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력이 쑥쑥 교과서 관용구 100 어휘력 점프 1
김종상 지음, 이예숙 그림 / 아주좋은날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교과서와 연계하여 수록된 관용구라고 하는데, 일상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언어 들이었다. 부끄럽지만 이 언어들이 관용어나 관용구라고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관용구란 한자로는 慣用句 이고 이것은 慣用(습관 관 자에 사용할 용 자로 습관적으로 사용 한다는 뜻) 과 句(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절이나 문장을 이루는 것)가 합쳐져 다른 뜻을 담고 있는 말이다.

초등학생인 둘째 딸이 책을 읽으면서 관용구가 나오면 무슨 뜻이냐고 질문해서 별 생각 없이 그건 이런 뜻이야 라고 설명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관용구에 대한 공부를 부모가 먼저 하고 설명 했었더라면 아이가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본래의 뜻과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아이들에겐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역국을 먹었다 라는 뜻이 '미역국을 먹었다'라는 직접적인 의미로 알고 있는 아이에게 '낙방했다'는 의미로 설명 해야 하는데 공부하지 않은 부모가 설명하기가 싶지 않다. 성인들은 자주 사용하는 말이기 때문에 의미를 쉽게 이해하지만 아이에게 설명 하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미역이 미끈미끈해서 미끄러진다는 의미로 쓰이는 줄 알았는데 일제 감정기에 일본이 우리나라 군대를 해산시킬 때, 산모가 몸을 풀 때 해산(解産)과 해체할 때 해산(解散)이 다른 말이지만 소리가 같아서 해산한 산모의 미역국을 먹는 것과 군대 해산으로 일자리를 잃은 것을 말할 때 함께 사용되어 다고 한다.

아이들에게 이런 이야기를 곁들어 주면 얼마나 이해하기 쉬울까?

저자는 이런 니즈를 잘 반영하여 관용구를 title로 놓고, 용어 설명을 하고, 예시 글을 적었으며, 맞은 편에는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를 배열하여 아이들의 호감 도를 높였다. 또한 딱딱한 글로만 채워졌더라면 다소 흥미가 떨어질 수 있는데 적절한 일러스트가 가미되어 초등학생은 물론이고 책 읽기 싫어하는 성인들도 구미가 당기게 서술 하였다.

내가 먼저 읽고 다음은 아내 다음 중딩 큰딸 맨 마지막에 초딩 딸에게 읽힐 생각이다.

질문 많은 작은 딸의 질문에 대비하기 위함이라고 할까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