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한 소설들 - 빨간책방에서 함께 읽고 나눈 이야기
이동진.김중혁 지음 / 예담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같은 글을 읽지만 사람의 감정, 지식, 사상 등에 따라 읽은 후의 소감은 각기 다르다. 여기 소개된 7권의 소설 중 4권의 책을 읽었지만 저자들처럼 깊고 넓고, 섬세하고 날카롭게 책을 해부해 본 적이 없다. 느슨하게 스토리의 흐름이나 단순하게 작가의 의도에서 교훈이 될만한 것은 없는지 찾기 위한 독서를 했던 것이다. 때문에 몇 년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희미하게 스토리의 뼈대만 생각 날 뿐인데 저자들은 사고는 대단하게 느껴진다.

저자들의 직업이 글 쓰기라 그런지 소개된 7권의 책을 섬세하게 해부하여 작게 잘라 소화하기 좋은 크기로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작가의 삶과 그의 또 다른 작품세계까지 섭렵하고 에피타이져는 물론이고 디저트까지 푸짐하게 한 상 받은 느낌이다. 이런 느낌 때문인지 저자들이나 나나 똑 같은 구슬을 가졌지만 꿰지 못해 보물로 인정 받지 못한 느낌이다.

내가 책 읽는 것을 즐기는 이유는 세상을 지혜롭기 살기 위함이다. 지혜롭게 살기 위해서는 독서가 필연명제이다. 이 명제를 알기에 맹목적으로 책 읽는 것에 열중 하였다. 하지만 주관이나 원칙 없이 읽었기 때문에 저자들처럼 디테일 할 수 없었던 것이다. 책 읽는 습관을 들이기 전에 빨간책방이라는 팟 캐스트를 알았었더라면 이런 오류에서 벗어나지 않았을까 하는 자조 섞인 탄식을 해 본다.

빨간책방이란 팟캐스트는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지만 앞으로 단골이 될 것 같은 예감이 든다.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이동진 기자가 운영하는 팟 캐스트는 팟빵이고, 합정동에는 오프라인 카페도 있는 모양이다. 행여 나처럼 맹목적인 책 읽기를 하는 이가 있다면 팟빵이나 북카페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해부하는 방법을 알고 독서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청출어람이라는 말이 있듯이 좋은 스승을 능가하는 제자가 되기 위해선 기본기가 잘 닦여 있어야 한다.

책 전체를 소개 할 수는 없고 간단하게 촌철살인과 같은 소개 글과 작가 그리고 제목, 내용을 아래와 같이 축약하였다.

첫 번째 소설은 숭고하고 윤리적인 속죄라는 타이틀을 붙인 이언매큐언의 속죄다. 소설가를 꿈꾸는 열세 살 소녀의 상상력으로 언니와 형부가 될 뻔한 사람의 (브리오니, 세실리아, 로비) 비극적인 운명을 회상하며 속죄한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 소설은 우연과 운명, 권태와 허무, 그 가볍지 않은 무게라는 타이틀을 붙인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다.

삶의 가벼움과 자유를 추구하는 외과의사 토마시, 운명적인 사랑을 믿는 웨이트레스 테레자, 정치적, 사회적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화가 사비나, 사비나의 애인이자 대학교수인 프란츠 네 남녀의 서로 다른, 색깔의 사랑이야기 + 인간의 삶과 죽음을 가벼움과 무거움이라는 이분법적 측면을 조명한 철학이 깃든 이야기이다.

세 번째 소설은 마지막 당신이 만나게 되는 진실은 이란 타이틀을 붙인 줄리언 반스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이다. 토니와 에이드리언 그리고 베로니카와 그녀의 어머니 사이에서 발생한 미밀 이야기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놀란 반전이었다.

네 번째 소설은 소년의 어떤 꿈에 대하여 라는 타이틀을 붙인 제롬 데이비드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이다. 홀든 콜필드가 학교에서 퇴학 당하고 집으로 돌아가는 3일간의 이야기이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 진질 인줄 알고 있지만 사실 눈에 보이는 것은 거짓일 확률이 훨씬 높다.

다섯 번째 소설은 신기한 이야기에 숨겨진 카오스 와 코스모스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온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이다. 홀든 콜필드와 같은 나이의 인도 소년 파이가 227일간 구명보트에서 하이에나, 오랑우탄, 얼룩말, 벵골 호랑이와 태평양을 표류하는 이야기이다. 라이프 오프 파이라는 제목으로 영화가 있는데 재미 있을 것 같다.

여섯 번째 소설은 이렇게 강하고 자유로운 남자를 이란 타이틀로 나온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이다. 긍정적인 말로는 자유분방한 것이고 부정적인 말로는 난봉꾼의 좌충우돌 이야기이다. 누군가가 말하기를 카잔차키스가 그리스 사람이 아니었고 러시아 사람이었다면 톨스토이나 도에토예프스키를 능가하는 문호가 되었을 것이라고 하였다.

마지막 일곱 번째 소설은 그가 또 다른 세계에서 만난 것은 이란 타이틀로 나온 것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색채가 없는 다자키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라는 긴 제목을 가진 소설이다. 다자키쓰쿠루는 고등학교 시절부터 분신처럼 친한 친구 네명이 있었는데 어느날 절교를 당하고 고독에 빠졌다가 여친 사라의 충고로 16년 전 친구를 만나 과거와 현재의 시간과 공간을 어우르며 자신을 들여다보는 이야기다.

책의 마지막 장을 읽고 난 후의 소감은 촌철살인이란 이런 것이구나 라고 느꼈다. 엄청난 작품들이기에 대부분 영화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소설을 사랑한 사람답게 영화보다 책이 훨씬 낫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다. 아무리 찬란한 기법을 사용하더라도 텍스트의 감정은 살릴 수 없는 모양이다. 굉장히 신선하고 참신한 도서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