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가 범한 오류에 강한 어필을 하면 그를 발전 시킬 수 있다는 논리였는데, 개인적으로 설득이 되어지진 않는다.

'벼는 익을 수록 고개를 숙이고, 배운 사람은 겸손해야 한다'는 말이 있듯 실력이 있는 사람으로 굳이 독설까지 뱉어야 하는지는 이해가 가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현재 창조, 혁신에 목말라 하지만, 정작 창조, 혁신에 들어가면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 기본에서 벗어나면 싫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조나 혁신은 기존의 법칙에서 벗어날 수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내가 어렸을 때만 하더라도 남자가 부엌에 들어가면 큰일 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요즘은 요리 잘하는 남자가 사랑 받는 대세가 되었다. 저자를 비롯한 최현석, 이연복, 레이먼 킴, 샘킴, 백종원, 정창욱, 맹기용, 루이강, 에드워드 권, 이원일, 임지호 등 수 많은 남자 요리사 들이 TV를 점유 하고 있다. 이들은 연애인 못지 않는 인기를 누리고 있다. 잘 생긴 사람도 있고, 입담이 좋은 사람도 있지만, 타인을 위해 요리 하는 모습 즉, 이타성에 시청자들의 호감도가 올라갔을 것이라 생각한다.

전에는 영화에서 엉청난 먹방을 보여보며 인기를 모았던 하정우가 대세더니, 요즘은 놀라운 요리실력을 보여준 차줌마 차승원씨가 대세남이 되었다. 일시적인 트렌드 인지 아님 지속될지 모르겠지만, 무슨 일을 하던 지속적인 노력이 뒤 받침 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것 같다.

 

저자가 현재의 자리 까지 오를 수 있었던 몇 가지 이유를 나름대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 국내에서 요리공부를 하지 않고 유학을 결심한 점이다. 실제로 유학을 한 것은 아니고 도제 형식으로 요리를 배워, 순전히 본인의 노력으로 수 셰프의 자리에 올랐다고 한다. 만약 저자가 국내에서 요리를 배웠었더라면 지금과 같이 성공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 정서상 그의 나이나 그 정도 경력이나 내공으론 인정 받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대표음식이 있는 프랑스나 이탈리아가 아닌 영국으로 간 것이 주효했다고 본다.

둘째 만시간의 법칙을 무시하고, 만 시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요리연구에 목말라 한다는 점이다. 보통 사람의 경우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르렀을 때 매너리즘에 빠져 자만해 질 수 있는데 저자는 칼 날이 무뎌질까 봐 이 책도 쓰고 여전히 노력 중이라 한다.

셋째 삶의 주인이 되어 당당하게 살아 가는 모습도 성공의 요인이다. 어떤 시청자는 강레오 요리사의 이런 모습에 반하는 사람도 있고, 좋아 하지 않는 사람도 있는데 긍정적인 부분이 많은 것 같다.

넷째 방송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배우자가 연예인이라고 하던데 그 때문인지 방송에서 보여 주었던 그의 모습이 전문가다웠다.

 

요리에 대해서도 연예에 대해서도 문외한 이지만 개인적으로 이연복이라는 요리사와 임지호라는 요리사에 호감을 갖고 있다. 이연복 요리사는 14살 때 중국집 배달원으로 시작해서 16살 때 처음 요리를 배웠으며, 현재는 중국음식의 대가로 불리 운다. 유학파 출신도 아닌 사람이 국내에서 인정 받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 그의 땀과 노력의 결실이라고 생각한다.

임지호 요리사는 자연과 사람을 생각하며 요리 하는 도인 같은 분이다. 흙도 맛보고, 갯벌도 먹고 자연에서 생산되는 모든 것을 요리의 재료로 사용하는데 이분의 음식을 먹으면 왠지 힐링 될 것 같은 느낌이다. 이분이 툭 던지는 멘트가 어록이다.

 

장길산이란 소설을 읽으면, 마감동이란 검객이 나온다. 마감동은 검술의 대가로 따를 자가 없었다. 최형기의 말에 의하면 검술이 경지에 이르면 사람 또한 이루어 지는 법이라 했다. 요리 또한 이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요리든 운동이든 일이든 자기가 추구하는 것에 올인 하면, 추구하는 것과 사람이 되는 것 모두 경지에 이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